이 연구는 언어의 의미 생성 원리로부터 사용자 경험의 범주와 의미의 접점, 그리고 의미의 변화를 읽는 방법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심층적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조사 방법과 분석 방법을 이해하는 연구가 될 것이며, 디자인 조사 방법의 깊이는 물론 인간 중심 ...
이 연구는 언어의 의미 생성 원리로부터 사용자 경험의 범주와 의미의 접점, 그리고 의미의 변화를 읽는 방법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심층적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조사 방법과 분석 방법을 이해하는 연구가 될 것이며, 디자인 조사 방법의 깊이는 물론 인간 중심 디자인 철학의 가치를 다시 정의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의 중간 결과물로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한 연구 자료를 보고서 형태로 제출할 예정이며, 최종 연구 결과는 학술 논문으로 완성하여 디자인 학술지에 게재한 후 이를 결과물로 제출할 예정이다. 기타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에 대한 방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집약할 수 있다.
첫째, 디자인 리서치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하는 뿌리 연구로서 오늘날 디자인에서 말하고자 하는 ‘경험 의미’의 원리를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다.
둘째, 수많은 디자인 방법론들이 말하고 있는 의미나 통찰의 원리가 일상 언어 생성의 원리와 인접해 있음을 밝힌 본질 연구이다.
셋째, 디자인 방법론이 다루는 사용자 ‘경험’을 일상 언어 분석의 과정을 통해 이론화하여 디자인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질적 조사의 핵심 내용으로 구조화한 연구이다. 이것은 디자인 연구에 있어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을 논의하고자 시도된 인간 중심 연구이다.
넷째, 디자인 리서치의 기초가 되는 구술 자료(심층 인터뷰를 포함하여)로부터 통찰을 발견하는 접점에 대한 문제를 언어학적 논리에 근거하여 연구한 정성 연구이다.
다섯째, 디자인 연구에서 ‘맥락 읽기’와 ‘사용자 관점’이 도출된 근원적 배경을 설명함으로써 언어와 문화에 맞는 디자인 질적 조사의 방법을 제안한 연구이다.
여섯째, 언어, 디자인, 문화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경험에 대한 논의를 이끌고 있으므로 학제 통합적 연구이다.
연구의 활용 방안은 아래와 같다.
첫째, 현행 디자인 연구는 여러 학문 분야와 접목한 융·복합 학문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속에서 인간 중심적 관점의 철학은 디자인 연구에서도 필수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이다. 최근 디자인에서는 ‘통찰’, ‘사용자를 넘어선 인간’이라는 개념이 화두인데, 이 개념의 본질을 근본부터 이해하고 있는 디자인 연구는 드물며, 심지어 인간을 제외한 기술 중심의 디자인을 인간 중심 디자인 연구로 오해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인간 경험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전제로 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 경험에 대한 오해 뒤에 가려진 경험의 심층적 이해를 돕는 본질 연구이므로 디자인 교육에 있어 질적 향상을 이끌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인문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맥락, 통찰의 문제들을 인간 중심이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질적인 디자인 리서치의 깊이를 더하는 분석 방법을 제시하므로 디자인 사용자 조사에 있어 의미 추출하기와 맥락 발견하기 등의 문제를 미시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디자인 교육 과정에서 본 연구 내용을 활용한다면 질적인 디자인 사용자 경험 조사의 기본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넷째, 협의의 ‘경험’이 아닌 심층적인 ‘경험’의 이해를 연구함으로써 인간 중심 디자인의 철학적 지향점을 제시한다. 즉, 인간의 경험을 도구적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 아닌 목적 그 자체로 이해할 수 있는 디자인 연구를 지향한다.
다섯째. 이 연구는 통합적 관점의 디자인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학제 통합적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융·복합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깊고 넓은 개념의 디자인 리서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일곱째, 디자인 연구에 맞는 사용자 경험 해석 방법과 사용자 의미 도출 방법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질적 디자인 교육 자료로 응용할 수 있다.
여덟째, 인간, 문화, 디자인 전반에 걸친 복합적 디자인 개념 연구의 필요를 제안하여 인간 중심 기반의 디자인 연구의 외연과 내포를 확장할 수 있다.
후속 연구로는 심층 인터뷰에서 나타나는 사용자 경험 언어의 분석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방법들을 실제 인터뷰 조사 과정에서 적용한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문화에 대한 이해, 인구통계학적 차이에 따른 언어 분석과 디자인 경험이라는 연결점들을 통합하는 정량과 정성의 두 가지 과정을 통합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