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행복이론을 바탕으로 행복을 일시적 행복상태를 넘어 자신이 가진 모든 능력과 잠재력을 발휘하여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삶인 행복플로리시에 초점을 두어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을 이해‧지원 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 ...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행복이론을 바탕으로 행복을 일시적 행복상태를 넘어 자신이 가진 모든 능력과 잠재력을 발휘하여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삶인 행복플로리시에 초점을 두어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을 이해‧지원 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어머니의 행복개념이 자녀의 올바른 성장과 발달, 또는 가족의 행복에 우선권을 두는 타인지향적 결과에 의한다는 점과 부모지원이 어머니역할 과업에 국한된 양육관련 지식, 기술, 태도의 정보 전달적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어머니의 행복은 개인내 행복에서 비롯된 삶 전반의 행복감을 바탕으로 가족문화, 사회문화로 퍼져나가는 것이 긍정심리학의 행복원리에 따르는 행복지원의 방향으로 보았다.
이에 어머니라는 존재를 부모라는 제한적 시각에서 벗어나 자녀양육 뿐 아니라 개인적 욕구를 실현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구를 지닌 독립체적 존재로 접근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어머니 연구들은 어머니의 역할과업 결과나 양육관련 변인에 따른 자녀의 성장에 치중한 모습은 결국 어머니의 행복이 자녀를 위한 도구적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관련 역할수행 뿐 아니라 성인여성의 생애발달 시기의 독특성을 모두 포괄한 일반 성인과 구분되는 독특한 역할 특성을 지닌 대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더욱 어머니 발달단계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시기는 어머니라는 생애 첫 역할과업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이론이나 실제적 보고에서 가장 높은 부정적 심리상태와 가장 낮은 행복수준을 나타내며 어머니 인간발달단계 중 가장 낮은 삶 만족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은 인생의 암흑기, 전투육아, 육퇴(육아퇴근) 등 그 시기의 어려움을 다양한 신조어로 대변하고 있다.
행복연구들을 살펴보면, 행복한 어머니가 일상생활 뿐 아니라 양육상황에서도 긍정적 정서 상태로 자녀와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어머니 행복감은 양육갈등이나 일상생활 속 어려운 상황에서도 부정적 측면을 완충하는 탄력성을 발휘하여 쉽게 행복상태로 회복된다는 다수의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이에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을 일시적이며 정서적 차원의 만족상태가 아닌 삶의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는 행복플로리시 측면에서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맥락적 특성을 고려한 행복플로리시의 심층적 분석과 함께 행복 지원을 위한 방안 탐색의 실증적 행복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척도를 통한 행복요인 간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어머니의 행복지원을 위한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만 0세부터 만 5세 연령에 해당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 정보 및 행복플로리시에 관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이때 행복플로리시 측정은 국내에서 개발 타당화한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척도(김선형, 2017)로, 본 도구는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개발된 유아기 어머니용 도구로써, 개인의 행복한 삶(삶만족, 성장 및 성취, 심신의 건강, 자기의미), 자녀와 행복한 삶(자녀이해, 양육역량, 양육역할만족), 관계 속의 행복한 삶(부부관계, 원가족관계, 지원인력관계), 그리고 환경맥락 속의 행복한 삶(가정경제환경, 사회환경, 문화환경)으로 구성된 총 59문항의 리커르트 척도이다.
본 연구 분석방법은 프로파일 분석으로 기존 그룹화 연구들은 척도의 총점을 기준으로 점수별 그룹을 비교하거나 군집분석을 통해 군집 간 특성을 보고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다차원척도법 분석으로, 행복 개념이 총점을 통해 보고될 때의 제한점, 문화적 집단적 차이에 따른 행복요소의 차이점 등을 고려하여 유아기 자녀 어머니만의 행복플로리시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한 프로파일 정보는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의 구체적 구조에 관한 해석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며, 행복의 지속성과 발전가능성을 고려한 유아기 어머니 집단의 실질적 행복 지원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의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