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구치 품질손실개념에 의한 다특성치 품질손실함수 도출에 관한 분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to Derive the Quality Loss Function with Multi-characteristics by Taguchi’s Quality Loss Concept
품질은 손실이다 라는 다구치의 품질의 정의는 높은 품질의 제품이란 사용상 적은 손실을 초래하는 것이다 라는 말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회계시스템에 의해서는 이러한 품질원가가 측정되지 않으나,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는 품질원가측정의 이론적 ...
품질은 손실이다 라는 다구치의 품질의 정의는 높은 품질의 제품이란 사용상 적은 손실을 초래하는 것이다 라는 말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회계시스템에 의해서는 이러한 품질원가가 측정되지 않으나,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는 품질원가측정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줌으로써, 품질손실의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다구치 품질손실은 단일 특성치에 대한 기본적 이해로 그치는 것이 한계이며,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는 그 품질을 결정하는 특성치가 두 개 이상인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단일 특성치에 대한 연구를 다특성치의 경우로 확장하는 것은 매우 현실적이고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구치의 단일 특성치와 동일한 이론적 틀에 따라 테일러 급수전개에 의한 이론적 함수식에서 시작하지만, 변수 간 상관관계 있는 경우라든가 교차항의 2계 도함수를 분명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 등의 한계 때문에 실제 품질손실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선형대수 및 위상기하학적 수리적 분석 과정을 통해 다특성치의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구체적 식으로써의 품질손실함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품질손실함수는 특성치가 다수인 경우 실제로 요구되고 있는 구체적인 품질손실함수를 도출하는 분석적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다특성치의 경우에도 얼마든지 수리적 정합성이 분명한 품질손실함수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적 전개과정을 보여 줄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품질손실함수는 특성치가 다수인 경우 실제로 요구되고 있는 구체적인 품질손실함수를 도출하는 분석적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다특성치의 경우에도 얼마든지 수리적 정합성이 분명한 품질손실함수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적 전개과정을 보여 줄 것이다. 따라서 관련 선행연구가 대부분 단일특성치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에서, 품질결정요인이 다양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품질손실함수에 의해 품질경영 및 품질원가관리, 서비스 마케팅 등의 분야에 확장된 이론적 발전을 가져다 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특성치 품질손실함수의 도출이라는 패러다임으로의 확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다특성치 품질손실함수의 이론적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더불어 후속적인 사례연구 등을 통하여 실무적 적용의 기회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주요한 의의라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다특성치 품질손실함수는 상관계수와 함께 다구치 모형 내에서의 파라미터 만으로 계산이 가능하므로 현실적 응용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본 연구의 주된 공헌이라 할 수 있다.
연구요약
품질원가의 일부는 현행 회계시스템에서 보고되지만, 보고되지 않는 품질원가 역시 제품의 품질향상과 품질원가의 통제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품질원가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의 이용이 제안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다구치 모형의 한계인 단일특성 ...
품질원가의 일부는 현행 회계시스템에서 보고되지만, 보고되지 않는 품질원가 역시 제품의 품질향상과 품질원가의 통제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품질원가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의 이용이 제안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다구치 모형의 한계인 단일특성치 개념을 확장하는 다특성치 품질손실함수 도출을 위한 분석적 과정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수리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다구치가 제시한 기본적인 단일특성치의 품질손실함수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다특성치 품질손실함수의 일반식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일반식의 해를 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선형변환을 통하여 선형대수학적 관점에서의 품질손실함수의 요약식을 도출하고 그것의 실무적 적용가능성을 검토한다. 최종적으로 위상기하학적 개념과 통계적 계수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품질특성치가 다수인 경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품질손실함수를 제시하고 이로부터 품질원가를 추정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보여준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제품 품질원가의 일부는 현행 회계시스템에서 보고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보고되지 않는 품질원가는 제품의 품질향상과 품질원가의 통제에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숨겨진 품질원가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의 개념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 ...
제품 품질원가의 일부는 현행 회계시스템에서 보고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보고되지 않는 품질원가는 제품의 품질향상과 품질원가의 통제에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숨겨진 품질원가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의 개념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인 단일특성치의 다구치 품질손실함수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품질특성치가 다수인 경우의 품질손실함수를 단일 특성치의 경우와 같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며 구체적인 형태로 기술 가능한 품질손실함수를 도출함으로써 실무에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품질원가를 추정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영문
Recently, the Taguchi quality loss function has been proposed in accounting literature for estimating the unrecorded quality costs in current accounting system. This new quality loss function approach measures these quality costs for any variation of ...
Recently, the Taguchi quality loss function has been proposed in accounting literature for estimating the unrecorded quality costs in current accounting system. This new quality loss function approach measures these quality costs for any variation of the actual value from the ideal or target value of the single designated characteristic of a product. This paper develops the quality loss function under multiple quality characteristics to eutend the usefulness of the Taguchi quality loss function. The multi-characteristics quality loss function developed in this paper provides a meaningful tool to estimate quality costs under the general structure with mutiple quality characteristic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제품 품질원가의 일부는 현행 회계시스템에서 보고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보고되지 않는 품질원가는 제품의 품질향상과 품질원가의 통제에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숨겨진 품질원가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의 개념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 ...
제품 품질원가의 일부는 현행 회계시스템에서 보고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보고되지 않는 품질원가는 제품의 품질향상과 품질원가의 통제에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숨겨진 품질원가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구치의 품질손실함수의 개념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인 단일특성치의 다구치 품질손실함수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품질특성치가 다수인 경우의 품질손실함수를 단일 특성치의 경우와 같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며 구체적인 형태로 기술 가능한 품질손실함수를 도출함으로써 실무에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품질원가를 추정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다구치 품질손실은 단일 특성치에 대한 기본적 이해로 그치는 것이 한계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는 그 품질을 결정하는 특성치가 두 개 이상인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단일 특성치에 대한 연구를 다특성치의 경우로 확장하는 것은 매우 현실적이고 중요한 ...
다구치 품질손실은 단일 특성치에 대한 기본적 이해로 그치는 것이 한계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는 그 품질을 결정하는 특성치가 두 개 이상인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단일 특성치에 대한 연구를 다특성치의 경우로 확장하는 것은 매우 현실적이고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구치의 단일 특성치와 마찬가지로 다특성치의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구체적 산식으로써 품질손실함수를 분석적으로 도출하였다. 한 그 이상의 다특성치의 경우에도 얼마든지 수리적 정합성이 분명한 품질손실함수를 도출할 수 있는 분석적 전개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럼으로써 다특성치 품질손실함수의 추정에 대한 확연한 논리적 근거를 가지고 실무적 적용의 기회를 높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의의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