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 참여실행연구: 인권실천 척도 개발, 인권실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Human rights based social work practice for older adults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ith social work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39814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민홍
연구수행기관 동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목표) 노인복지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인권기반 실천 측정 지표 개발과 인권기반 실천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하위목표 1) 철저한 선행연구 및 실행 사례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을 통해서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 마련
    ❍ (하위목표 2) 노인복지현장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적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하위목표 3)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 (하위목표 4)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의 실천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 참여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실행
    ❍ (하위목표 5) 노인복지현장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적용을 통한 효과성 평가 실시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여도
    ❍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후속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조사도구 제공
    ❍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지식 및 기술에 관련하여 체계적인 학술적 지식 제공
    ❍ 지역사회노인의 인권 제고 및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었던 실천지식(practical knowledge)이 학술적으로 축적
    ❍ 연구자와 실천가의 공동생산과정을 통해서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역량강화 학술 사례 활용
    □ 사회적 기여도
    ❍ 노인복지 프로그램 및 서비스 이용 노인의 인권보장(자유권 및 사회권) 제고
    ❍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을 실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 지속적 근거기반실천(evidence based practice)을 위한 과학적 토대 마련
    □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지속적 성찰 및 성장을 가져오는 실천전문가 양성 교육
    ❍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 역량강화 보수교육의 자료로 활용
    ❍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방안들을 상호 교육할 수 있어 실천지식이 확산
    ❍ 예비 사회복지사의 인권 역량 강화
  • 연구요약
  • □ 1년차 연구요약
    ❍ 한국형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노인복지현장 version)
    - Human Rights Exposure in Social Work (HRXSW) and Human Rights Engagement in Social Work (HRESW) 활용
    - 연구방법: 척도개발, 실천전문가 및 연구전문가 포커스그룹인터뷰, 예비조사, 본 조사, 자료분석(EFA, CFA)
    - 연구윤리위원회(IRB) 승인
    □ 2년차 연구요약
    ❍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Pilot 운용
    - 연구내용: Mcpherson(2015)이 개발한 인권기반 통합 사회복지실천(Human Rights Practice in Social Work: HRPSW) 틀을 토대로 개발 및 Pilot 운용
    - 연구방법: 학술연구 Review, 국내외 실행 사례 Review, 포커스그룹인터뷰(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
    □ 3년차 연구요약
    ❍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강화 프로그램 실행
    -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실시
    - 프로그램은 주입식 교육(banking education)이 아니라 비판적 교육(critical education)으로 설계
    - 연구방법: 참여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AR)
    ❍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프로그램 참여 사회복지사의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이해력과 자신의 업무에서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을 적용 정도의 변화를 검증
    - 연구방법: B+단일사례연구, 통제집단설정, 측정도구(Human Rights Lens in Social Work scale), 조사대상(프로그램 참여 사회복지사 및 통제집단 사회복지사), 통계분석 방법(T-test,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목적은 노인복지현장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적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과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노인복지관에 종사하는 401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판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척도’와 ‘사회복지 인권노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문항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이해 타당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인권관점 사회복지실천을 이해 및 활용할 수 있는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복지관 2개소에 종사하는 36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9회기 온라인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유사실험설계로 실험집단은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통제집단은 사후조사를 하였다. SPSS 24.0을 사용해서 기술통계와 t-test를 수행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인권관점 사회복지실천 정도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인권 기반 사회복지실천 방법 활용을 증진할 수 있는 인권 교육과 실천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study aimed to develop Korean versions of Human Rights Scales for social work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Human rights-based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at senior welfare centers. A total of 401 social workers at senior welfare centers were interviewed to tes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Human Rights Methods in Social Work and Human Rights Exposure in Social Work.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was empirically confirmed by item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nomological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ith SPSS 26.0 and AMOS 25.0. In addition, the online program with nine sessions was provided to 36 social workers working at senior
    welfare centers.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were employ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pre-post tests) and the control group (only pos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mean difference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24.0. The results of paired samples t-test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uppor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human rights methods in social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human rights practice that could promote human rights-based social welfare practice by social workers at senior welfare cent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인권관기반 실천 측정 지표 개발과 인권기반 실천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내용은 노인복지현장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적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노인복지기관을 대상으로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을 실행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참여실행연구 실행, 노인복지현장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적용을 통한 효과성 평가 등이었다. 인권기반 노인복시실천 적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401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의 인권기반 노인복지실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36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참여실행연구를 진행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후속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조사도구 제공)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한국형 지표를 개발하여 후속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지식 및 기술에 관련하여 체계적인 학술적 지식을 제공) 국내외 선행연구 궤적 분석과 척도 개발 및 프로그램 연구로 학술적으로 활용가능한 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 (실천지식의 학술적 축적)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가 현장 경험을 통해서 지역사회노인의 인권 제고 및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었던 실천지식(practical knowledge)이 학술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2) 사회적 기여도: (노인복지 프로그램 및 서비스 이용 노인의 인권보장 제고) 노인복지실천 전문가의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노력은 프로그램 및 서비스 이용 노인의 인권보장을 높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을 실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통해서 학계지식이 현장으로 기술적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3) 인력양상방안 및 교육과의 연계: (지속적 성찰 및 성장을 가져오는 실천전문가 양성 교육) 참여실행연구를 통해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노인복지현장 실천가 보수교육 활용) 노인복지현장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 역량강화 보수교육의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예비 사회복지사의 인권 역량 강화) 학생들이 인권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노인, 인권관점, 사회복지실천, 공동생산, 욕구기반 접근, 권리기반 접근, 사회복지 인권실천 모델, 인권렌즈, 인권목적, 인권방법, 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평가, 측정도구 개발, 신뢰도, 타당도, 참여실행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