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양한 중독행위의 ‘상호 전이 임계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 술, 담배, 도박, 인터넷 중독을 중심으로
Spillover Threshold among Various Addictions: Empirical Evidence from Alcohol, Tobacco, Gambling, and Internet Us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41891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2 년 (2019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세완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상호 의존적인 다양한 중독 현상들이 어떠한 임계점(threshold)에서 상호 전이가 이루어지는 지에 대하여 최초로 실증적인 연구를 하게된다. 예를 들어 ‘알코올 중독자’가 어느 수준의 알코올 소비에서 ‘담배중독’으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유의하게 추정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학을 기준으로하여 그 동안 교류가 거의 없었던 심리학, 보건학, 사회복지학과의 중독연구에 대한 학제적인 연구를 시도하게 된다. 특히 심리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연구에서 축적된 다양한 중독 임상데이터(술, 담배, 도박, 인터넷 등)와 경제학의 계량경제학의 최근 모형들, 특히 교차분위수 추정법(cross-quantilogram estimation)과 분위수 자기회기모형(quantilogram VAR)등을 융합하여 중독 전이현상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넓히고 중독관련 정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경제학과 사회복지학, 심리학, 보건학은 ‘중독’이라는 동일한 연구 주제에 대하여 상이한 접근법을 통하여 연구를 하여왔다. 즉, 사회복지학, 심리학, 보건학에서는 실증적이고 치료목적을 위한 연구에 집중하였고, 경제학은 중독현상을 일으키는 인간의 근원적인 원인을 경제모형과 통계모형을 통하여 주로 연구하였다. 특히 최근 사회복지학을 중심으로 중독현상이 상호간에 의존적이라는 ‘공존이완(comorbidity)’ 결과가 다양하게 밝혀져 왔다. 자연히 그 다음의 연구단계로서 중독현상 간에 전이 임계점(threshold)에 대한 연구 시도가 있었으나 적절한 통계-이론적 모형의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융합하여 중독의 전이 임계점은 어느 수준인지를 실증적으로 밝혀내고 중독연구의 확장을 기하고자 한다.
    본 융합적 연구 결과는 학문적 성과와 더불어 무엇보다 다양한 중독현상에 대한 선제적인 정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년에 ‘몇 리터’의 알코올을 소비하는 자가 담배의 중독에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평균적인 수준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접 사회과학 학문분야의 보완적 역할을 통한 ‘중독’현상의 이해를 고양할 뿐 아니라, 향후 중독현상을 연구하는 뇌인지학, 의학 등 자연과학 전공과도 융합연구가 가능할 수 있는 시발점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과정은 다음의 다섯 가지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로, 습관형성(habit formation)의 개념 하에 다양한 중독현상의 이론적인 배경을 규명한다. 즉, 술, 담배, 도박, 인터넷 등의 다양한 도박 행위에 따라 습관형성 또는 중독의 수준이 다름을 이론적으로 규명한다. 둘째로, 다양한 중독현상이 상호간에 의존적임을 규명한다. 셋째로, 다양한 중독현상이 상호 의존적이라면, 각 중독소비가 어느 수준에서 다른 중독으로 전이되는가 하는 그 임계점(threshold)를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중독 사이의 관계가 연구될 것이므로, 1) 술중독 ↔ 담배중독, 2) 술중독 ↔ 도박중독, 3) 술중독 ↔ 인터넷중독, 4) 담배중독 ↔ 도박중독, 5) 담배중독 ↔ 인터넷중독, 6) 도박중독 ↔ 인터넷중독의 관계에서 실증적인 임계점을 추정할 것이다. 넷째로, 중독 전이의 임계점을 추정하는데 있어 2016년 기존의 분위수 추정법(quantile estimation)을 발전시킨 교차분위수 추정법(cross-quantilogram estimation)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이 외에도 2014년 제시된 분위수를 이용한 벡터자기회기모형(VAR)모형도 보완적으로 추정에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위에 예시된 다양한 중독간의 임계점은 다양한 인구-지역구조를 반영하여 추정의 범위를 확대하도록 한다. 즉, 성별, 나이별, 지역 별 상이한 중독현상의 전이 과정을 추정하고, 그 차이를 비교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상호 의존적인 다양한 중독 현상들이 어떠한 임계점(threshold)에서 상호 전이가 이루어지는 지를 학계 최초로 실증적인 연구를 으로 연구한다. 예를 들어 ‘알코올 중독자’가 어느 수준의 알코올 소비에서 ‘담배중독’으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유의하게 추정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동안 교류가 거의 없었던 심리학, 보건학, 사회복지학과 경제학의 중독연구에 대한 학제적인 연구를 시도하게 된다. 특히 사회복지학 연구에서 축적된 다양한 중독 임상데이터(술, 담배, 도박, 인터넷 등)와 계량경제학의 최근 모형들, 교차분위수 추정법(cross-quantilogram estimation)과 분위수 자기회기모형(quantilogram VAR)등을 융합하여 중독 전이현상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넓히고 중독관련 정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계량모형을 응용하여 국제무역, 금융경제학, Big data 분석, 부동산 경제, 장애인 고용 등 다양한 경제학 분야의 연구를 확장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 how interdependent additions are triggered at a certain level of threshold. For example, how much alcohol consumption is led to tobaco consumption and vice-versa. This work also promotes inter-disciplinary work of addition over psychology, social work, and economics. We employ recently suggested empirical model of cross-quantilogram estimation for providing concrete guidelines on addiction related policy. Also we try to expand our empirical work to other economics fields of international trade, finance, Big data, real estate, disabled employement, and so 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상호 의존적인 다양한 중독 현상들이 어떠한 임계점(threshold)에서 상호 전이가 이루어지는 지를 학계 최초로 실증적인 연구를 으로 연구한다. 예를 들어 ‘알코올 중독자’가 어느 수준의 알코올 소비에서 ‘담배중독’으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유의하게 추정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동안 교류가 거의 없었던 심리학, 보건학, 사회복지학과 경제학의 중독연구에 대한 학제적인 연구를 시도하게 된다. 특히 사회복지학 연구에서 축적된 다양한 중독 임상데이터(술, 담배, 도박, 인터넷 등)와 계량경제학의 최근 모형들, 교차분위수 추정법(cross-quantilogram estimation)과 분위수 자기회기모형(quantilogram VAR)등을 융합하여 중독 전이현상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넓히고 중독관련 정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독연구 이외에도 국제무역, 금융경제학, Big data 분석, 부동산 경제, 장애인 고용 등의 연구에도 응용-확장하도록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중독현상에 대한 선제적인 정책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년에 ‘몇 리터’의 알코올을 소비하는 자가 담배의 중독에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평균적인 수준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증적인 결과는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다양한 중독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적으로 예방하는 데 있어 교육자료와 정책자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인접 사회과학 학문분야의 보완적 역할을 통한 ‘중독’현상의 이해를 고양할 뿐 아니라, 향후 의학과 자연과학 전공과도 융합연구가 가능할 수 있는 시발점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제학 분야에도 연구 확장이 가능하다. 국제무역, 금융경제학, Big data 분석, 부동산 경제, 장애인 고용 등의 연구에도 응용-확장하도록 한다.
    학문적으로도 본 연구는 최근에 경제학에서 개발된 두 확률변수간의 관계를 변수의 수준에 따라 추정하는 방법론을 최초로 관련 학문 주제에 응용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추정도구는 사회학, 정치학, 행정학 등 관련된 학문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연구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최근 중동지역 폭동의 원인으로 SNS 이용의 증가를 들고 있는데, 어느 수준의 SNS이용이 이러한 폭동을 유발시키는 가에 대한 임계치(threshold)를 추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중독의 상호의존성, 전이효과, 임계점, 담배, 알코올, 국제무역, 금융경제학, Big data, 부동산, 장애인 고용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