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과제에서는 연구계획서의 연차별 세부 연구목표에 기반하여, 1) 수요조사 2) 상징 도상성 및 선호도 조사, 3) 아이트랙킹 데이터 수집 및 분석 4) 제안 도출 및 검증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수요조사는 본 연구과제의 1차년도 연구목표에 해당하는 세부목표를 기 ...
본 연구과제에서는 연구계획서의 연차별 세부 연구목표에 기반하여, 1) 수요조사 2) 상징 도상성 및 선호도 조사, 3) 아이트랙킹 데이터 수집 및 분석 4) 제안 도출 및 검증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수요조사는 본 연구과제의 1차년도 연구목표에 해당하는 세부목표를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2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첫번째 수요조사는 국내 언어재활사 168명을 대상으로 AAC 상징을 비롯한 화면 디자인 요소들에 대해 시행한 설문조사였다. AAC 상징의 도상성과 관련된 설문 조사 결과로, 대부분의 참여자가 AAC 그림 상징을 언어치료 임상에서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림 상징의 도상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징의 디테일이 중요하다고 보고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두번째 수요조사는 임상 상황에 기반을 한 치료사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가상의 아동 사례를 제공하고 해당 아동을 위한 AAC를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에 참여한 46명의 국내 언어재활사들은 제공된 아동 사례가 초기 의사소통자(beginning communicator)인 점을 고려하여, VSD(visual scene displays) 화면으로 AAC를 구성하겠다고 선택하였으며, 아동의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어떠한 AAC 상징 혹은 그림들이 포함되어야 할지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본 연구과제의 다음 실험 연구에 반영되었다.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AAC 상징 도상성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발달장애 초등학생 10명과 비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3개의 AAC 상징 세트와 국외에서 개발된 AAC 상징 세트 1개에 포함된 상징들에 대한 정확도 및 선호도 과제를 부여하였다. 특히, 국외에서 개발된 1개의 AAC 상징 세트는 아동을 대상으로 특별히 고안된 발달적으로 적절한 상징(Developmentally Appropriate Symbols; DAS)이라는 특징을 갖았다. 연구 결과, 아동을 위해 고안된 DAS에 대한 상징 이해도가 일반 아동에서는 예상대로 높았지만, 발달장애 아동들은 예상과는 달리, 다른 AAC 상징 세트에 대한 상징 이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반 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AAC 상징 도상성 및 선호도가 다르다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제안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과제의 다음 연구 진행 단계는 아이트랙킹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AAC 상징의 도상성과 화면 구성에 대한 시각 처리 패턴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아이트랙킹 조사는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아동 대상 아이트랙킹 연구의 첫번째 데이터 수집은 언어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8명과 비장애 아동 8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VSD 형식의 AAC 화면에 대한 시각 처리 패턴에 대해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아동에게 친숙한 VSD 화면이 제시되었을 때에는 연구자의 지시에 따라 목표 사물에 더 빨리, 오래 집중하는 반면, 비친숙한 VSD 화면이 제시되었을 때에는 새로운 영역에 시선을 고정하느라 상대적으로 목표 사물에 시선을 고정한 시간의 비율이 작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아동 대상 아이트랙킹 연구의 두번째 프로젝트는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AAC 감정 상징을 변형하여 상징의 각 세부 영역이 상징의 도상성을 높이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는 비장애인 초등학교 고학년만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아동들은 얼굴 표정 외의 감정 표현 요소가 포함되었을 때, 해당 요소가 의도적으로 제거되었을 때에 비해, 더 상징의 의미를 정확하고 빠르게 응답할 수 있었으며, 시선 집중 패턴 또한 상징 변형 전과 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집단에 대한 아이트랙킹 실험은 비장애인 성인을 대상으로 VSD에 포함된 인물의 사물 사용 유무에 따라서 어떻게 시각인지처리를 다르게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사물을 사용하고 있는 장면이 포함된 VSD가 제시되었을 때, 더 목표 사물에 시선을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아이트랙킹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과제에서는 AAC 상징 및 화면 디자인에 대한 몇가지 제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제안을 검증하고자 하는 과정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AAC 임상 경력을 가진 6명의 언어재활사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도출된 AAC 상징 및 화면 디자인에 대한 제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이 제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