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체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월경곤란증, 월경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i-exercise Program on Dysmenorrhea, Menstrual Pain and Str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2018S1A5B5A07073981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11월 01일 ~ 201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연아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약 86%가 월경곤란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중 32.5%는 심한 정도의 월경곤란증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가현, 정휘수, 이동욱, 박기흠, 2010). 또한 미국 내 월경곤란증으로 인해 손실되는 시간은 년 60억 시간으로 보고되고 있고(Hsu, Yang &Yang, 2006), 국내에서도 직장 결근 또는 학교 결석을 초래하는 단일 원인으로 가장 큰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장영심, 2002). 월경곤란증 및 월경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방해를 받고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문제나 사회경제적 손실을 감안한다면 이 문제에 대해 의미 있게 연구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월경곤란증과 월경통을 가진 대상자들은 통증 완화방법으로 진통제 복용을 빈번히 사용하고 있는데(Cronje & Kritzinger, 1991; Robinson etal, 1992; Gould, 1994; Hewison, 1996; 이경숙, 1996; 정민, 1997; 이인숙, 1998), 진통제의 효율성은 빠르지만 효과는 일시적이고 황달, 가려움증, 복통, 설사와 같은 간독성, 소변배설량 감소 같은 신기능 장애, 오심, 구토, 복통과 같은 소화기계 장애 등 많은 부작용을 유발(Hsu, Yang, & Yang, 2006)하기 때문에 비약물적이며 간편하게 스스로 월경 불편감을 관리할 수 있는 대처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체조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대생들의 월경곤란증, 월경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여대생들의 여대생들의 건강한 일상 생활 영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다.
  • 기대효과
  • 현재 여대생들의 건강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여대생들의 월경곤란증, 월경통증 및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과 결석으로 인한 시간 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여대생들의 건강과 체력증진 및 건강한 일상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20대부터 자기 스스로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유지 할 수 있는 효율적 실천 프로그램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학교 보건 진료소 게시판과 학교 인테넷 게시판을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여대생들 중 의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으며, 최근 3개월간 규칙적인 운동을 시행하지 않는 여대생들 1차적으로 모집 할 예정이다. 이들 중에서 기초 설문지 자료, 월경 관련 특성, 월경곤란증 설문지를 통하여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대상자를 선정할 것이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연구의 방법의 적절성과 연구 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본교 생명윤리 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받을 것이며 정해진 절차와 순서에 따를 것이다. 또한 선정된 연구 대상자들에게는 정확한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전체 실험 대상자에게 서면으로 실험 동의서를 받을 것이며, 신체 측정도 실시할 예정이다. 운동군은 12주간, 주 3회, 회당 60분의 기체조 프로그램을 본교 무용실에서 요가매트와 편안한 복장을 갖추고 진행 할 것이다. 통제군은 운동프로그램 적용 없이 평상시 생활패턴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월경곤란증, 월경통증, 스트레스를 측정할 예정이다.
    월경곤란증(Dysmenorrhea)는 월경곤란증 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Moss(1968)가 개발한 월경곤란증 측정 도구(MMDQ: Mos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를 김정은(1995)이 수정, 보완한 35문항 6점 척도의 도구로 월경곤란증을 측정하고 측정된 점수를 사용한다. 월경통증은 월경 전후에 나타나는 하복부 통증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상사 척도(VAS; visual analogue scale)로 측정한 통증점수를 측정하고, 스트레스 측정 도구는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허봉렬(1996)이 수정 보완하여 타당성을 검증한 BEPSI-K(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n)척도를 사용하여 5점 척도로 점수를 합산하여 측정한후 5로 나누어 그 평균값을 이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조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대생들의 월경곤란증, 월경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여대생들의 여대생들의 건강한 일상 생활 영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가 월경특성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여대생 232명을 운동 비참여군(n=158)과 운동참여군(소극적 참여군 n=25, 1~2일/주, 적극적 참여군 n=49, 3일 이상/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분석결과, 운동특성을 제외한 일반적 특성과 월경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분석결과, 운동참여 빈도의 주효과 및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의 경우, 수면시간(p<.001)과 월경곤란증(p<.001)에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결과, 운동참여 빈도는 주요 변인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는 수면시간과 부적상관(p<.001)이 나타났다. 월경기간은 월경주기와 정적상관(p<.05), 초경나이와 부적상관(p<.05)이 나타났고 월경곤란증은 스트레스(p<.001)와 월경통증(p<.001)과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수면시간(p<.01)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추후 월경통증 및 월경곤란증 예방 및 완화 운동 프로그램 개발 시 스트레스를 완화 시킬 수 있는 운동 중재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by female college students'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tress level. For this, the data was analyzed after classifying the 232 female college students into a non-exercise group(n=158) and exercise group(passive exercise group n=25, 1~2 times per week, and active exercise group n=49, more than 3 times per week). For data progressing, 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cross tabulation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OVA, and a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use of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and menstrual characteristics except exercise characteristics. Secondly, as a result of variation analysis by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tress level, there was no main effect on the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there was no effective interaction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tress level, but in case of stress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ive interaction on sleep duration(p<.001) and dysmenorrhea according to stress level(p<.001).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major variables,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had no correlations with major variables, but stress leve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leep duration(p<.001). The menstrual period had no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ge of the first period(p<.05), but menstrual period(p<.05). The Dysmenorrhea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level(p<.001) and menstrual pain(p<.001), but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leep duration(p<.01).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alleviate stress in developing programs of prevention and relief from menstrual pain and dysmenorrh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가 월경특성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여대생 232명을 운동 비참여군(n=158)과 운동참여군(소극적 참여군 n=25, 1~2일/주, 적극적 참여군 n=49, 3일 이상/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분석결과, 운동특성을 제외한 일반적 특성과 월경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분석결과, 운동참여 빈도의 주효과 및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의 경우, 수면시간(p<.001)과 월경곤란증(p<.001)에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결과, 운동참여 빈도는 주요 변인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는 수면시간과 부적상관(p<.001)이 나타났다. 월경기간은 월경주기와 정적상관(p<.05), 초경나이와 부적상관(p<.05)이 나타났고 월경곤란증은 스트레스(p<.001)와 월경통증(p<.001)과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수면시간(p<.01)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추후 월경통증 및 월경곤란증 예방 및 완화 운동 프로그램 개발 시 스트레스를 완화 시킬 수 있는 운동 중재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여대생의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가 월경특성 및 월경곤랑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분석결과, 운동특성(운동시간, 운동참여 빈도, 운동형태)을 제외한 일반적 특성과 월경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분석결과, 운동참여 빈도의 주효과 및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의 경우, 수면시간(p<.001)과 월경곤란증(p<.001)에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결과, 운동참여 빈도는 주요 변인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는 수면시간과 부적상관(p<.001)이 나타났다. 월경기간은 월경주기와 정적상관(p<.05), 초경나이와 부적상관(p<.05)이 나타났고, 월경곤란증은 스트레스(p<.001)와 월경통증(p<.001)과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수면시간(p<.01)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운동참여 빈도의 주효과와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추후에는 다양한 집단군에서 운동형태와 참여 시간, 참여 기간에 따른 월경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월경통증 및 월경곤란증 예방 및 완화 운동 프로그램 개발시 스트레스를 완화 시킬 수 있는 운동 중재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색인어
  • 여대생, 운동참여 빈도, 스트레스, 월경, 월경곤란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