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약 86%가 월경곤란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중 32.5%는 심한 정도의 월경곤란증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가현, 정휘수, 이동욱, 박기흠, 2010). 또한 미국 내 월경곤란증으로 인해 손실되는 시간은 년 60억 시간으로 보고되 ...
우리나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약 86%가 월경곤란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중 32.5%는 심한 정도의 월경곤란증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가현, 정휘수, 이동욱, 박기흠, 2010). 또한 미국 내 월경곤란증으로 인해 손실되는 시간은 년 60억 시간으로 보고되고 있고(Hsu, Yang &Yang, 2006), 국내에서도 직장 결근 또는 학교 결석을 초래하는 단일 원인으로 가장 큰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장영심, 2002). 월경곤란증 및 월경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방해를 받고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문제나 사회경제적 손실을 감안한다면 이 문제에 대해 의미 있게 연구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월경곤란증과 월경통을 가진 대상자들은 통증 완화방법으로 진통제 복용을 빈번히 사용하고 있는데(Cronje & Kritzinger, 1991; Robinson etal, 1992; Gould, 1994; Hewison, 1996; 이경숙, 1996; 정민, 1997; 이인숙, 1998), 진통제의 효율성은 빠르지만 효과는 일시적이고 황달, 가려움증, 복통, 설사와 같은 간독성, 소변배설량 감소 같은 신기능 장애, 오심, 구토, 복통과 같은 소화기계 장애 등 많은 부작용을 유발(Hsu, Yang, & Yang, 2006)하기 때문에 비약물적이며 간편하게 스스로 월경 불편감을 관리할 수 있는 대처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체조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대생들의 월경곤란증, 월경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여대생들의 여대생들의 건강한 일상 생활 영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