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다중시점 3D VR 기술을 바탕으로 HMD기기 및 보조 디바이스 활용 가상현실 플랫폼을 구축하고, 구강의 생체공학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인식에 대한 표준화 모델 정립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3D 가상현실 기 ...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점 3D VR 기술을 바탕으로 HMD기기 및 보조 디바이스 활용 가상현실 플랫폼을 구축하고, 구강의 생체공학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인식에 대한 표준화 모델 정립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3D 가상현실 기반 E-edu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1. IPA 분석을 이용한 영어교육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 분석을 통해 E-edu 시스템 기획에 대한 우선 순위 도출 2. HMD & 모션컨트롤러 VR 인터렉티브 시스템 개발 및 학습환경 VR을 구현하고, HMD 환경에 적합한 UI/UX를 개발하여 VR 영어 발음 교육 체험 훈련 콘텐츠 부스 시제품 제작 3. 사용자 카메라 시점을 적용한 3D그래픽, UI/UX 디자인 개발 및 VR 인터페이스, 음성인식솔루션, 콘텐츠 DB를 구축하여 최종 VR 영어 발음 교육 인터렉션 개발 4. 구강의 생체공학적 특성을 감안한 영어 발음을 실시간 렌더링하고, 음성인식 운영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3D, VR 기반 E-edu 평가 시스템 구축 5. 3D, VR E-edu 시스템이 의사소통역량, 학습몰입, 인지부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기대효과
1. 학문적 · 사회적 기여도 ■ 영어교육학, 생체공학, 전자공학 등 다학제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문 영역 확장 ■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근거자료 제공 ■ 의사소통 역량 강화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정량적 자료 확보
2. 경제 ․ ...
1. 학문적 · 사회적 기여도 ■ 영어교육학, 생체공학, 전자공학 등 다학제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문 영역 확장 ■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근거자료 제공 ■ 의사소통 역량 강화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정량적 자료 확보
2. 경제 ․ 산업적 기여도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방법에 대한 방향 제시 및 지역사회 및 국가의 교육 정책결정에 기여 ■ 영어 의사소통 역량 육성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
3. 인력양성 방안 ■ 연구보조원에게 3D 및 VR 개발 전문가 및 연구자로서의 방향 제시 ■ 음성처리 전문가 과정 운영으로 원천 기술 개발에 필요한 음성인식처리 기술력을 갖춘 핵심 인재 양성 배출에 일조 ■ E-edu 시스템 구축으로 특화된 의사소통 강화 프로그램 기획에 기여 ■ 교육과정에서 교과 및 비교과 교과목 개설과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E-edu 시스템 적용 및 확산
4.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E-edu 시스템을 활용하여 영어 교육 관련 교재 및 참고자료로 활용 ■ E-edu 시스템 구축으로 특화된 의사소통 강화 프로그램 기획에 기여 ■ 교육과정에서 교과 및 비교과 교과목 개설과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E-edu 시스템 적용 및 확산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가상현실 기반 구강 내 생체공학적 E-educ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이를 위한 연구방법의 전체 개요는 1) E-edu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획·설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2) E-edu 시스템 개발 및 ...
▮ 본 연구는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가상현실 기반 구강 내 생체공학적 E-educ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이를 위한 연구방법의 전체 개요는 1) E-edu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획·설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2) E-edu 시스템 개발 및 학습콘텐츠 DB 구축, 3) E-edu 시스템 효과성 검증 및 평가시스템 구현으로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음. ▮ 1차 년도 - E-edu 시스템 설계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 : 문헌분석, 현 VR 교육시스템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인터뷰, 실험법 등을 적용하여 영어 발음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을 실시 - VR 기술개발은 교육환경 구현 - HMD & 모션컨트롤러 VR 인터렉티브 시스템 개발 - HMD 환경에 적합한 UI/UX 개발 등의 인터페이스 구현
▮ 2차 년도 - E-edu 시스템 개발 및 학습콘텐츠 DB를 구축 ; VR 인터페이스, 음성인식 솔루션, 학습콘텐츠를 구축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
▮ 3차 년도 - E-edu 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 영어 의사소통역량, 학습몰입, 만족도 등의 양적자료 분석 - 평가시스템을 구현 - 음성인식 운영프로그램을 구현 : 평가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 본 연구는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가상현실 기반 구강 내 생체공학적 E-edu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이를 위한 연구방법의 전체 개요는 1) E-edu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획·설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2) E-edu 시스템 개발 및 ...
- 본 연구는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가상현실 기반 구강 내 생체공학적 E-edu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이를 위한 연구방법의 전체 개요는 1) E-edu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획·설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2) E-edu 시스템 개발 및 학습콘텐츠 DB 구축, 3) E-edu 시스템 효과성 검증 및 평가시스템 구현으로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음. [ 1차 년도 ] - E-edu 시스템 설계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 : 문헌분석, 현 VR 교육시스템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인터뷰, 실험법 등을 적용하여 영어 발음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을 실시 - VR 기술개발은 교육환경 구현 - HMD & 모션컨트롤러 VR 인터렉티브 시스템 개발 - HMD 환경에 적합한 UI/UX 개발 등의 인터페이스 구현 [ 2차 년도 ] - E-edu 시스템 개발 및 학습콘텐츠 DB를 구축 ; VR 인터페이스, 음성인식 솔루션, 학습콘텐츠를 구축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 [ 3차 년도 ] - E-edu 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 영어 의사소통역량, 학습몰입, 만족도 등의 양적자료 분석 - 평가시스템을 구현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3D virtual reality-based intraoral bionic E-edu system that can improv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rrect pronunciation. - The overall outline of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s 1) planning, design, and guidel ...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3D virtual reality-based intraoral bionic E-edu system that can improv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rrect pronunciation. - The overall outline of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s 1) planning, design, and guideline development for E-edu system development 2) E-edu system development and learning content DB construction, 3) E-edu system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evaluation system Implement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steps. [ 1st year ] - E-edu system design and guideline development: Conduct analysis of needs for English pronunciation education by applying literature analysis,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experimental methods targeting current VR education system users - VR technology development realizes educational environment - HMD & motion controller VR interactive system development - Implementation of interface such as UI/UX development suitable for HMD environment [ 2nd year ] - E-edu system development and learning contents DB construction; Implementation of VR interface, voice recognition solution, learning content, and usability evaluation through expert council [ 3rd year ] -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E-edu system: Analyze quantitative data such a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learning immersion, and satisfaction -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점 3D, VR 기술을 바탕으로 HMD기기 및 보조 디바이스 활용 가상현실 플랫폼을 구축하고, 구강의 생체공학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인식에 대한 표준화 모델 정립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3D 가상현실 기 ...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점 3D, VR 기술을 바탕으로 HMD기기 및 보조 디바이스 활용 가상현실 플랫폼을 구축하고, 구강의 생체공학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인식에 대한 표준화 모델 정립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올바른 발음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3D 가상현실 기반 E-edu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음.
1. IPA 분석을 이용한 영어교육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 분석 및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E-edu 시스템 기획 및 설계원리 도출 2. HMD & 모션컨트롤러 VR 인터렉티브 시스템 개발 및 학습환경 VR을 구현하고, HMD 환경에 적합한 UI/UX를 개발 3. 사용자 카메라 시점을 적용한 3D그래픽, UI/UX 디자인 개발 및 VR 인터페이스, 음성인식솔루션, 콘텐츠 DB를 구축하여 최종 VR 영어 발음 교육 인터렉션 개발 4. 구강의 생체공학적 특성을 감안한 영어 발음을 실시간 렌더링하고, 음성인식 운영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3D, VR 기반 E-edu 평가 시스템 구축 5. 3D, VR E-edu 시스템이 의사소통역량, 학습몰입, 인지부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및 평가시스템 구축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영어교육학, 생체공학, 전자공학 등 다학제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문 영역 확장 : 글로벌 역량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방법에 대한 방향 제시 및 지역사회 및 국가의 교육 정책결정에 기여 - 영어 의 ...
- 본 연구를 통해 영어교육학, 생체공학, 전자공학 등 다학제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문 영역 확장 : 글로벌 역량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방법에 대한 방향 제시 및 지역사회 및 국가의 교육 정책결정에 기여 - 영어 의사소통 역량 육성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 - 교육과정에서 교과 및 비교과 교과목 개설과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E-edu 시스템 적용 및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