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에 나타난 아랍 이슬람 문화
Arab Islamic culture in Boccaccio’s Decamer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110392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12월 01일 ~ 2020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승수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데카메론』은 지중해 문화의 다양성과 동서양 교류의 예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데카메론』에 영향을 준 원천 텍스트가 무엇인지에 대한 비교연구는 그동안 많이 행해져 왔지만 아랍 이슬람 문화의 영향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많이 소외 되어온 게 사실이다. 이것은 주로 서구중심의 시각에서 역사가 기술되고 문학 연구가 행해졌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우리 세계는 동양과 서양, 두 세계의 이해와 화합, 분열보다는 통합의 내러티브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타문화를 반감 없이 받아들인 보카치오의 열린 정신을『데카메론』에서 확인하고, 그 중요성과 영향력에 비해 많이 간과되어 온 아랍 이슬람 문화의 영향과 가치를 조명함으로써 서구 중심의 문화 인식을 벗어나 다각적인 시각에서 동양과 서양이 공존하는『데카메론』의 세계를 바라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데카메론』의 액자구조가 유럽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친 중요한 요소라 보고, 신드바드의 한 버전인 『로마의 일곱 현인이야기I Sette Savi di Roma』의 액자구조가 『데카메론』의 액자구조에 준 영향을 비교분석할 것이다. 또한 『로마의 일곱 현인이야기』와 페트루스 알퐁시의 라틴어 서적 『수도사를 위한 지침서Disciplina Clericalis』의 이야기가 『데카메론』에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 연구하면서 아랍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데카메론』의 여러 이야기에 아랍 이슬람 문화가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되었으며 보카치오가 얼마나 열린 마음으로 타 문화를 바라보았는지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시대의 우리의 자세를 다시금 생각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 『데카메론』은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가 고전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아랍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밝힘으로써,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이 동서양 교류의 훌륭한 결과물이며 지중해 문화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작품임을 다시금 인식하고자 한다. 또한 동양과 서양 비교 텍스트들 사이에 담긴 풍습과 인간상을 조명하면서 서구 중심적 역사 인식에서 벗어나 작품을 다각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의미 있는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2) 사회적 기여:『데카메론』은 몇 백 년 전의 작품이지만 그 안에 담겨 있는 역사 정치적 시대상, 인간의 삶의 모습은 오늘의 우리와 많이 다르지 않다. 『데카메론』 안에는 아랍 이슬람 문화와 인물들의 모습이 많이 담겨 있다. 보카치오는 아랍 이슬람 문화를 적대시하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데카메론』에 담았으며 그런 보카치오의 정신은 여러 문화가 공존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역시 배워야할 점이라 생각한다. 이 연구는『데카메론』을 읽는 많은 독자들이 보다 폭넓고 다각적인 시각에서 작품을 보고 그 안에 담긴 문화와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3) 교육의 연관성: 『데카메론』은 이탈리아어전공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읽어야 할 필독서다. 대학 관련 강의 과목에서 지중해 문화의 다양성과 동서양 교류의 예로 『데카메론』을 소개함으로써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시기의 동서양 문화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 연구요약
  • 신드바드 이야기는 아랍 세계에서 확산되어 이후 가장 큰 단편모음집 『천일야화』의 일부로 들어갔지만 신드바드 이야기 자체는 다양한 제목과 버전으로 번역되어 유럽에 이미 들어왔고 『데카메론』에 영향을 끼쳤다.『로마의 일곱 현인 이야기』라는 제목의 신드바드 버전이 1150년 경 유럽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13세기 이탈리아에도 들어왔다. 서구 중심적 사고의 일부 학자들은 아플레이우스의 『황금당나귀』가 일부 액자구조 형식을 취하고 있고 보카치오의 몇몇 이야기의 원천이기 때문에 동양의 영향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신드바드의 이야기가 액자와 내용이 좀 더 상호의존적이며, 시간을 연기하기 위해 이야기 한다는 점에서 『데카메론』과 더 비슷하다.
    또한 12세기 초에 집필된 페트루스 알퐁시의 『수도사를 위한 지침서disciplina clericalis』 역시 『데카메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의 이야기는 아랍 출처가 여럿이고, 동양과 서양의 이야기를 이어주는 중요한 연결고리이다.
    『데카메론』의 VII, 4 우물 이야기는 『일곱 현인 이야기』의 네 번째 현인 이야기와 『수도사를 위한 지침서』의 14화에 모두 나타난다. 여성의 기지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두 이야기와는 달리 보카치오는 여성의 기지를 악마의 생각이 아니라 인간 정신의 결과라는 긍정적 가치를 부여하고, 이런 시각의 차이는 이야기에 작은 차이를 만들어낸다. 우정 이야기인 『데카메론』 X,8 이야기와 『수도사를 위한 지침서』의 2화, 『데카메론』 VII,10 이야기 와 『수도사를 위한 지침서』의 15화가 비슷하다.
    『데카메론』에서 동양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세 번째 날 도입부의 천국 정원은 고대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이다. De mauro 이탈리아어 사전에서 ‘paradiso’라는 용어의 어원을 찾아보면 정원을 의미하는 고대 페르시아어 pairi-daeza로 거슬러 올라간다.『데카메론』액자 안 이야기 곳곳에서도 아랍 이슬람의 도시, 인물, 문화가 보인다. 보카치오는 당대의 많은 이탈리아인들과 달리 이슬람 도시를 번영, 행운, 사랑의 장소로 바라보고 살라딘 같은 아랍의 인물을 도량 넓은 관대한 인물로 묘사한다. 보카치오는 첫 번째 날 두 이야기에서 십자군 전쟁을 다루는데, 단테에게 십자군 전쟁은 성스런 테마인데 반해 보카치오는 십자군 원정의 가치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고 단지 이야기의 역사적 배경으로만 다룬다.
    ‘사라센인saraceno’라는 단어가 『데카메론』에 11번 언급되는데 모두 아랍인들, 일반적으로 이슬람교도를 언급하지만 문화적 혹은 종교적 적의를 품은 경멸의 단어가 아니다. I,3 유명한 세 반지 이야기에서 보카치오는 각각의 민족 모두 하나님의 적법한 유산과 참된 율법과 하나님의 계명을 받아 살아가고 있다고 이야기하면 진실은 어느 한쪽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보카치오는 살라딘을 통해 경계 없는 열린 세상, 문화 종교적 갈등을 넘어선 세계에 대한 작가의 이상을 표현하고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평화적 공존을 얘기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데카메론』은 다채로운 지중해 문화와 동서양 교류의 예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중세 시대 아랍 이슬람 문화는 유럽에 유입되어 서양 문화를 풍성케 했으며 그 영향이 『데카메론』에 나타났다. 아랍 세계의 단편모음집 『천일야화』의 액자구조와 『데카메론』의 액자구조가 비슷하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신드바드 이야기는 아랍 세계에서 확산되어 나중에 가장 큰 단편모음집 『천일야화』에 일부로 들어갔지만, 신드바드 이야기 자체는 다양한 제목과 버전으로 유럽에 이미 들어와 있었다. 본 연구는 『데카메론』의 액자구조가 유럽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친 중요한 요소라 보고, 신드바드의 한 버전인 『로마의 일곱 현인I Sette Savi di Roma』의 액자구조와 『데카메론』의 액자구조의 상호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로마의 일곱 현인』 속 이야기와 페트루스 알퐁시의 라틴어 서적 『교회의 규율Disciplina Clericalis』의 이야기가 『데카메론』의 이야기에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 연구함으로써 아랍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확인할 것이다.
    신드바드 이야기는 다양한 언어로 다른 제목과 내용을 가지고 서양에 확산되었다. 여러 이야기가 첨삭되면서 동양판과 서양판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많은 학자들은 이 이야기의 기원을 인도로 본다. 알레산드로 단코나는 신드바드 이야기가 십자군 전쟁을 통해 유럽으로 들어왔다고 주장한다. 이외에도 지중해 동쪽 도시들과 소아시아를 알려고 갔던 스페인 안달루시아 학자들을 통해서 전해졌다는 설과 프랑스 왕국이 1099년 예루살렘을 정복하면서 프랑스인들에 의해 전해졌다는 설 등등이 있다. 아무튼 I Sette Savi di Roma 신드바드 버전은 1150 경 유럽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면 13세기 초에 이탈리아에 들어왔다.
    『로마의 일곱 현인』은 13세기 중반, 교훈적인 성격의 exempla를 담고 있는 액자 형식의 설화집이다. 『데카메론』의 액자구조는 이전의 중세 작가들에게 볼 수 없던 새로운 내러티브 유형이어서 동시대인의 관심과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데카메론』과 『일곱 현인』 두 작품의 공통점은 첫째 죽음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시간을 늦추며 이야기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공통점은 액자이야기와 내용이 상호의존적이라는 것이다. 액자와 내용 사이의 상호 의존 관계는 『일곱 현인』이 『데카메론』에 비해 직접적이고 분명하다. 왕자가 죽을 위험에 처하고, 일곱 현인은 형을 연기하기 위해 행동한다. 『데카메론』의 액자구성은 『일곱 현인』 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짜임새 있으며, 액자 이야기와 액자 안의 이야기들의 상호의존 관계는 보다 세밀하고 유기적이다.
    『데카메론』의 일곱째 날 네 번째 이야기는 『일곱 현인』 네 번째 현인 렌툴루스의 이야기와 『교회의 규율』 14화 우물 이야기에 모두 있는 이야기이기에 중요하다. 우정 이야기인 『데카메론』 열째 날 여덟 번째 이야기와 『교회의 규율』의 2화는 큰 줄거리와 구성이 비슷하다. 『데카메론』 의 여덟 째날 열 번째 이야기 와 『교회의 규율』의 15화 열 개의 상자는 속고 속이는 이야기의 틀이 비슷하다. 보카치오가 『일곱 현인』과 『교회의 규율』의 이야기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같은 이야기를 재구성하면서 이름, 배경, 인물의 성격과 행동, 사건의 인과관계를 보다 명확히 묘사하여 현실성을 높였다는 게 특징이다.
    『데카메론』에서 동양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세 번째 날 도입부의 정원이다. 학자들은 서양 신비한 정원의 이미지에 영향을 준 것은 이슬람이라고 주장한다. 바질레Basile에 따르면 정원의 형태는 고대 페르시아 문화로 거슬러 올라가고 페르시아 문화가 아랍에 전승시켰다.
    『데카메론』 액자 안 이야기 곳곳에서도 아랍 이슬람의 도시, 인물, 문화가 보인다. 보카치오는 당대의 많은 이탈리아인들과 달리 이슬람 도시를 번영, 행운, 사랑의 장소로 바라보고 살라딘 같은 아랍의 인물을 도량 넓은 관대한 인물로 묘사한다. 『데카메론』에서 보카치오는 살라딘을 통해 경계가 없는 열린 세상, 문화 종교적 갈등을 넘어선 세계에 대한 작가의 이상을 표현하고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평화적 공존을 얘기한다. 『데카메론』 X,9의 중심테마는 기독교 세계 토렐로 씨와 이슬람 세계의 상징 술탄 살라딘 사이의 우정이다.
    『데카메론』에서 이슬람 세계는 기독교 세계에서 주지 않았던 부와 명예를 주는 기회의 땅이기도 하다.
  • 영문
  • Decameron is a work that shows an example of a variety of Mediterranean cultures and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Arab Islamic culture in the Middle Ages entered Europe and enriched Western culture, and its influence appeared in Decameron. It is a known fact that the frame structure of the Arab world'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One thousand and One Nights,” and that of “Decameron” are similar. The story of Sindbad spread in the Arab world and later entered as part of the largest collection of short stories, "One Thousand and One Nights" but the story of Sindbad already entered Europe with various titles and versions. This study regarded the frame structure of Decameron as an important factor that had a lot of influence on European literature,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frame structure of The Seven Sages of Rome, a version of Sindbad, and the frame structure of Decameron. I would like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Arab Islamic culture will be confirmed by studying how the story in Seven Sages of Rome and the story of Petrus Alfonsi's Latin book Disciplina Clericalis are transformed into the story of Decameron.
    The Sindbad story spread to the West in a variety of languages, with different titles and content. As various stories are revised, the Asian version and the Western version show a lot of difference. Many scholars see the origin of this story as India. Alessandro D'Ancona argues that the Sindbad story came to Europe through the Crusades. In addition, there are theories that were handed down by Spanish Andalusian scholars who went to know the cities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and Asia Minor, and that the French kingdom was handed down by the French when they conquered Jerusalem in 1099. Anyway, I Sette Savi di Roma's version of Sindhvard came to Italy in the early 13th century, assuming it was introduced to Europe around 1150.
    The Seven Sages of Rome is a framed collection of folktales containing exempla of a didactic character in the mid-13th century. The frame structure of Decameron was a new type of narrative that could not be seen by medieval writers before, thus arousing interest and curiosity of the contemporaries. The common point between the two works of Decameron and Seven Sages is that they talk about delaying time in order to escape from the death. Another common point is that framed stories and content are interdependent. The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and the content is more direct and clear in Seven Sages than Decameron. The prince is in danger of dying, and the seven wise men act to postpone execution. The frame structure of Decameron is much more systematic and structured than Seven Sages, and the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d story and the stories in the frame is more detailed and organic.
    The fourth story on the seventh day of Decameron is important because it is in both the story of the 4th sage of Seven Sages, Lentolus and the story of the well in Chapter 14 of Disciplina Clericalis. The eighth story of the tenth day of Decameron, the story of friendship, and the 2nd episode of Disciplina Clericalis , are similar in large plot and composition. The 10th story of the eighth day of Decameron and the 10 boxes of episode 15 of Disciplina Clericalis have a similar frame of deception and deception. Although Boccaccio was influenced by the stories of Seven Sages and Disciplina Clericalis , it is characterized by reorganizing the same story and enhancing the reality by more clearly describing the name, background, character's character and behavior, and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event.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 Decameron where you can feel the oriental atmosphere is the garden at the beginning of the third day. Scholars argue that it was Islam that influenced the image of the mysterious Western garden. According to Basile, the shape of the garden dates back to ancient Persian culture and was passed down to the Arabs by Persian culture.
    Arab Islamic cities, people, and culture can be seen everywhere in the story in the frame of Decameron. Unlike many Italians of his day, Boccaccio views Islamic cities as a place of prosperity, luck, and love, and portrays Arab figures like Saladin as generous figures. In Decameron, Boccaccio expresses the artist's ideal of an open world without boundaries and a world beyond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s through Saladin and talks about peaceful coexistence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The central theme of Decameron X,9 is the friendship between Mr. Torello from the Christian world and Sultan Saladin, the symbol of the Islamic world.
    In Decameron, the Islamic world is also a land of opportunities that give wealth and honor that the Christian world did no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데카메론』은 다채로운 지중해 문화와 동서양 교류의 예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중세 시대 아랍 이슬람 문화는 유럽에 유입되어 서양 문화를 풍성케 했으며 그 영향이 『데카메론』에 나타났다. 아랍 세계의 단편모음집 『천일야화』의 액자구조와 『데카메론』의 액자구조가 비슷하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신드바드 이야기는 아랍 세계에서 확산되어 나중에 가장 큰 단편모음집 『천일야화』에 일부로 들어갔지만, 신드바드 이야기 자체는 다양한 제목과 버전으로 유럽에 이미 들어와 있었다. 본 연구는 『데카메론』의 액자구조가 유럽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친 중요한 요소라 보고, 신드바드의 한 버전인 『로마의 일곱 현인I Sette Savi di Roma』의 액자구조와 『데카메론』의 액자구조의 상호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로마의 일곱 현인』 속 이야기와 페트루스 알퐁시의 라틴어 서적 『교회의 규율Disciplina Clericalis』의 이야기가 『데카메론』의 이야기에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 연구함으로써 아랍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확인할 것이다. 또한 『데카메론』 속 아랍 이슬람 요소들을 배경, 풍습, 인물들을 중심으로 연구하면서 타 문화를 반감 없이 받아들인 보카치오의 열린 마음을 확인하고, 다문화 시대 통합과 공존을 추구해야 할 우리들이 서구 중심의 세계관을 벗어나 폭넓고 다각적인 시각에서 역사와 문화를 살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데카메론』은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가 고전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아랍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밝힘으로써,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이 동서양 교류의 훌륭한 결과물이며 지중해 문화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작품임을 다시금 인식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동서양 비교 텍스트들 사이에 담긴 풍습과 세계관을 새로이 조명하면서 서구 중심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작품을 다각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의미 있는 연구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데카메론』은 이탈리아어전공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읽어야 할 필독서다. 대학 관련 강의 과목에서 지중해 문화의 다양성과 동서양 교류의 예로 『데카메론』을 소개함으로써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시기의 유럽문화를 아랍문화와의 관계 안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색인어
  • 보카치오, 데카메론, 신드바드, 로마의 일곱 현인 이야기, 교회의 규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