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치료적 도구로서의 감사: 회복력 증진을 중심으로
Gratitude as a Therapeutic Tool: Centering on Resilience Improve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111132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6 개월 (2019년 12월 01일 ~ 2021년 05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효주
연구수행기관 목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현대 과학적 검증 방법을 거친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앞에서 심리적 회복력을 증진하게 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으로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별히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스트레스와 회복력을 연구하는 하트매스 연구소(HeartMath Institute)에서의 연구와 긍정심리학에서의 연구에서의 공통점을 긍정 감정을 활용한 심리적 회복력 향상에 있다고 보고, 감사와 기쁨 등의 긍정 감정의 활성화를 이용하여 회복력을 향상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감사나 기쁨 등의 긍정 감정은 찬송과 성경에서 계속해서 강조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목회상담 영역에서 긍정 감정을 치유의 도구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심리적 회복력 향상을 위하여 심장집중호흡(heart-focused breathing)과 감사일기 쓰기를 제안하고 그 원리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한국 내에서 긍정심리학과 긍정심리를 이용한 회복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은 아직 일반 대중에게 크게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며, 소수의 센터에서 비싼 가격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형편이다. 특별히 목회상담 분과에서 이 분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이 연구는 1991년 설립된 신경과학을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회복력을 연구하는 하트매스 연구소(HeartMath Institute)의 연구와 1998년 이후로 새롭게 떠오르는 긍정리학에서의 연구의 공통점을 긍정 감정을 활용한 회복력 증진이라 이해하고, 이 원리를 소개하고 목회상담 영역에 감사를 회복력 증진을 위한 치료적 도구로 소개하여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이 회복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원리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경제적이고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특수한 부류의 사람들만이 아니라, 일반인들에게까지 긍정 감정을 활용한 회복력 향상의 원리를 전파하는 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엇보다, 기독교적 전통에서 오래도록 강조해 왔던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소개하는 것은 잊혀진 가치의 재발견이라는 면에서 큰 의의가 있을 뿐 아니라, 목회상담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나아가, 긍정심리학과 신경과학 분과와의 학제 간 대화를 시도한다는 면에서 이 연구는 선구자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목회상담사들은 스트레스가 생리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고, 스트레스 상황 앞에서 회복력 증진을 위해서 어떤 반응을 선택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회복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첫째, 회복력이란 개념의 정의를 회복력을 처음 연구한 에미 워너(Emmy Werner)와 루쓰 스미스(Ruth Smith)의 Overcoming the Odd: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를 통해서 소개하고, 워너와 스미스의 연구가 가진 한계를 소개한다. 이러한 한계가 지난 30년간 이루어진 신경과학과 긍정심리학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보완될 수 있음을 밝히면서, 왜 회복력의 증진을 위한 훈련을 해야 하는지 밝힌다.
    둘째, 회복력을 향상하려는 방안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의도적인 선택을 하도록 이끌기 위해서는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스트레스의 아버지라 불리는 한스 셀리에(Hans Selye)의 Stress without Distress(1974)라는 연구를 시작으로 알려진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호르몬이 부신(副腎)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서 스트레스의 영향을 깨닫고, 심리적 회복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반응을 의도적으로 선택해야 함을 알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궁극적으로 스트레스 상황 앞에서 심리적 회복력을 잃지 않기 위한 반응을 신경과학의 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하트매스 연구소에서의 연구와 긍정심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트매스의 연구와 긍정심리학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의 공통점을 치유와 회복을 위해서 긍정감정을 활용하는 것에서 찾고, 그 원리를 파악하고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찾아본다. 심장집중호흡과 감사일기 쓰기라는 실천 뒤에 어떤 원리가 있는지 소개하고, 이 실천들을 삶 속에 옮겨본 약 120명의 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감사가 치료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소개한다. 질병모델에 기초를 둔 심리학에 영향을 받은 목회상담분과가 긍정심리학 분과와 대화함을 통해서, 목회상담에서 심리적 회복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감사는 기독교 전통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치 중 하나지만, 현재 다른 심리학 분야에서 더 활발하게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이루어진 과학적 연구 결과와 연구자가 디자인한 경험적 데이터 분석을 기초로 하여 치료적 도구로의 가치를 가진 감사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질병치료 모델에 바탕을 둔 심리학에서 영향을 받은 목회상담이 문제를 치료하고 없애는 데에 주된 관심을 기울여 왔음을 살피고, 감사로 대표되는 긍정 감정이 가진 치료적 효과에 대해 신경과학(neuroscience)과 신경생리학(neurophysiology)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하트매스 연구소에서의 심박변동률(Heart Rate Variavility)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이어서, 88명의 학생이 14주간 감사일기를 쓴 경험을 질적분석을 통해 통합 분석하여 얻어낸 다섯 가지 주제를 통해 소개한다. 이와 같은 긍정 감정의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목회상담에 어떠한 제안을 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여 목회상담은 질병치료 모델을 벗어나, 더 성장하고 확장되어 가기 위해서 감사를 진지하게 치료적 도구로서 받아들여야 함을 제안한다. 목회상담 안에서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소개하는 이러한 시도는 처음으로 질적분석을 통한 보고이기는 하나 경험적 결과를 소개한다는 데 큰 의의를 가지며, 기독교 전통 속에서 오래도록 강조해 온 감사와 기쁨 등의 긍정 감정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한다는 면에서 역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상담가들과 감사를 영적 훈련의 도구로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목회자들에게도 유익할 수 있다. 나아가, 90년대 말 등장한 긍정심리학과 신경과학과의 학제 간 대화를 통해 더 다양한 치료적 도구가 계발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 통제된 그룹에서의 치료적 도구로서의 감사에 대한 연구와 영적 훈련 도구로서의 감사에 대한 향후 연구가 이어질 수 있길 희망한다.
  • 영문
  • Gratitude is one of the indispensable values ​​of the Christian tradition, but other fields of psychology are now more often using gratitude as a therapeutic tool.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value of gratitude as a therapeutic tool based on the results of recent scientific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empirical data designed by the researcher. To do so, it is first pointed out that pastoral counseling, influenced by psychology based on disease treatment models, has focused primarily on treating and eliminating problems. The reason why the positive emotion represented by gratitude has a therapeutic effect is introduced based on the concept of Heart Rate Variavility at the HeartMath Institue based on studies of neuroscience and neurophysiology. Furthermore, I introduce five themes obtained through an integrated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14-week gratitude diary experi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pastoral counseling should take gratitude seriously as a therapeutic tool in order to grow and expand beyond the disease model. I will consider what results of research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positive emotions in other disciplines can make for pastoral counseling. This attempt to introduce gratitude as a therapeutic tool in pastoral counseling has great significance in introducing empirical results, although this is the first report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newly discovers the value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gratitude and joy, which have been emphasized for a long time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is study may also be beneficial for counselors who wish to use gratitude as a therapeutic tool and for pastors who wish to use gratitude as a spiritual training tool. Furthermore, I hope that more diverse therapeutic tools can be developed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with pos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that appeared in the late 90s. It is hoped that the study of gratitude as a therapeutic tool in a more controlled group and a future study of gratitude as a spiritual training tool can be continu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감사는 기독교 전통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치 중 하나지만, 현재 다른 심리학 분야에서 더 활발하게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이루어진 과학적 연구 결과와 연구자가 디자인한 경험적 데이터 분석을 기초로 하여 치료적 도구로의 가치를 가진 감사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질병치료 모델에 바탕을 둔 심리학에서 영향을 받은 목회상담이 문제를 치료하고 없애는 데에 주된 관심을 기울여 왔음을 살피고, 감사로 대표되는 긍정 감정이 가진 치료적 효과에 대해 신경과학(neuroscience)과 신경생리학(neurophysiology)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하트매스 연구소에서의 심박변동률(Heart Rate Variavility)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이어서, 88명의 학생이 14주간 감사일기를 쓴 경험을 질적분석을 통해 통합 분석하여 얻어낸 다섯 가지 주제를 통해 소개한다. 이와 같은 긍정 감정의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목회상담에 어떠한 제안을 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여 목회상담은 질병치료 모델을 벗어나, 더 성장하고 확장되어 가기 위해서 감사를 진지하게 치료적 도구로서 받아들여야 함을 제안한다. 목회상담 안에서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소개하는 이러한 시도는 처음으로 질적분석을 통한 보고이기는 하나 경험적 결과를 소개한다는 데 큰 의의를 가지며, 기독교 전통 속에서 오래도록 강조해 온 감사와 기쁨 등의 긍정 감정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한다는 면에서 역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상담가들과 감사를 영적 훈련의 도구로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목회자들에게도 유익할 수 있다. 나아가, 90년대 말 등장한 긍정심리학과 신경과학과의 학제 간 대화를 통해 더 다양한 치료적 도구가 계발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 통제된 그룹에서의 치료적 도구로서의 감사에 대한 연구와 영적 훈련 도구로서의 감사에 대한 향후 연구가 이어질 수 있길 희망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목회상담 안에서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소개하는 이러한 시도는 처음으로 질적분석을 통한 보고이기는 하나 경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결과를 가지고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으며, 기독교 전통 속에서 오래도록 강조해 온 감사와 기쁨 등의 긍정 감정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한다는 면에서 역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과 기독교 영성의 관계를 논하는 후속 논문을 발표할 것이며, 소 논문들을 발전시켜 책으로도 엮어내어 기독‧목회상담자들이 감사를 치료적 도구로 사용할 뿐 아니라 영적 훈련의 도구로 활용해 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 색인어
  • 감사, 감사일기, 목회상담, 심박변동률, 질병치료 모델 심리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