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과학계열 전공의 교육체계 개선 연구: 현행 NCS 지표의 적합성 분석을 토대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ystems of College Majors in Social Science to Foster Professional Competenc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dex's Suitability
대학교육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의 급변에 따라 대학교육 혁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학습자와 교육자, 그리고 산업계의 수요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의 교육체제는 종전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대학교육은 사회적 기대를 충족시키 ...
대학교육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의 급변에 따라 대학교육 혁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학습자와 교육자, 그리고 산업계의 수요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의 교육체제는 종전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대학교육은 사회적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21세기 교육환경 변화 속에서 대학의 구성원들이 갖는 문제의식과 산업계의 요구사항은 무엇이며, 그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대학은 어떠한 운영방식과 체제 개선을 도모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니즈 및 문제 제기에 따라 기획되고 설계되었다. 2년에 걸쳐 2개의 프로젝트를 집행할 계획인데, 먼저 1년차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 전공교육의 현주소와 문제점을 다양한 인식조사를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톡히 사회과학계열의 전공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현황 진단을 위한 세부 전공으로서 학문의 실용적 성향이 강한 광고홍보학을 선택하였다. 이에 따라 광고홍보학 전공교육 현황을 고찰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커리큘럼 개선 방향에 대한 학생-교육자-실무자(산업계)의 견해를 상호지향성모델(co-orientation model)을 활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2년차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체계를 시대의 요구에 맞는 NCS 개선 방향과 지속가능성의 모색을 위해 NCS와 취업연계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는 머신러닝 기법과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 기법을 활용해 NCS 지표의 교육적 적용 확산과 더불어 사회과학 전공교육의 지속가능성 및 효과를 예측하고자 한다.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머신러닝과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빅데이터 연구는 예측의 오차를 축소하고 비정형 자료의 패턴을 파악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과제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빅데이터 연구의 장점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전공교육과 NCS 연구에 도입하려는 시도라는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접근을 통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광고홍보학 전공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과학계열의 여타 전공들에도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하고 확장 가능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국내 전공교육이 사회적 수요에 걸맞게 바람직한 변화를 도모하는 데 일조하는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대학 전공교육의 방향성을 진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대상을 정하였다. 1) 전공교육에 대한 학습자, 교육자, 산업계 실무자의 문제의식과 전공교육 개선을 위한 의견 수합 2)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전 ...
본 연구는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대학 전공교육의 방향성을 진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대상을 정하였다. 1) 전공교육에 대한 학습자, 교육자, 산업계 실무자의 문제의식과 전공교육 개선을 위한 의견 수합 2)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전공교육 교과과정의 개선영역 및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인력 양성 방안 고찰 3) 현행 NCS 체계의 적합성 검증 및 현실적 교육여건과 사회적 니즈를 고려한 기준지표 개선의 방향성 타진 4) 현행 NCS 지표의 효과성 검증을 토대로 사회과학계열의 전공교육과정에 실질적, 지속적으로 적용 가능한 NCS 체계 도출 및 제안 이들 연구대상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과 검증작업을 통해 본 연구는 교육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공교육체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전공교육의 자구적 개선 노력은 향후 인구 및 산업구조의 변화 등에 대응한 선순환적 학습체제 구축, ICT 환경과 연계한 열린 교육체제 정착, 학습효과 분석에 기반한 자기주도적 학습체제 운영 등 다양한 전공이 지향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체계의 구축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될 인사이트 및 시사점은 비단 광고홍보 전공만의 교육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과학계열에 속하는 다양한 전공들에까지 함의를 확장해서 조망할 것이다.
연구요약
상기한 연구목표 및 연구설계에 따라 도출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1년차 연구 ● 연구문제 1: 사회적 환경의 변화가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학생-교육자-실무자 간의 시각 차이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 ...
상기한 연구목표 및 연구설계에 따라 도출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1년차 연구 ● 연구문제 1: 사회적 환경의 변화가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학생-교육자-실무자 간의 시각 차이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이 중점을 두어야 할 개발역량에 있어 학생-교육자-실무자 간의 시각 차이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광고홍보학 전공교육 교과과정의 개선 방향에 있어 학생-교육자-실무자 간의 시각 차이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4: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의 교육방식(교수법)에 있어 학생-교육자-산업계의 시각 차이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5: 광고홍보학 직무분야에 대한 현행 NCS 직무역량 개발지표의 문제점 및 개선책에 있어 학생-교육자-산업계의 시각 차이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6: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의 고찰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여타 사회과학계열의 전공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위 연구문제들의 검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1) 문헌 고찰 및 교육현황 분석(교육학, 행정학, 광고홍보학 분야의 선행연구 분석과 국내 대학의 전공 교과과정 분석 포함), (2) 전문가 의견조사 그리고 (3) 교수 및 실무자 대상 설문조사를 포함한다. 특히 설문조사는 본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과정으로서, 전국의 광고홍보학 전공 재학생 500명 내외, 광고홍보학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 200명 내외와 광고홍보산업 종사자 150명 내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조사문항은 크게 6개 분류에 의해 설문지를 작성하고자 한다. 1) 전공기초역량(광고홍보 및 인문학 관련 기본 소양 함양); 2) 전공실무역량(광고홍보 기획 및 미디어 관리와 관련된 실습; 3) 신규수요대응(디지털 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대응); 4) 일반직무역량(문제해결능력과 대인관계능력 등 충실한 함양); 5) 산업의 이해(대중을 향한 광고와 홍보의 전반적 이해); 그리고 6) 기타의견(예: NCS 커리큘럼의 타당성 등)을 포함할 것이다. 데이터 수집 후에는 상호지향성모델(co-orientation model)을 이용해 상기한 6개 항목에 대한 학생-교육자-실무자 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광고홍보학 및 기타 사회과학계열 전공분야의 교육체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2. 2년차 연구 ● 연구문제 1: NCS 지표를 대학교육에 적용함에 있어서의 효과성과 지속가능성은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가? ● 연구문제 2: 현행 NCS 지표를 개선하여 교육효과와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은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2014년 NCS 모듈이 개발된 이후 지금까지 축척된 NCS와 취업연계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머신러닝 기법의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투표 앙상블(voting ensemble) 분석과 딥러닝 기법 중 순환신경망 모형(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을 이용한 LSTM(Long Short-term Memory) 네트워크 기반으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NCS의 효과를 예측하고, 그를 바탕으로 NCS 활용 확산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지표 개선 방안 및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과제를 위해 2년에 걸쳐 독립된 2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1차년도 연구에서는 현행 NCS 직무역량 체계에 대한 광고홍보학 전공 재학생, 교수, 업계 실무자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NCS 체계의 바람직한 교과과정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환경 변화에 ...
본 연구과제를 위해 2년에 걸쳐 독립된 2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1차년도 연구에서는 현행 NCS 직무역량 체계에 대한 광고홍보학 전공 재학생, 교수, 업계 실무자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NCS 체계의 바람직한 교과과정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의 개편 방향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세 집단을 합쳐 총 1,083개의 유효응답을 확보하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환경 변화에 따른 광고홍보학 전공의 대응 인식, 향후 광고홍보학 전공이 중점을 두어야 할 교육영역, NCS 직무역량 체계에 대한 평가 등에 대해 다양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방형 문항으로 제시한 현행 NCS 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응답자들의 견해도 확인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대학 및 다양한 직업훈련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광고PR분야 NCS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취업한 현직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NCS 교육과정에 대한 적합성 및 효율성을 검증하고, 향후 추진해야 할 미래지향적 NCS 교육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연구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먼저 연구 1에서는 공공 및 민간기관에서 NCS에 기반한 광고PR분야 인재 채용을 위해 쓰인 채용공고문의 내용분석을 통해 산업체가 요구하는 광고PR분야 직업기초능력과 세부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고찰하였다. 연구 2에서는 NCS를 기반한 채용공고문에 의해 채용된 광고PR 실무자를 대상으로 학습전이 개념을 적용하여 취업 후 인식하는 NCS 적합성 탐색과 현재 직무만족도 및 NCS 교육 지속가능성 정도에 따른 NCS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함의를 토대로 광고PR학 전공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현행 NCS 체계의 현실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For this research project, two independent studies were conducted over two years. First, the first year's study sought to find a desirable way to apply the NCS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professors, and industry pra ...
For this research project, two independent studies were conducted over two years. First, the first year's study sought to find a desirable way to apply the NCS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professors, and industry practitioners in the current NCS job competency system, and to diagnose the reorganization direction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hereafter PR) major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securing a total of 1,083 effective responses and analyzing the data through an online survey, various implications were drawn on the recognition of responses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major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education areas that should be focused on in the future, and the NCS job competency system. In addition, respondents' opinions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current NCS system presented as open questions were confirmed. In the second year‘s study,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suit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NCS curriculum for incumbent practitioners who have completed NCS education programs in advertising and PR and variou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since 2015, and to present future NCS education and operation plans. To this end, two major research approaches were attempted. First, in Study 1, the priority and importance of job basic skills and detailed job performance skills required by industries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recruitment notices used b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to hire NCS-based advertising and PR talents. In Study 2, NC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according to NCS suitability search and current job satisfaction and NCS education sustainability by applying the concept of learning transfer to advertising PR practitioners hired by NCS-based recruitment notice.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e realistic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ent NCS system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major education in advertising and PR was presented.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교육자 그리고 산업계의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교육체제는 종전의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결과 대학교육에 대한 수요 적합도가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교육환경의 ...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교육자 그리고 산업계의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교육체제는 종전의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결과 대학교육에 대한 수요 적합도가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대학 전공교육의 방향성을 진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영역을 도출하였다. 1)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전공교육 교과과정의 개선영역 및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인력 양성 방안 고찰 2) 전공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교육자, 그리고 산업계 실무자의 문제의식과 전공교육 개선을 위한 인식 파악 3) 현행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체계의 적합성 검증 및 현실적 교육여건과 사회적 니즈를 고려한 기준지표 개선의 방향성 타진 4) 현행 NCS 체계의 효과성 검증을 토대로 지속가능한 NCS 활용 및 확산 방안 제시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① 학생-교육자-실무자(산업계)의 견해를 상호지향성 모형(co-orientat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② 머신러닝과 인공지능 딥러닝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심층적인 고찰과 검증작업을 2년간의 단계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공교육체계의 개선방향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전공교육의 자구적 개선 노력은 향후 인구 및 산업구조의 변화 등에 대응한 선순환적 학습체제 구축, ICT 환경과 연계한 열린 교육체제 정착, 학습효과 분석에 기반한 자기주도적 학습체제 운영 등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학의 다양한 전공이 지향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체계의 구축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2년간 진행했던 본 연구의 기본적인 의의는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가 대학의 전공교육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교육 개선안을 모색한 점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의 활용 차원에서는, 첫째, 교육환경과 대학교육의 문제에 대한 미시 ...
2년간 진행했던 본 연구의 기본적인 의의는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가 대학의 전공교육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교육 개선안을 모색한 점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의 활용 차원에서는, 첫째, 교육환경과 대학교육의 문제에 대한 미시적 접근을 통해 대학교육 운영에 관한 많은 이슈 및 해결방안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많은 논의와 탐색이 있어 왔던 거시적 차원의 대학교육 문제는 개별 전공단계에서의 미시적 관점과 병행해서 고찰될 때 보다 현실적인 대학교육 개선책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의 교육운영체계에 관련한 다양한 과제들을 다각적·심층적으로 논의하는 데 있어 일조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대학의 대응방안에 대한 종합적 논의와 정책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상호작용의 교수학습 방안, 교과와 비교과 연계와 시스템 속에서의 지원 강화, 중간성과 확인 등 시스템적인 지원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유도, 학업과 생활적응 지원시스템, 인턴십 제도를 통한 이론과 실제의 융합교육, 교내외 인적 네트워크 구축과 지원 등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 광고홍보학 전공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연구로서, 본 전공의 교육과정 운영체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나아가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의 혁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가 제정하고 현재 IPP(일학습병행제) 사업의 운영 등을 통해 그 실용적 가치를 더해가고 있는 NCS 지표 및 학습 가이드라인에 대한 합리적 개선방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급격한 사회 변동 및 수요 변화에 따라 NCS 지표체계도 부단히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는 향후 방대한 직무역량에 대한 현실적 지표 개선을 위해 좋은 레퍼런스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초점을 둔 분야는 광고홍보학 전공교육이지만,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 및 인사이트는 여타의 전공분야에도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함의의 확장성과 더불어, 타 전공분야에서도 유사한 연구 노력을 촉진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