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론적 배경
(1) ASMR의 개념과 유형
자율 감각 쾌락 반응이라 불리는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은 이용자의 오감을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이나 편안함을 유발하는 특정한 소리나 현상을 의미한다. ASMR 현상을 경험하게 해주는 다양한 감각 자극을 ...
1) 이론적 배경
(1) ASMR의 개념과 유형
자율 감각 쾌락 반응이라 불리는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은 이용자의 오감을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이나 편안함을 유발하는 특정한 소리나 현상을 의미한다. ASMR 현상을 경험하게 해주는 다양한 감각 자극을 보통 ASMR 트리거(triggers)라고 하며, 이러한 ASMR 트리거를 사용해 만들어진 다양한 콘텐츠를 보통 ASMR이라고 통용하여 부르고 있다(이하나·정소영, 2019).
(2) ASMR 관련 선행연구
현재 ASMR관련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해외를 중심으로 주로 신경학, 의학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관련 연구들은 수용자의 ASMR 콘텐츠 이용행태(Barratt & Davis, 2015), FMRI를 이용한 ASMR 반응 관찰(Lochte et al., 2017), ASMR 사운드 종류에 따른 이완효과(이재찬, 2019), ASMR 대표 유형에 대한 성격별 반응 차이(Fredborg, Clark & Smith, 2017) 등을 살펴보았다.
(3) 자극 추구 성향과 ASMR 효과
자극추구성향(sensation-seeking)은 물리적, 사회적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새롭고 다양한 경험과 자극을 추구하는 개인의 내재적 특성을 의미한다(Zuckerman,1984).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자극추구성향 정도에 따라 다양한 인식과 행동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이 많은 실증적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다(Lee& Shin, 2011).
(4) 메시지 전략에 따른 ASMR 효과
광고 소구는 일반적으로 인지적 정보처리를 유발하는 이성적 소구 광고(informational ad)와 무드와 정서를 이용해 소비자를 설득하는 감성적 소구 광고(transformational ad)로 구분할 수 있다(Puto & Wells, 1984). 이성적 소구는 객관적인 사실과 제품의 물리적 특성에 기초해 논리적이며 합리 적인 의사결정에 호소하는 정보 중심적 메시지 전략으로 볼 수 있는 반면, 감성적 소구는 제품의 이미지나 상징성에 기초해 심리적 만족감이나 감정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정서 중심의 소구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한상필·김윤희, 2015).
가설 1: ASMR 트리거를 활용한 광고 메시지는 보다 긍정적인 광고효과를 도출할 것 이다.
가설 2: ASMR 트리거를 활용한 광고 메시지의 효과는 소비자의 자극추구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구체적으로 ASMR 광고의 효과는 자극추구성향이 높은 소비자보다 낮은 소비자에게서 현저하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3: ASMR 트리거를 활용한 광고 메시지의 효과는 광고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구체적으로 ASMR 광고의 효과는 이성적 메시지 보다 감성적 메시지 전략에서 그 효과가 현저히 나타날 것이다.
연구문제 4: ASMR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소비자의 각성수준에 의해 매개되는가?
2) 연구방법
(1) 실험 디자인 및 자극물 선정
본 연구는 ASMR을 활용한 광고 메시지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ASMR 광고의 효과가 소비자의 자극추구 성향과 광고 메시지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위해 2(ASMR: 사용/비사용) X 2(자극추구성향: 높음/낮음) X 2(광고 소구: 이성적/감성적)의 집단 간 비교 디자인 설계를 통한 실험 디자인을 구성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ASMR 콘텐츠의 두드러진 특성은 우리가 평소에 주목하지 않았던 작은 소리(sound)들이며,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소리의 종류나 내용의 차원이 아니라 소리의 강세(김수정, 2018)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ASMR 광고 조건을 영상 광고에 사용된 오디오의 강도로 조작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조절변인으로 사용된 광고 소구 유형은 선행연구들에 근거해 광고 메시지의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로 구분해 조작될 예정이며, 이는 광고 카피에 사용된 제품 편익에 있어 각각 이성, 감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개수로 조작될 예정이다(Johar & Sirgy, 1991).
(2) 주요 변인의 측정
개인차 변수인 소비자의 자극추구성향은 ‘다양하고 새로운 감각과 경험을 추구하며 자극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경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Zuckerman, 1979). 자극추구성향은 호일 등(Hoyle et al., 2002)이 제안한 ‘간편 자극추구성향 척도(brief sensation seeking scale)’과 김운한(2018) 등의 연구에 기초해 측정할 예정이다. 종속변수인 광고에 대한 태도는 Mitchell & Olson(1981)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 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Mitchell(1986)의 연구에서 쓰인 측정도구, 구매의도는 Lutzs & Belch(1986)의 연구를 기초로 측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