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판타지 드라마의 상상적 인물에 구현된 성이미지 연구
An Analysis of Gender Image in the Imaginary Personality of Fantasy Drama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111878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12월 01일 ~ 2020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정영희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급부상한 판타지 드라마를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2000년 중반 이후,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판타지가 새로운 장르 및 소재로 급부상하였다. 비인간 생명체와 초자연적 현상의 소재가 부상하여 기존의 장르를 복합화 하였다. 판타지는 드라마의 소재 영역을 확장시켜주어, 지상파 드라마가 소재 및 이야기 방식의 고갈에서 탈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케이블 채널에서는 <시그널>(tvN, 2016)이 12.5%의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판타지 드라마의 시대를 열었다. <쓸쓸하고 찬란하神-도깨비>(tvN, 2016)는 20.5%로 케이블 판타지 드라마의 시청률 정점을 찍었다.
    새로이 부상한 장르 및 소재는 텔레비전 드라마 분석에 새로운 연구주제를 제공해주었다. 하지만 판타지 드라마를 여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텔레비전 드라마 분석에서 ‘여성’은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어온 주제 중 하나이지만, 최근에는 여성주의적 연구가 정체된 경향이 있다.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더 이상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기 어렵다는 인식도 한몫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tvN과 종편(JTBC)의 드라마 개시로 인해 텔레비전 드라마가 양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그 장르와 소재가 ‘판타지’로 수렴되고 있는 2019년 현재, 그러한 이야기가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문제점은 없는지에 대한 학문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여성주의적 평가는 주로 실제감과 경험적 사실성에 근거한 일일연속극, 로맨스물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텔레비전 드라마가 형상화해 온 젠더 전형성이 상상적임을 명확하게 드러낸 판타지 드라마라고 해서 무력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판타지 드라마는 기존의 장르를 변형하여 이야기 방식을 확장할 수 있는 경제성, 비사실적인 묘사가 부여하는 면죄부로 인해 대중의 욕망을 보다 적극적으로 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판타지 요소가 드라마 장르 및 소재 영역에서 확장되고 있는 지금,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분석과 평가가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유행하는 장르와 소재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평가하여, 동시대 대중문화물에 내재된 여성에 대한 관념과 인식을 이해하고, 더불어 드라마 연구 지평을 확장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학문적 차원에서 연구 주제의 지평을 넓히고, 실무․교육적 차원에서는 성평등한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교육에서 하나의 연구 사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학문적 차원
    그동안 판타지 드라마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는 판타지 드라마 자체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다. 판타지 드라마는 비사실적, 비경험적 소재를 다루기 때문에 상상의 영역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성(젠더)과 관련된 현실적 논쟁에서 비켜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성차별적 내용이 다소 과하게 재현되더라도, 존재하거나 발생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인식되기 때문에 면죄부를 받기도 한다. 연구계획서를 준비하면서, 드라마 기초 자료를 살펴본 결과, 판타지 드라마는 로맨스물에 집중되어 있고 서사구조는 전형적인 신데렐라 이야기를 따르고 있었다. 사실상 비판타지 드라마의 성역할과 성별 관계를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 구체적 내용은 분석을 통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판타지 드라마에 대한 젠더 연구의 중요성을 부각시켜서 연구 주체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실무, 교육적 차원
    최근, 매스미디어의 성평등한 콘텐츠 제작을 독려하게 위해, 여러 언론 유관단체에서 방송 제작진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례로, 방송 작가를 대상으로 미디어 속의 성차별 문제를 점검하고, 그 사례를 짚어봄으로써 성인지 감수성을 고양한 프로그램도 있었다. 매체 교육은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제작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만, 판타지를 소재로 한 콘텐츠 영역에서는 사실상 적극적으로 이루어지 않았다. 아마도 판타지는 명백한 허구이고 상상이기 때문에 현실적인 효과나 영향력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야기’는 장기적으로 인간의 신념 체계 중 하나인 ‘신화’를 만들어내고, 그러한 신화는 진실 여부와 관계없이 동시대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념 속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특정한 체계에 대한 신화, 특정한 대상에 대한 신화가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방송 제작진의 성인지 감수성 교육에서 한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방송 작가, 기획 및 제작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연구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연구요약
  • 1. 연구 내용
    연구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판타지 드라마에서 형상화된 성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인간형(빙의, 초능력 등)과 비인간 생명체 (신, 외계 생명체, 귀신 등)인물에 구현된 성 이미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두 번째는 지상파와 케이블․종편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지상파는 현실적 소재에서 상상으로 확장해 간 반면, 케이블․종편의 드라마는 2018년 이후 현실적 소재를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드라마 채널을 드러내지 않으면 지상파와 구별되지 않는 장르와 소재를 다루고 있다. 판타지 드라마는 플랫폼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정밀한 분석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판타지 드라마에서 형상화된 성이미지는 성별, 캐릭터 유형(인간형/ 비인간 생명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판타지 드라마에서 형상화된 성이미지는 플랫폼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분석 대상 및 분석 절차
    분석 대상은 인간을 모티프로 한 판타지 드라마 중에서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이다. 이들 드라마 중에서 제1주인공의 성별을 기준으로, 인간형과 비인간생명체가 등장하는 드라마를 각 1편씩 선정하였다. 지상파와의 비교를 위해 케이블․종편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 대상 드라마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총 8개의 드라마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들 드라마를 텍스트 분석하여 1차적으로는 캐릭터 특징을 밝혀내고, 2차적으로는 인물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2000년 중반 이후 유행하고 있는 판타지 드라마 속의 상상적 인물에 구현된 성이미지와 성역할을 포착하고, 이것이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함의하는 바를 밝혀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급부상한 판타지 드라마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그동안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은 주로 실제감과 경험적 사실성에 근거한 일일연속극, 로맨스물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텔레비전 드라마가 형상화해 온 젠더 전형성이 상상적 서사임을 명확하게 드러낸 판타지 드라마라고 해서 무력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유행 중인 판타지 드라마 속 상상적 인물에 구현된 젠더 전형성을 밝혀내어, 동시대 대중문화물에 내재된 여성에 대한 변하지 않는 관념과 인식을 이해하고, 더불어 텔레비전 드라마의 연구 지평을 확장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분석 대상은 인간을 모티프로 한 판타지 드라마 중에서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에서 선별해내었다. 이 드라마 중에서 제 1주인공의 성별을 기준으로, 인간형과 비인간 생명체가 등장하는 드라마를 각 1편씩 선정하였다. 지상파, 케이블․종편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 대상을 선정하여, 총 8개의 드라마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일상성이 배경인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구현되고 비판받아온 전형적인 성/젠더 이미지가 판타지라는 이름으로 드라마의 상상적 캐릭터에 숨어들어 복제되고있다고 결론내렸다. 젠더 전형성, 성차별적 묘사는 일상성의 드라마에서보다 더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판타지 드라마의 상상적 캐릭터의 경우, ① 남성에게 사랑은 모험의 부수적 산물이지만, 여성에게는 모험의 출발점이자 목적이며 모든 것이다. ② 또한 남성인물은 여성과 관련된 모든 상황을 여성 몰래 주도할 수 있으나, 여성인물은 이를 알지 못한다. ③ 남성 인물은 사랑에 빠진 경우 여성의 보호자가 되는데, 그 관계는 수평적이기 보다는 어른-아이의 관계처럼 형성된다. 여성인물은 남성에게 성가시거나 신경이 쓰이는 부족한 존재였다가 남성이 사랑의 대상으로 인식한 순간 피보호자의 지위를 획득한다. ④ 남성인물은 본인의 존재론적 위치와 능력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반면, 여성 인물은 자신에 대해 잘 모르거나 정체성을 부정하는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존재이다. ⑤ 남성 인물은 희생을 무릎 쓰고 여성을 보호/구원하지만, 여성인물은 스스로를 구하지도 못한다. ⑥ 남성 인물의 능력은 스스로를 완성하고 상황을 주도하지만, 여성의 능력은 종종 남성의 요구를 완성하는데 활용되고, 그 능력의 효과는 남성에 의해 한계지어진다. ⑦ 초능력자임에도 불구하고 남성 주인공의 능력은 자연 질서와 인간의 상황을 통제/조정하는데 주도적으로 활용된 반면, 여성 판타지 인물의 능력은 방어적 제한적 상황에서 불완전하게 활용되었다.
    판타지 드라마에서 초능력을 가진 인물에게 기존의 젠더 전형적 이미지가 노골적으로 구현되었지만, 일상성 기반의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결핍된/여성을 통해 완성되는/소년성을 지닌 무해한 남성 이미지의 구축함으로써 그 전형성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었다. 이들이 소년성은 초능력을 통해 여성의 보호자로서의 남성성으로 변모하였다. 또한 이들은 모두 여성 없이는 완성되지 않은 남성의 불완전성, 위험하지 않은 남성성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일상성 기반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로맨스의 남성 주인공은 재벌가의 일원이거나 고귀한 신분 혹은 능력있는 전문가로서 오만하고 까칠하지만 사랑하는 여성에게만은 다정한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판타지 드라마의 남성 주인공은 그러한 특징과 더불어 별도 따다 주는 능력을 갖게 된 것이다. 그에 따라 판타지 텔레비전 드라마는 인간의 극대화된 욕망을 불가사의한 초능력자의 존재에 대입하면서, 여성 수용자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이상적인 남성상을 재구축하는 중이다. 따라서 ‘판타지’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새로운 장르가 아니라, 로맨스의 하부 장르로 이해되었다. 드라마의 판타지는 시청자들이 익숙한 규범과 질서를 기호들의 재배치를 통해 상상적 질서를 만들어낸다. 판타지 드라마의 상상적 인물은 기존의 규범적 기호가 재배치된 결과이자 기존 질서의 복제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상파, 케이블․종편의 드라마 간에 차이가 없었다.
  • 영문
  •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rapidly emerging fantasy drama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unchanging notions and perceptions of women inherent in contemporary pop culture and to expand the research horizon of television dramas by revealing the gender typicality embodied in fantasy characters. The analysis targets were selected from fantasy dramas with human motifs that had high view-ratings. A total of eight dramas were subject to analysis: <My Love from the Star>, <Guardian: The Lonely and Great God>, <The Legend of Blue Sea>, <Hotel Del Luna>, <I can hear your voice>, <Another Miss Oh>, <A Girl Who Sees Smell>, <Strong Woman Bongsoon Do>
    The analysis concluded that a typical gender/gender image, which has been embodied and criticized in television dramas with a background of everyday life, is being replicated hiding in the drama's imaginary character under the name of fantasy. Gender stereotypes, sexist portrayals are more explicit than in the dramas based the real everyday life. The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imaginary characters in fantasy dramas, ① love is an adjunct to adventure for men, but for women it is the starting point, purpose, and everything. ② In addition, male characters may lead all situations related to women without women knowing, but female characters do not know this. ③ Male characters become guardians of women when they are in love, and rather than horizontal, they form like adult-child relationships. The female character was a lack of annoyance or concern to the male, but the moment the male recognizes it as an object of love, she wins the status of the guardian. ④ Male characters accurately recognize their ontological positions and abilities, while female characters are uncertain and unstable beings who do not know much about themselves or deny their identity. ⑤ Male characters protect/save women at their knees, but female characters cannot even save themselves. ⑥ Male characters' abilities complete themselves and lead the situation, but female abilities are often used to complete male needs, and their effects are limited by males. ⑦ Despite being a superpower, the male character's abilities were used proactively to control/adjust the natural order and human situation, while the female fantasy characters' abilities were incompletely utilized in defensive and restrictive situations.
    Existing gender-typical images were explicitly implemented for characters with superpowers in fantasy dramas, but, like everyday-based dramas, they crossed the boundaries of typicality by building a deficient/harmless male image with boyhood. Juvenile sex was transformed into masculinity as a guardian of women through superpowers. They also all showed incompleteness and non-dangerous masculinity in men who were not completed without women.
    In general, in everyday life-based television dramas, the heroes was described as a member of a chaebol family, a noble status or a capable professional, arrogant, feisty, but friendly only to a loved woman. Along with those characteristics, the hero of a fantasy drama has the ability to pick stars. Accordingly, fantasy television dramas are rebuilding an ideal male image that satisfies the desires of female viewers. Thus, "fantasy" was understood as a subgenre of romance, not a new genre of television drama. The fantasy of drama creates imaginary order through the rearrangement of symbols and norms that viewers are familiar with. The imaginative character of fantasy dramas could be evaluated as the result of the rearrangement of existing normative symbols and a replica of existing order. These results did not differ between terrestrial, cable, and general TV drama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급부상한 판타지 드라마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그동안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은 주로 실제감과 경험적 사실성에 근거한 일일연속극, 로맨스물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텔레비전 드라마가 형상화해 온 젠더 전형성이 상상적 서사임을 명확하게 드러낸 판타지 드라마라고 해서 무력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유행 중인 판타지 드라마 속 상상적 인물에 구현된 젠더 전형성을 밝혀내어, 동시대 대중문화물에 내재된 여성에 대한 변하지 않는 관념과 인식을 이해하고, 더불어 텔레비전 드라마의 연구 지평을 확장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분석 대상은 인간을 모티프로 한 판타지 드라마 중에서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에서 선별해내었다. 이 드라마 중에서 제 1주인공의 성별을 기준으로, 인간형과 비인간 생명체가 등장하는 드라마를 각 1편씩 선정하였다. 지상파, 케이블․종편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 대상을 선정하여, 총 8개의 드라마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일상성이 배경인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구현되고 비판받아온 전형적인 성/젠더 이미지가 판타지라는 이름으로 드라마의 상상적 캐릭터에 숨어들어 복제되고있다고 결론내렸다. 젠더 전형성, 성차별적 묘사는 일상성의 드라마에서보다 더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판타지 드라마의 상상적 캐릭터의 경우, ① 남성에게 사랑은 모험의 부수적 산물이지만, 여성에게는 모험의 출발점이자 목적이며 모든 것이다. ② 또한 남성인물은 여성과 관련된 모든 상황을 여성 몰래 주도할 수 있으나, 여성인물은 이를 알지 못한다. ③ 남성 인물은 사랑에 빠진 경우 여성의 보호자가 되는데, 그 관계는 수평적이기 보다는 어른-아이의 관계처럼 형성된다. 여성인물은 남성에게 성가시거나 신경이 쓰이는 부족한 존재였다가 남성이 사랑의 대상으로 인식한 순간 피보호자의 지위를 획득한다. ④ 남성인물은 본인의 존재론적 위치와 능력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반면, 여성 인물은 자신에 대해 잘 모르거나 정체성을 부정하는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존재이다. ⑤ 남성 인물은 희생을 무릎 쓰고 여성을 보호/구원하지만, 여성인물은 스스로를 구하지도 못한다. ⑥ 남성 인물의 능력은 스스로를 완성하고 상황을 주도하지만, 여성의 능력은 종종 남성의 요구를 완성하는데 활용되고, 그 능력의 효과는 남성에 의해 한계지어진다. ⑦ 초능력자임에도 불구하고 남성 주인공의 능력은 자연 질서와 인간의 상황을 통제/조정하는데 주도적으로 활용된 반면, 여성 판타지 인물의 능력은 방어적 제한적 상황에서 불완전하게 활용되었다.
    판타지 드라마에서 초능력을 가진 인물에게 기존의 젠더 전형적 이미지가 노골적으로 구현되었지만, 일상성 기반의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결핍된/여성을 통해 완성되는/소년성을 지닌 무해한 남성 이미지의 구축함으로써 그 전형성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었다. 이들이 소년성은 초능력을 통해 여성의 보호자로서의 남성성으로 변모하였다. 또한 이들은 모두 여성 없이는 완성되지 않은 남성의 불완전성, 위험하지 않은 남성성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일상성 기반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로맨스의 남성 주인공은 재벌가의 일원이거나 고귀한 신분 혹은 능력있는 전문가로서 오만하고 까칠하지만 사랑하는 여성에게만은 다정한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판타지 드라마의 남성 주인공은 그러한 특징과 더불어 별도 따다 주는 능력을 갖게 된 것이다. 그에 따라 판타지 텔레비전 드라마는 인간의 극대화된 욕망을 불가사의한 초능력자의 존재에 대입하면서, 여성 수용자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이상적인 남성상을 재구축하는 중이다. 따라서 ‘판타지’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새로운 장르가 아니라, 로맨스의 하부 장르로 이해되었다. 드라마의 판타지는 시청자들이 익숙한 규범과 질서를 기호들의 재배치를 통해 상상적 질서를 만들어낸다. 판타지 드라마의 상상적 인물은 기존의 규범적 기호가 재배치된 결과이자 기존 질서의 복제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상파, 케이블․종편의 드라마 간에 차이가 없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분석결과, 일상성이 배경인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구현되고 비판받아온 전형적인 성/젠더 이미지가 판타지라는 이름으로 드라마의 상상적 캐릭터에 숨어들어 복제되고있다고 결론내렸다. 판타지 드라마에서 초능력을 가진 인물에게 기존의 젠더 전형적 이미지가 노골적으로 구현되었지만, 일상성 기반의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결핍된/여성을 통해 완성되는/소년성을 지닌 무해한 남성 이미지의 구축함으로써 그 전형성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었다. 드라마의 판타지는 시청자들이 익숙한 규범과 질서를 기호들의 재배치를 통해 상상적 질서를 만들어낸다. 판타지 드라마의 상상적 인물은 기존의 규범적 기호가 재배치된 결과이자 기존 질서의 복제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문적, 실무적 두 차원에서 함의하는 바를 찾을 수 있다. 학문적 차원에서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가 일상상과 리얼리즘적 서사에 중점을 둔 드라마 텍스트 연구에 집중되어 온 것을 판타지 텍스트로 확장함으로서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동안 판타지 드라마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는 판타지 드라마 자체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다. 판타지 드라마는 비사실적, 비경험적 소재를 다루기 때문에 상상의 영역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성(젠더)과 관련된 현실적 논쟁에서 비켜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성차별적 내용이 다소 과하게 재현되더라도, 존재하거나 발생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인식되기 때문에 면죄부를 받기도 한다. 과제 수행 중 판타지 드라마 텍스트 자체를 살펴본 결과, 시청률이 높았던 판타지 드라마는 주로 로맨스물이었고, 그 드라마들은 전형적인 신데렐라 이야기의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었다. ‘여성의 보호자’인 남성이 재벌이나 왕자님에서 신 혹은 초능력자로 대체되었을 뿐이었다. 반면 판타지적 인물이 여성인 경우는 인간 남성에 의해 구원받는 형식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상 비판타지 드라마의 성역할과 성별 관계를 벗어나지는 않았다.
    실용적 차원에서는 바람직한 드라마상 구축을 위한 실무,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매스미디어의 성평등한 콘텐츠 제작을 독려하게 위해, 여러 언론 유관단체에서 방송 제작진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례로, 방송 작가를 대상으로 미디어 속의 성차별 문제를 점검하고, 그 사례를 짚어봄으로써 성인지 감수성을 고양한 프로그램도 있었다. 매체 교육은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제작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만, 판타지를 소재로 한 콘텐츠 영역에서는 사실상 적극적으로 이루어지 않았다. 아마도 판타지는 명백한 허구이고 상상이기 때문에 현실적인 효과나 영향력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야기’는 장기적으로 인간의 신념 체계 중 하나인 ‘신화’를 만들어내고, 그러한 신화는 진실여부와 관계없이 동시대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념 속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특정한 체계에 대한 신화, 특정한 대상에 대한 신화가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방송 제작진의 성인지 감수성 교육에서 한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방송 작가, 기획 및 제작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연구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텔레비전 드라마, 판타지, 판타지 로맨스, 환상, 환상서사, 여성주의, 초능력자, 젠더, 젠더 정형성, 캐릭터 분석, <별에서 온 그대>, <쓸쓸하고 찬란하신 도깨비>, <푸른 바다의 전설>, <호텔 델루나>, <너의 목소리가 들려>, <또 오해영>, <냄새를 보는 소녀>, <힘쎈 여자 도봉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