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중점 내용은 세 가지다. (1) 이들 신세대농민공의 이동(移動) 실천이 발생하는 국가 차원, 개인 차원, 전반적인 이론적 배경을 살피면서, (2) 이들의 일상문화와 생활양식 속에 스며든 선택과 사회의 변화 추세를 삶의 현장, 특히 그들의 원하는 도시라는 공간 속 ...
본 연구의 중점 내용은 세 가지다. (1) 이들 신세대농민공의 이동(移動) 실천이 발생하는 국가 차원, 개인 차원, 전반적인 이론적 배경을 살피면서, (2) 이들의 일상문화와 생활양식 속에 스며든 선택과 사회의 변화 추세를 삶의 현장, 특히 그들의 원하는 도시라는 공간 속에서 검토하고, (3) 이들의 삶을 그려내거나, 이들 스스로가 만들어낸 다양한 형식의 텍스트에 대해 종합적 연구 방식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계별 다년 계획 하에 연차별로 상호 교차 연구, 즉 이론과 현장 및 주요 텍스트를 연계하여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1. 1단계 연구 중점 부문: 이론화 – "이동성(移动性)"과 "신형성진화(新型城镇化)"
■ 유동성 공간으로서의 도시와 이동의 문제
1세대 농민공의 등장과 함께 형성된 인구 이동의 추세는 중국 사회와 문화의 원심력과 구심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지방과 도시, 이 두 격절 공간 사이의 팽팽한 긴장감을 형성해 왔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이제는 그 자식 세대들이 새로운 노동 시장에 본격 편입되면서 이른바 신세대농민공이란 개념이 제기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한 세대가 지난 2010년대부터 중국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농민공 내부에서 새로운 행동 양식을 만들어 내는 새로운 세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세대농민공에 대한 인식과 판단에 있어서 세대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출발점으로 하면서, 이들이 향후 국가와 만들어 낼 새로운 긴장 관계의 분절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농민공의 본질을 구성하는 ‘이동성(移动性)’이라는 차원에서 이전과 상이한 유형의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는 이들 신세대농민공의 함의를 중국 기층민들의 생애 기획과 중국 정부의 신형성진화(新型城鎭化), 즉 새로운 도시화 전략과 연결하여 사유하고자 한다.
2. 2단계 연구 중점 부분: 핵심현장 – 北漂,上漂,深漂,香漂
■ 핵심현장과의 마주침
이동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불확실성, 교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존 체제의 변화, 그리고 이동의 동선(動線)이 남기는 흔적들은 계량적 수치뿐만 아니라 그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들의 내면에서 하나의 정동(情動)으로 응결되기도 한다. 백영서는 ‘이중적 주변의 시각’으로 동아시아 역사와 현실을 분석하기 위해 ‘핵심현장’이라는 개념을 제안한 바 있다. 그는 중앙과 주변의 관계는 단순히 지리적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무한한 연쇄 관계 또는 무한한 억압이양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맥락에서 볼 때 신세대농민공의 욕망 대상이 되면서도 또 부유하는 장소가 되는 곳은 다름 아닌 대도시이다. 2단계부터는 이러한 도시들과 그 내부에서의 구체적 실천 상황을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연구의 구체성을 확보해 나가고자 한다. 신세대농민공의 주요한 생애 기획 범주는 대략 (1) 교육, (2) 취업과 노동, (3) 창업(스타트업), (4) 주거와 지역, (5) 소비문화, (6) 연애와 결혼, (7) 인터넷 문화, (8) 대안적 생애 기획 이렇게 8가지이다. 이러한 범주들와 구체 도시를 결합하여 조사와 연구의 현장성을 확보할 것이다.
3. 3단계 연구 중점 부분: 다중 텍스트에 대한 깊이 읽기
■ 다중 텍스트 심층 독해
본 연구는 당연히 신세대농민공의 선택과 실천에 그 중점을 두면서 이와 더불어 이들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텍스트의 독해와 분석, 수집 또한 병행할 것이다. 즉 이들을 다루는 영화, 사진,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시각 매체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뿐만 아니라, 이들 스스로가 창작한 문학 작품 등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또한 현지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 인터뷰나 서면 자료들도 최대한 아카이브화 할 예정이다. 궁극적으로 다중 텍스트에 대한 독해는 이들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과 시선, 그리고 이들 스스로 가지고 있는 전망 사이의 연결성(connectivity)을 확인하여, 기어츠(Clifford Geertz)가 말하는 바 이들에 대한 중층 기술(thick description)을 연구 성과에서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전제이자 방법론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