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K-POP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로서 세계적 인기를 얻게 된 데는 몇 가지 원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는 음악의 시대에서 K-POP은 매력적인 외모, 놀라운 무대퍼포먼스, 완성도 높은 뮤직비디오, 글로벌 트랜드를 반영한 음악이 서로 복합된‘토털 패키 ...
오늘날 K-POP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로서 세계적 인기를 얻게 된 데는 몇 가지 원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는 음악의 시대에서 K-POP은 매력적인 외모, 놀라운 무대퍼포먼스, 완성도 높은 뮤직비디오, 글로벌 트랜드를 반영한 음악이 서로 복합된‘토털 패키지’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요소 중 춤 즉 K-POP댄스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통해 언어의 장벽을 넘어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전 세계에 열병처럼 퍼진 싸이의 `강남스타일' 말춤과 방탄소년단의 춤을 보면 그 중요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K-POP댄스는 때론 일체화된 군무로, 때론 파워풀하고 크리에이티브한 춤사위로‘눈으로 즐기는 만찬’이라고 불리며 K-POP의 인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손꼽을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인기에 비해 국내에선 K-POP댄스와 관련된 학문적 접근은 전무한 상황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연구자는 K-POP댄스에서 춤을 만드는 국내 유명 안무가 5명을 선정하여 이들에 대해 질적연구 방법인 인터뷰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활동을 통해 안무가들의 개인적인 삶과 안무창작방법에 대한 경험적 특징을 알아보고 비교 고찰하여 현대 대중문화 속에서 춤을 이해하고, K-POP댄스 장르의 정체성과 본질을 파악해 한국 대중문화의 발전과 한국의 춤이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파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기대효과
더 이상 K-POP댄스가 유행이 아니라 하나의 무용 장르로 그 실체성을 인정받기 위함과 새로운 춤에 장르라는 관점에서 학문적 이론을 적립하고 규정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에 와이다. 그 이유는 K-POP댄스는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졌고 세계로 전파되고 있는 상황 ...
더 이상 K-POP댄스가 유행이 아니라 하나의 무용 장르로 그 실체성을 인정받기 위함과 새로운 춤에 장르라는 관점에서 학문적 이론을 적립하고 규정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에 와이다. 그 이유는 K-POP댄스는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졌고 세계로 전파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발레나 현대무용을 배우기 위해선 유명한 무용단체나 학교를 찾아 해외유학을 떠나듯 이젠 우리나라가 K-POP댄스라는 콘텐츠를 수출하고 학문적으로 교육해 줄 수 있는 중심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발맞춰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며 구체적인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POP댄스 안무가들의 안무창작에 대한 경험을 통해 한국 춤의 저변 확대는 물론 타 무용장르의 환류적 기능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현재 세계적인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반면 K-POP댄스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이 굉장히 미비한 상황에서 이러한 연구가 후학들에게 K-POP산업관련연구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점진적이고 복합적인 학문적 연계와 체계가 정립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실용무용을 전공하는 전공자는 물론 K-POP댄스 안무가들의 사회적 위치를 확립하고 그 활동범위를 확장 할 수 있는 안무가의 활동역량 방법개발과 구체적인 안무창작 개발 방법에 대한 가치를 인식시켜 줄 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연구요약
1. 서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5명의 K-POP댄스 안무가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이 선택한 안무가로서 삶의 배경과 안무창작 방법 대한 경험을 알아봄으로써 대중문화 속에서 K-POP댄스 안무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과 그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춤이 ...
1. 서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5명의 K-POP댄스 안무가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이 선택한 안무가로서 삶의 배경과 안무창작 방법 대한 경험을 알아봄으로써 대중문화 속에서 K-POP댄스 안무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과 그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춤이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2. 연구문제 및 방법 질적연구 문화기술적연구방법으로 심층면담, 관찰일지, 구성원간의 검토 등을 통해 직접대면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고자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댄스 안무가로서 지내온 삶의 배경적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안무가들이 K-POP댄스 춤을 어떠한 방법으로 창작하는가에 대한 경험적 특징은 어떠한가? 3. 연구결과 해석 심층 인터뷰를 통행 얻어진 원자료에 대해서 다각적인 자료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문제에 대한 의미 있는 핵심어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K-POP댄스를 창작하는 안무가들의 창작과정과 경험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K-POP댄스 안무가로 활동 중인 연구 참여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K-POP댄스를 창작하는 안무가들의 창작과정과 경험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K-POP댄스 안무가로 활동 중인 연구 참여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영문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process of creation and experiential features of choreographers who create K-POP d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4 research participants who work as a current K-POP choreographer were interviewed.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process of creation and experiential features of choreographers who create K-POP d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4 research participants who work as a current K-POP choreographer were interviewed.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K-POP댄스를 창작하는 안무가들의 창작과정과 경험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K-POP댄스 안무가로 활동 중인 연구 참여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안무창작 과정과 경험에 ...
본 연구는 K-POP댄스를 창작하는 안무가들의 창작과정과 경험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K-POP댄스 안무가로 활동 중인 연구 참여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안무창작 과정과 경험에 대하여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TV방송을 통해 춤을 접하고 입문하게 되었으며, 이후 댄스팀 결성과 댄스트레이너로 활동 중 아티스트들에게 춤을 가르치게 되면서 점차 안무가와 강사로서 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획사로부터 안무의뢰를 받게 되면 전략적 창작 방법으로 가장 먼저 음악에 대한 ‘청각적 관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적으로 음악 들으면서 곡의 분위기나 멜로디 가사 등을 효과적이고 독창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모티브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안무 창작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안무자의 성향에 따라 은둔창작방법과, 협업창작방법으로 나뉘어져 안무를 창작하고 있으며, 창작된 안무를 시현하기 위해 주변 동료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안무를 수정해 가면서 창작해 가는 과정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창작과정을 거치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창작된 안무가 실현하는 것에 대한 성취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작게나마 K-POP댄스에 대한 학문적 담론을 형성하고 무용장르로서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K-POP댄스 안무가들의 안무가로서 살아온 배경과 환경, 안무창작 과정의 경험들 분석한 내용 및 해석에 대한 담론을 제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추후 후학들에게 K-POP댄스의 다양한 연구 접근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판단된다.
K-POP댄스 안무가들의 안무가로서 살아온 배경과 환경, 안무창작 과정의 경험들 분석한 내용 및 해석에 대한 담론을 제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추후 후학들에게 K-POP댄스의 다양한 연구 접근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