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2021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
2021 South Korea’s Report Card on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and Yout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89303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송윤경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아동·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급성장하는 시기이며, 건강한 생활 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아동·청소년에게 신체 활동량과 좌식행동 시간, 그리고 수면은 독립적, 복합적으로 아동과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아동과 청소년들의 낮은 신체활동 참여율과 높은 좌식행동 시간, 그리고 부족하고 불충분한 수면시간은 아동과 청소년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처럼 아동과 청소년 시기에 건강한 생활 습관의 형성은 성인기의 건강한 삶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아동·청소년의 복잡한 행동 특성을 반영한 생활 습관 조사는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국내 아동·청소년의 행동을 조사하는 도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특히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와 자료는 미흡하다. 아동·청소년의 행동에 관한 학계 연구 또는 통계조사는 조사 편의 및 목적에 따라 연구자가 국제 기준 도구를 번역하여 수정하거나 신규로 조사 도구를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 신체활동 관련 조사사업 중,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뿐이다. 그러므로 국내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이나 좌식행동을 조사한 결과는 조사 도구와 연구자/연구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나아가 국제 기준에서 신체활동 또는 좌식행동을 평가하게 되면 국내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이나 좌식행동의 결과는 국제간 비교에서도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과 2018년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의 후속 연구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좌식행동과 수면을 포함한 24시간 생활 습관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 파악을 위한 아동·청소년 조사 도구 개발 및 2021년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 발표를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에 필요한 아동과 청소년의 24시간 생활 습관을 조사하는 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하고 개발된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해야 한다. 그리고 과거에 실시된 조사와 보고서의 비교·분석하여 아동과 청소년의 생활 습관의 특징 및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기대효과
  • 일률적인 생활 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의 하루 24시간 생활 습관 조사는 아동·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과 나아가 2차 성징을 위한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과제를 통해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의 조사를 위해 아동·청소년 생활 특성에 맞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개발된 설문지를 검증하여 사용할 경우, 최근 국내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좌식행동의 실태 및 현황을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2016년과 2018년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의 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국내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좌식행동 포함) 관련 과제 및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인 각국의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보고서 발표에 참여하고, 국가 간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영역별 지표 결과의 비교 및 공유를 통하여 신체활동 관련 분야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정부 정책 차원의 구체적인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조사자료와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지침서(guideline), 신체활동 활성화 정책 등의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대한민국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보고서가 아동·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속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신체활동, 체육교육학, 운동생리학, 스포츠과학, 의학 및 보건 분야의 전문가 네트워크가 활성화될 경우, 학문 간 정보공유가 가능해질 것이며 대학과 연구 기관의 융합 연구가 구성되어 협업의 장을 마련할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체육 분야에서 융합연구를 계획하는 연구자들에게 좋은 표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요약
  • 아동·청소년의 24시간 생활 습관 조사 설문지는 총 7단계-문헌 조사, 전문가 자문 회의, 예비 조사, 설문지 수정 및 보완, 신뢰도 검증, 타당도 검증, 설문지 개발 완료로 개발될 예정이다. 우선 논문 검색 엔진을 통하여 국내외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신체활동, 좌식행동, 수면을 조사한 연구논문과 기타 통계자료를 조사한 후,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설문지의 특성을 분석하고 제한점을 조사하여 전문가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스포츠 및 체육을 전공한 교수와 대학원생, 현장 교사, 정책 및 보건 행정 실무자로 구성할 것이다. 문헌 조사와 전문가 자문 회의를 통해 구성된 설문지 초안으로 질문의 내용과 의미, 설문의 구성과 흐름, 예시의 적절성 등 설문지의 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 조사를 시행한다. 예비 조사를 통해 수집된 결과를 근거로 설문지를 수정하고 보완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 자문 회의 또는 자문 단계를 추가로 진행할 것이다. 예비 조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로 나누어지며, 질적 연구는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총 10~2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로 진행할 것이며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할 것이다. 양적 연구도 연령을 5개 그룹-아동(5~7세),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최소 12명에게 설문조사를 할 것이다. 수정된 설문지 최종본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게 된다. 신뢰도 검증은 총 80명(그룹당 필요한 최소 대상자 16명)에게 검사-재검사의 방법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동일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할 것이다. 타당도 검증은 가속도계와 한글판 국제신체활동 설문지를 이용할 것이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 개발을 완성한다.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는 10개 영역의 지표를 평가하는 성적표로, 신체활동, 체육교육학, 운동생리학, 스포츠과학, 보건 및 의학 분야의 전문가, 보건 관련 기관의 연구원, 초중고 현직 교사 그리고 정부 부서 관계자로 구성되는 연구팀과 실제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실무팀으로 구성된다. 자료조사는 최근에 발표된 국내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에 관한 국내외 연구논문, 보건/정부 관련 기관의 통계자료와 보도자료를 분석하게 된다. 신체활동 보고서의 표준화된 등급표에 따라 연구팀의 회의를 통해 영역별 지표에 대한 성적 평가를 시행하게 될 것이며,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제출하고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를 발표하게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좌식행동과 수면을 포함한 24시간 생활 습관을 조사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그 도구를 이용한 아동과 청소년의 종합적인 실태 파악하고, 2022년 글로벌 매트릭스 4.0 발표를 앞두고,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 프레임에 맞추어 현재 대한민국 아동·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실태 조사를 주요한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최근 2년 동안 발표된 국내외 논문, 보건 관련 기관의 발표 자료 및 통계자료,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신체활동, 조직화 된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 활동적인 놀이, 이동 시 일어나는 신체활동, 좌식행동, 가족과 친구, 학교체육, 지역사회와 환경, 정부, 그리고 체력의 10개 영역을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그 중 분석이 가능한 하위 영역의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논문을 이용한 자료와 국내 관련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신체활동 보고서의 하위 7개 영역 - 전반적인 신체활동, 조직적인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 활동적인 놀이, 장소 이동 시 일어나는 신체활동, 좌식행동, 학교와 체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실태 조사의 결과, 장소 이동 시 일어나는 신체활동과 체력에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적인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와 학교체육은 보통 수준, 좌식행동, 전반적인 신체활동과 활동적인 놀이에 참여하는 아동·청소년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가족과 친구, 지역사회와 환경과 정부 영역은 자료가 미흡하여 조사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은 신체적으로 활동적이지 않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프로그램 및 지침서를 개발하고 건강한 생활방식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신체활동의 실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보고서가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의 도구와 지지의 수단으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 영역의 지표 개선과 향상을 위해서 교육 기관과 정부 차원의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nd investigate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for children and adolescent in Korea using a 24-hour movement behavior questionnaire, and 2)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ix seven sub-indicators in accordance with the Report Card on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and Youth frame ahead of the 2022 Global Matrix. Based on the peer-reviewed papers identified by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written in Korean or English and government reports for 10 indicators – overall physical activity, organized sport a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ctive play, active transportation, sedentary behavior, family and peer, physical education, community and bulit enivornment, government, and fitness. This was the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n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as preferred sources of data.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icators and benchmarks set by Active Healthy Kids Global Alliance. The propor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was high in active transportation and physical fitness while the propor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organized sports and physical activity were moderate level, sedentary behavior, overall physical activity, active play and school were low. Family and Peers, Community and Built Environment, and government and Investment have not been investigated due to lack of available evidence. Althoug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showed various participation rates in the field of physical activity, most Korean children and youth were not physically activ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to establish a healthy lifestyle.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current level of physical activity more accurately. The report card on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s to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and support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More evidence and effort at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for comprehensive assessment of indicators, and more support and government investment are needed to improve in all indicat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아동·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급성장하는 시기이며, 건강한 생활 습관(예. 신체활동, 좌식행동, 수면)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아동·청소년기의 건강한 생활 습관의 형성과 확립은 성인기의 생활 습관으로 이어지며, 청소년기 건강이 성인기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청소년에게 높은 신체 활동량과 낮은 좌식행동 시간, 그리고 충분한 수면은 독립적, 복합적으로 청소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낮은 신체활동 참여율과 높은 좌식행동 시간, 그리고 수면 부족은 청소년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인 국내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현황 진단을 위한 조사, 통계자료 및 연구 활성화 지원 체계는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아동·청소년들 개개인의 행동과 건강과의 관계를 하루 24시간의 시간 내에서 일어나는 행동 양상-신체활동, 좌식행동 및 수면에 대한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조사 도구의 개발과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과 2018년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의 후속 연구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좌식행동과 수면을 포함한 24시간 생활 습관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 파악을 위한 아동·청소년 조사 도구 개발 및 2022년 대한민국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현재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신체활동의 영역별 지표에 대한 실태 조사를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아동·청소년의 24시간 생활 습관 조사 도구는 총 7단계로 개발될 예정이고, 국내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실태 조사는 최근 2~3년 동안 발표된 국내외 논문, 보건 관련 기관의 발표 자료 및 통계자료,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신체활동과 좌식행동의 현황을 평가 기준 또는 지침(guideline)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와 한국 아동 패널 조사, 학생 건강 검사의 통계자료로 7개 영역 - 전반적인 신체활동, 조직적인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 활동적인 놀이, 장소 이동 시 신체활동, 좌식행동과 학교, 그리고 체력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실태 조사의 결과, 장소 이동 시 일어나는 신체활동과 체력에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적인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와 학교 체육은 보통 수준, 좌식행동, 전반적인 신체활동과 활동적인 놀이에 참여하는 아동·청소년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가족과 친구, 지역사회와 환경과 정부 영역은 자료가 미흡하여 조사하지 못하였다.
    2016년과 2018년의 신체활동 보고서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좌식행동 포함) 관련 과제 및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지속적인 각국의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보고서 발표 (Global Matrix, 국제 학술 대회) 참여와 국가 간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영역별 지표 결과의 비교 및 공유를 통하여 관련 분야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정부 정책 차원의 구체적인 아동·청소년의 조사자료와 아 및 청소년의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지침서(guideline), 신체활동 활성화 정책 등의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민국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보고서가 나아가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속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신체활동 보고서가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의 도구뿐만 아니라 교육 기관과 정부 차원에서 신체활동을 향상하기 위한 더 많은 투자와 지원의 근거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신체활동, 체육교육학, 운동생리학, 스포츠과학, 의학 및 보건 분야의 전문가 네트워크가 활성화될 경우, 학문 간 정보공유가 가능해지며 대학과 연구 기관의 융합 연구가 구성되어 협업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체육 분야에서 융합연구를 계획하는 연구자들에게 좋은 표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색인어
  • 신체활동, 조직적인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 활동적인 놀이, 장소 이동 시 신체활동, 좌식행동, 학교체육, 체력,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한국 아동 패널 조사, 학생 건강 검사, 아동, 청소년, 리포트 카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