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공감수업이 성취정서, 영어읽기 동기 및 영어독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athy Instruction on Achievement Emotion,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88571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현정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수업에서 정서의 중요성
    ● 우리나라의 경우 초중고를 포함한 대학교의 수업에서 인지적 영역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인지적 영역과 비인지적 영역 간의 심각한 불균형 문제 발생 (신현숙, 2011; 이상수, 2019; 이인재, 2009)
    ● 하지만 학습 과정은 단순하게 인지적 과정만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과정을 반드시 동반함
    ● 학습자 사고 과정과 학습에서 정서적 역량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수업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정서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성취 정서의 의의
    ●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정서들을 경험하게 되며, 이들 정서 중 성취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정서를 성취 정서라고 함
    ● 성취 정서는 학습 환경에 대한 평가에 근거하여 발생하고 그 결과 학생들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학업에 관한 자기조절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줌(Pekrun, 2006)

    ■ 성취 정서와 영어 읽기 동기
    ● 이현정(2019)은 성취 정서가 읽기 동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줌. 동기와 정서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연구를 통해 이미 밝혀졌으며 특히 긍정 정서는 학습과 관련된 동기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높은 학습 동기에 의한 학습결과는 다시 긍정 정서를 만들어 내는 상호작용적 특성이 있음
    ● 영어 읽기 동기를 촉진하기 위해서 독해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긍정성취 정서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칭찬과 격려를 통해 즐거움, 희망, 자부심 등의 긍정성취 정서를 많이 경험하도록 심리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 읽기 동기는 읽기 행위를 유발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강화시키며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독해 과정에 참여하도록 도움

    ■ 성취 정서, 영어 읽기 동기, 그리고 영어 독해력
    ● 성취 정서는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영어 읽기 동기에 영향을 줌
    ● 영어 읽기 동기는 영어 독해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절한 성취정서의 관리는 영어 읽기 동기에 영향을 주어 다시 영어 독해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론할 수 있음
    ● 이현정(2019)은 긍정 및 부정 성취 정서가 읽기 동기와 독해 전략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통해 영어 독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긍정 성취 정서와 읽기 동기 모두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가 있음을 보여줌

    ■ 성취 정서 관리를 위한 영어 독해 공감 수업의 필요성
    ● 성취 정서가 영어 읽기 동기와 영어 독해력에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영어 교육에서 학생들의 성취 정서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전략은 부재하며 인지적 영역에만 중점을 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
    ● 영어 독해 수업에서 학생들의 정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히 독해전략과 동기 유발 전략만을 사용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업 분위기와 긍정 정서의 유발을 위한 공감 수업 전략 사용의 필요성이 있음
    ● 예를 들어 영어 독해 과제의 난이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영어 독해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갖게 하기, 영어 독해 과정에서 즐거움을 경험하게 하기, 영어 독해 결과에 대한 성취감 가지기 등 수업 준비, 수업과정, 수업결과 관리에서 학습자들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관리가 중요함(이현정, 2019)
    ● 최근 여러 정서적 역량들 중에서 공감역량이 강조됨. 수업에서 교수자의 공감은 학습자 정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최적화된 학습을 촉진하고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킬 뿐 아니라 긍정적이고 편안한 수업 분위기 조성을 통한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짐(Cooper, 2011; Feshbach & Feshbach, 2009)
    ● 따라서 영어 독해 공감 수업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으로 공감이라는 정서역량이 영어 독해 수업에서 가지는 역동적 의미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교육 현장에 보다 효과적이고 전인적 교육과 함께 영어 학습자들의 독해력 증진을 위한 실질적 전략을 제공해 줄 것임
  • 기대효과
  • ■ 예상되는 중간 결과물
    ● [영어 독해 공감 수업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공감, 공감 수업, 독해 수업전략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
    ● [영어 독해 공감 수업전략] 공감 수업 설계원리에 기초하여 영어 독해 공감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구체적인 수업전략 도출
    ● [영어 독해 공감 수업 교수-학습지도안] 설계원리와 수업전략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영어 독해 콘텐츠에 적용한 8 차시 교수-학습지도안
    ● [다양한 영어독해 공감 수업자료] 실제 수업에서 사용할 각 차시별 PPT 자료, audio자료, 동영상, 사진, 공감 카드, 형성평가 도구 등
    ● [통계 자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취 정서 측정 자료, 영어 읽기 동기 측정 자료, 영어 독해 측정 자료 및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자료 등

    ■ 학문적 기여도
    ● 영어교육에서 정서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 정립: 본 연구는 영어 독해 교육을 위한 공감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그 영향력을 연구함으로써 영어교육에서 그동안 등한시했던 정서가 영어 독해 동기와 영어 독해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힘으로써 영어교육에서 정서적 영역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공감, 성취 정서, 영어 읽기 동기, 영어 독해력 등 관계 이론 정립: 공감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성취 정서와 영어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영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관련 이론을 정교화하는데 기여
    ● 전인적 영어교육 연구의 활성화: 공감이라는 정서역량이 영어 독해 수업에서 가지는 역동적 의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인적인 영어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으로 관련 연구 촉진 기대

    ■ 사회에 대한 기여도
    ● 효과적인 영어 독해 교육 전략 제공: 공감 수업전략을 통해 어떻게 영어 독해 수업을 할 것인지 구체적인 전략 개발을 통해 대학교뿐만 아니라 초중등 교육에서 효과적인 영어 독해 교육 전략을 제공해 줄 수 있음
    ● 영어 교과 교육과 정서역량 교육의 통합교육 전략 제공: 영어 교육과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은 서로 독립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영어 독해 교육에서 공감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정서 관리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해줌으로써 영어 교과 교육과 정서역량 교육의 통합적 전략을 제공해 줄 수 있음
    ● 교수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영어 독해 공감 수업전략 제공: 영어 독해 과제의 난이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영어 독해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갖게 하기, 영어 독해 과정에서 즐거움 경험하기, 영어 독해 결과에 대한 성취감 경험하기 등 수업 준비, 수업과정, 수업결과 관리에서 학습자들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관리하는 전략 등 구체적인 영어 독해 공감 수업전략 제공

    ■ 교육 및 후속 연구와 연계
    ● 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들만을 대상으로 했으나, 영어교육에서 공감 전략의 사용을 통한 인지적 및 정서적 역량의 통합적 교육을 위한 새로운 연구를 촉진함으로써 정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독해 수업 관련 후속 연구를 촉진할 수 있음
    ● 이후 연구는 초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상의 차이에 의한 결과의 변화를 검증하는 연구 실행이 필요함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공감 수업은 적절한 성취 정서 관리를 통해 영어 읽기 동기와 영어 독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음.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감, 성취 정서, 영어 읽기 동기 등 관련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에 기초하여 수업 개선 방향으로서 독해 공감 수업 전략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 문헌연구
    독해를 위한 공감 수업 설계 원리 개발을 위해 공감, 공감 수업, 독해 수업, 독해 수업전략 등에 관한 문헌연구를 시행
    독해 수업 사례와 공감 수업 사례에 관한 문헌연구와 개발한 독해 공감 수업설계 원리에 기초하여 실제 독해 공감 수업을 설계

    ■ 전문가 검토
    ● 독해 강좌 공감 수업을 교수학습지도안 형태로 설계하여 전문가들에게 공감 수업의 원리가 적용되었는지 그리고 독해 수업이 올바로 설계 되었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수정 실시
    ● 전문가 검토는 공감 수업 전문가(대학 교수) 3인과 독해 수업 전문가(대학 교수) 2인 총 5인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 인터뷰 형태로 실시
    ● 전문가 검토 내용은 도입, 전개, 정리 단계에서 학생들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태도적 공감 전략이 독해 수업전략과 잘 통합되어 구현되었는지에 대해 피드백을 받아 수정 작업 실시

    ■ 실험: 실험을 위해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사용
    ● 연구대상: 4년제 대학에서 기초영어를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 30명씩 총 4개 분반 중 무선으로 2개 분반은 실험집단에 그리고 2개 분반은 통제집단에 배분하여 실시하되 실험집단 60명 그리고 통제집단 60명 총 120명을 대상으로 실험 실시 예정

    ● 실험집단: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공감 수업설계 원리에 따라 개발된 독해 8주간 공감 수업 실시
    ● 통제집단: 일반적인 독해 수업전략을 사용하여 수업을 실시하되 실험집단의 공감 수업전략을 제외한 다른 요인은 동일하게 설계하여 실시할 예정임

    ■ 측정 도구
    ● 영어 독해력 사전, 사후 검사지
    L2 독해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최근 공인 영어성적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를 고려하여 영어 독해 성취도 시험지를 고안한다. 시중에 출판된 영어 학습서 중 적절한 텍스트를 선정하여 독해 성취도 시험지를 고안한다.

    ● 영어 읽기동기 설문지
    The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Wigfield & Guthrie, 1997)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학습자들에 맞게 수정한 영어 읽기동기 설문지를 사용한다. 설문지는 총 30문항으로 5개의 하위 요인, 내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외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 읽기 중요성(importance of reading), 읽기 회피(reading avoidance), 읽기 효능감(reading efficacy)으로 분류된다. 설문지의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에서 “매우 그렇다”의 5로 리커트 5척도를 사용하여 답하도록 구성한다.

    ● 성취 정서 검사지
    성취정서를 측정하기 위하여 Pekrun, Goetz, Frenzel, Barchfeld, Perry 등(2011)이 개발한 성취정서 검사지(AEQ: Achivement Emotions Questionnaire)를 우리나라 학습자에게 맞게 부분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다. 성취정서 검사지는 총 8개의 성취정서(즐거움, 희망, 자부심, 화, 불안, 수치심, 좌절감, 지루함)에 대한 문항들로 구성하고 학습 상황에서의 8가지 성취정서를 묻는 문항들을 사용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학습자의 정서는 학습자 사고의 유연성을 높이거나 경직 시킬 수 있고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쳐서 학습과 수행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학습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정서적 요인으로서 학습자의 공감 능력이 영어 읽기 수업에서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가 매개 변인으로써 영어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2학기에 영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12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 능력은 긍정적 성취 정서와 부정적 성취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읽기 동기는 영어 읽기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긍정적 및 부정적 성취 정서 또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에 영향을 줌으로써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감 능력과 같은 정서 역량이 영어 학습 환경에서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를 매개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어떤 역동적 영향을 주는지 밝힘으로써 학습자 정서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pathy on L2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mediated effects of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emo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college students. Data on subjects’ characteristics such as empathy,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emotions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Empathy showed a 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also showed a direct effect on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and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English reading motivation showed a 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and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showed a 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either. However emotion showed a in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nd i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develop strategies that can develop empathy to improve L2 reading comprehens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pathy on L2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mediated effects of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emo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college students. Data on subjects’ characteristics such as empathy,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emotions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Empathy showed a 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also showed a direct effect on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and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English reading motivation showed a 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and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showed a 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either. However emotion showed a indirect effect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nd i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develop strategies that can develop empathy to improve L2 reading comprehens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학습자의 정서는 학습자 사고의 유연성을 높이거나 경직 시킬 수 있고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쳐서 학습과 수행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학습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정서적 요인으로서 공감 능력이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를 매개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공감 능력은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학습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한다(박미화, 2021; Cooper, 2011). 또한, Dörnyei(2005)는 영어 학습 동기를 영어 학습 상황에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포함한다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공감 능력은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관점에서 영어 읽기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공감 능력은 부정 성취 정서와 긍정 성취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자신의 정서가 어떤 정서이고 그 정서가 어떤 욕구에 기초한 것인 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이로 인해 긍정적 정서는 더 활성화하고 부정 정서는 비활성화 하거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 근거가 되는 욕구를 긍정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이상수, 2019; Cooper, 2011). 따라서 공감 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학습 환경에서 긍정 성취 정서를 활성화하고 부정 성취 정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영어 읽기 동기는 영어 읽기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영어 읽기 수업에서 학습 동기는 학습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박지민, 임병빈, 2013; 이현정, 2019; Kim, 2008; Takase, 2007). 하지만 본 연구의 모형에서는 미세한 차이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공감 능력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이 전체 모형에서 상대적으로 영어 읽기 동기의 영향을 낮춘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긍정 및 부정 성취 정서 또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즐거움, 희망, 자부심과 같은 긍정-활성화 성취 정서는 내적 및 외적 동기를 촉진하고 유연한 학습전략의 사용을 촉진함으로써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이상수, 2018; Fredrickson, 2001; Pekrun, et al., 2002; Pekrun, et al., 2011). 그리고 좌절감과 지루함과 같은 부정-비활성화 정서는 학습자들의 주의를 분산 시키고, 동기를 저하 시키며 정보처리 활동 참여 노력을 감소 시켜 결국은 학습자들의 수행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상수, 2018; Packard & Cahill, 2001; Pekrun, et al., 2010).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감 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능력은 앞에서 논의한 학습 동기와 성취 정서에 영향을 줌으로써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감 능력이 영어 유창함이나 영어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경험 연구를 통해 밝히고 있다(최미옥, 박현숙, 2014; Chen, 2008). 이처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공감 능력과 같은 정서 역량이 영어 학습 환경에서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를 매개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어떤 역동적 영향을 주는지 밝힘으로써 학습자 정서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 간 공감 전략을 기존 수업 전략에 통합하여 사용한다면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 조성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영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정서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혹은 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어서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 급을 달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색인어
  • 공감 능력, 영어 읽기 동기, 성취 정서, 영어 읽기 성취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