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자의 정서는 학습자 사고의 유연성을 높이거나 경직 시킬 수 있고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쳐서 학습과 수행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학습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정서적 요인으로서 공감 능력이 영어 읽기 동 ...
■ 학습자의 정서는 학습자 사고의 유연성을 높이거나 경직 시킬 수 있고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쳐서 학습과 수행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학습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정서적 요인으로서 공감 능력이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를 매개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공감 능력은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학습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한다(박미화, 2021; Cooper, 2011). 또한, Dörnyei(2005)는 영어 학습 동기를 영어 학습 상황에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포함한다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공감 능력은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관점에서 영어 읽기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공감 능력은 부정 성취 정서와 긍정 성취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자신의 정서가 어떤 정서이고 그 정서가 어떤 욕구에 기초한 것인 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이로 인해 긍정적 정서는 더 활성화하고 부정 정서는 비활성화 하거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 근거가 되는 욕구를 긍정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이상수, 2019; Cooper, 2011). 따라서 공감 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학습 환경에서 긍정 성취 정서를 활성화하고 부정 성취 정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영어 읽기 동기는 영어 읽기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영어 읽기 수업에서 학습 동기는 학습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박지민, 임병빈, 2013; 이현정, 2019; Kim, 2008; Takase, 2007). 하지만 본 연구의 모형에서는 미세한 차이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공감 능력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이 전체 모형에서 상대적으로 영어 읽기 동기의 영향을 낮춘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긍정 및 부정 성취 정서 또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즐거움, 희망, 자부심과 같은 긍정-활성화 성취 정서는 내적 및 외적 동기를 촉진하고 유연한 학습전략의 사용을 촉진함으로써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이상수, 2018; Fredrickson, 2001; Pekrun, et al., 2002; Pekrun, et al., 2011). 그리고 좌절감과 지루함과 같은 부정-비활성화 정서는 학습자들의 주의를 분산 시키고, 동기를 저하 시키며 정보처리 활동 참여 노력을 감소 시켜 결국은 학습자들의 수행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상수, 2018; Packard & Cahill, 2001; Pekrun, et al., 2010).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감 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능력은 앞에서 논의한 학습 동기와 성취 정서에 영향을 줌으로써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감 능력이 영어 유창함이나 영어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경험 연구를 통해 밝히고 있다(최미옥, 박현숙, 2014; Chen, 2008). 이처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공감 능력은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영어 읽기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공감 능력과 같은 정서 역량이 영어 학습 환경에서 영어 읽기 동기와 성취 정서를 매개로 영어 읽기 성취도에 어떤 역동적 영향을 주는지 밝힘으로써 학습자 정서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 간 공감 전략을 기존 수업 전략에 통합하여 사용한다면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 조성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영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정서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혹은 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어서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 급을 달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