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전남 방언의 날씨 어휘장 연구
A Study on the Weather term lexical field of Jeonnam dialec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1246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오청진
연구수행기관 국립목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목적은 날씨 관련 어휘의 형태 및 의미, 통사와 관용적 정보를 정리하여 전남 방언의 날씨 어휘장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일상생활에서 날씨 정보는 필수적인 것으로 과거 농경 중심의 사회에서 벗어난 현대에서도 산업, 생활, 교육 모든 면에서 중요한 생활 어휘라 할 수 있다.
    날씨 표현은 범주가 넓고 일련의 어휘군을 형성하고 있어 온도, 기상현상, 절기에 따라 다양한 어휘로 세세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어휘군의 질서를 파악하고 이를 세부 정보별로 분류하여 어휘장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중앙어만을 그 대상으로 하여 명칭 분류나 하위 주제에 대한 분절 구조 확인, 기초 주제 어휘를 대상으로 한 교육학 방법 등을 살피는 연구가 있었고 방언에서의 작업은 전무하였다.
    우리말 표현이자 생활 중심어로서의 방언 어휘부는 방대하고 내부적으로는 세밀하여 각각의 어휘들이 중앙어에 대응하거나 중앙어의 빈 칸을 채우고 있다. 각 대응들이 상보적이지 않고 공존하는 것은 각각의 의미 생성과 존재 방식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한국어 생활 어휘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날씨 표현이기에 일기(日氣) 표현 어휘, 절기와 계절 어휘, 명절과 생활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일련의 어휘군을, 풍부한 방언 어휘 속에서 파악하는 것은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전남 방언을 중심으로 각 어휘군과 표현, 이들의 형태와 의미, 그리고 호응 서술어 정보를 포함하는 어휘장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우리말 방언 표현을 수집, 정리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어휘 별 형태 정보, 의미 정보와 호응 서술어와의 관계를 포함한 통사적 정보, 관용적 정보 등을 파악하고 정리ㆍ제시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기대효과
  • 전남 방언의 날씨 어휘장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첫 번째 기대효과는 방언 말뭉치 구축이다. 중요한 언어 연구 방법론 중 하나인 말뭉치 언어 연구는 방법론이나 분석 도구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나 국립국어원이나 (구)정신문화연구원의 결과를 제외하면 방언 말뭉치는 개인 연구자의 연구물로만 남아있는 실정이다. 주제별 자연 발화를 조사하고 그것을 녹음, 기록하는 사업이 국립국어원을 통해 진행되어 왔으나 이 또한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연 발화 말뭉치 조사 결과물이 필요하다.
    둘째, 국어 정보화 DB 구축과 보완이다. 본 연구는 어휘장을 통해서 방언의 날씨 어휘부의 체계와 그 정보를 상세화한다. 이는 ‘범위 확장’이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직관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객관적인 자료로 관찰의 대상이 전환된다. 대상을 넓혀가고 있는 언어 정보 처리 시스템이나 사전 구축을 위한 의미망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과 같은 개방형 지식 탑재 사전형에 방언 어휘들이 탑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일부 의미 정보만 제시하고 있어 본 연구의 세세한 정보와 분석은 사용례와 의미역, 그리고 형태, 통사, 연어 정보 등 다양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전문 문헌의 발간이다. 이른바 사전이나 자연 발화 자료의 참고 연구 자료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학의 분야에서 ‘소설어 사전’이 다양하게 출간된 것과 같이 방언에서의 연구가 이에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지역별 방언사전이 발간되어 있으나 그 어휘 수나 다루는 정보가 많지 않기에 본고를 비롯한 방언 연구 결과는, 방언의 전문적인 분야별 어휘 및 표현 사전 출간과 같은 확대된 자료 보급에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우리말의 올바른 보전과 보급에 필요하다. 표준어 교육이나 미디어의 보급, 지역 간의 교류 등으로 많은 분야에서 방언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의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방언 사용에 대한 긍정 의식이 높아지고 있고, 방언에 대한 높은 관심과 방언이 처한 현실에 대한 문제 의식을 두루 가지고 있는 국민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아름다운 우리말 자원인 방언에 대한 보전, 그리고 언어환경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우리말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는 필요하다.
    넷째, 학교 현장과 일반 국민을 위한 강연 등 교육에 효과적이다. 방언 어휘장을 통해 다양한 우리말 표현을 익히고 이와 함께 한국어에 대한 지식 교육은 연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 교양 강연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주제가 된다.
    후속 세대가 이어받아 기존의 논의를 보완하고, 언어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제공하는 다양한 표제 정보를 제공받는 등 연계 과제로서의 역할도 분명하리라 여긴다. 이를 통해 국어 정보화의 흐름이 지향하는 언어 처리 인공 지능 개발 환경에도 필요한 자료로 제공되리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날씨, 비, 구름, 눈, 바람, 안개, 기온, 기타(더위, 추위, 천둥, 번개 외)] 등 기상 현상을 표현하는 어휘군을 대상으로 한다. 논의를 위해 각 어휘군에 속하는 대상 어휘, 확장 표현, 연어 관계, 관용 표현 들을 살펴 어휘장을 형성할 목록을 확보한다. 이 목록에 연구 분석 기준을 더하여 형태·의미 정보를 분석하고 호응 서술어의 조건 그리고 어휘 확장을 더해 의미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날씨 표현과 관련된 사회 문화적 표현을 함께 다루기로 한다.
    이때 대상을 수집하게 되는 자료는 원시 말뭉치의 전사 형태인 자연 발화 전사 자료와 조사 채록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단순한 의미 정보만을 알기 위함이 아니고 표현의 의미역과 발화에 나타나는 사용례를 통해 사용역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표현의 의미가 확인되면 기존의 의미에 추가할 수 있으므로 의미 정보를 세세하게 얻을 수 있다.
    어휘장의 어휘 목록을 수집하기 위해 [1차] 전남 방언사전의 목록 수집, [2차] 자연 발화가 전사된 지역어 보고서, 현지 조사 보고서와 자연 발화 채록 보고서 등을 통한 목록 및 사용례 보완, 뒤이어 [3차] 인터뷰를 통한 조사 및 분석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다만 사전의 어휘는 문어적 표현과 구어적 표현이 망라하여 기록되어 있기에 여기에서 확보한 목록은 일정한 참고 기준이 될 것이다.
    전사 위의 보고서와 단행본은 자연 발화가 형태음소 전사와 표준어 전사로 되어 있는 것을 우선 대상으로 하고, 그 외에는 기타 인터뷰의 채록을 인쇄화한 자료들이다. 이들은 문어적 표현과 그 사용역, 그리고 그를 통해 추가로 확보되는 의미역의 보완 자료로 쓰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위의 문헌 자료를 토대로 하여 현지 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기상’에 민감한 자연환경에 따라 세세한 표현의 정도가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하여 농촌 지역, 해안·도서 지역, 산촌 지역에 관한 자료를 골고루 확인해야 하는 것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조사 대상지는 전남 무안(농어촌 혼합지역), 전남 함평(농촌 지역), 전남 구례(산촌 지역), 전남 고흥(도농 혼합지역)의 4지점이다. 특히, 전남 구례와 전남 고흥 지역은 방언 원시 말뭉치로 볼 수 있는 자연 발화 조사 보고서나 기존 대면 조사 보고서가 전남 도서지역(진도, 완도, 신안, 여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보고된 지역이어서 확보한 목록과 사용례를 확인하고 보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수집된 어휘와 그 용례 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의 방법 기준을 정하였다. 첫째, 하위 범주의 어휘를 분석하는 도구로 의미 성분 분석(componential analysis)을 적용한다. 이는 어휘의 의미를 분석하는 주요한 기제로 사용되어왔고, 의미 성분 분석을 통해 어휘 의미 간의 관계를 밝히고 계열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석을 통해 각 단어가 공유하는 자질 및 변별적 자질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각 단어의 의미를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휘 내외부의 형태·통사·의미적 관계의 속성과 유형 정보를 찾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같은 범주 내 어휘들 사이의 유의·동의 관계를 살피고 어휘의 결합 관계를 분석하여 논항 정보와 같은 세부 정보를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은 최근 국어 정보화의 한 형태인 의미망을 구축하기위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어휘 하나를 구성하는 모든 정보, 논항과 격틀까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도식화할 수 있다.
    위의 두 방법론을 통해 본 논의의 연구 목적인 어휘의 형태, 의미, 통사, 확장, 문화적 정보를 파악하는 것 외에 중앙어와의 대응, 차이점, 어휘 사용 빈도, 의미의 범주 등의 세목을 포함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전남 방언의 날씨어 체계를 살피기 위해 <바람>, <비>, <눈>, <구름>을 주 날씨 현상으로 보고 각각의 날씨어를 살펴 보았다. 기상현상은 유사한 어휘 구성을 가지기도 하나, 하위 분절 기준으로 <공간>, <시간>, <정도>, <양상>을 공통 개념으로 추출하고 각 범주를 분절하였다.
    어휘는 상위 날씨어 범주에 따라 다양한 분화를 나타내는데 자연 환경의 영향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졌다. 바람이나 비는 도서 해안 지역에서 세세히 분화되나 농산 지역에서는 대표 어휘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그 안에서 형태변화가 많다.
    [바람] 은 [공간], [정도], [양상], [시기]를 1차 범주로 형성하고 있다. [공간]은 [방위, 방향, 장소]로 하위 분절된다. 한자 이름으로 대체가 많은 도농지역과 달리 도서 해안 지역은 고유어 바람 이름이 여전히 사용되며 8방위 안에서의 분화가 두드러진다. 그리고 같은 이름이라도 지시하는 방위 범위가 달리 나타난다.
    [정도]는 [강세, 온도]로, [양상]은 [양상, 복합]으로, 시기는 [때, 계절]의 하위 범주와 어휘를 포함하고 있다. 범주 내 어휘들은 기본적인 의미 외에 전승된 인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기본적 의미와 경험적 인식을 같이 전하고 있다. 인지적 분류 정보는 화자들의 인식과 관용표현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비] 날씨어는 상위어인 [비]를 중심으로 ‘시기, 양상, 정도’를 하위로 분절할 수 있다. 바람 날씨어와 달리 ‘공간’ 정보에 따른 분절이 간략화된 것이 특징이다. 공간 요소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진 바람에 비해, 비는 구름이나 바람과의 복합 정보로 예측 또는 규정한다. 게다가 비 자체의 특성으로도 분화되기에 공간의 영향이 비의 특성에 포함되지 않는다. 시기는 [때, 지속], 양상은 [상태, 복합], 정도는 [강세, 양, 인식]으로 구성된다.
    [눈]은 주로 농산 지역에서 세부적으로 분류하며 도서 지역에서는 ‘비, 바람’ 기상 현상보다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다. 하지만 수량(水量)에 포함되는 정보이기에 여전히 중요한 일기 요소이다.
    [눈] 날씨어는 상위어인 [눈]을 중심으로 ‘시기, 양상, 정도’를 하위로 분절할 수 있다. 한자어인 [설]을 중심으로 분화된 단어들도 보이며 기상 예보의 영향으로 사용례가 확산된 형태가 많다. 시기는 [때, 절기], 양상은 [상태, 복합], 정도는 [강세, 양, 인식]으로 구성된다. 하위 날씨어를 살펴보자.
    비와 일조량이 큰 관심사였던 농경 사회나 도서 해안 지방에서 구름은 향후 일기를 예측해 볼 수 있는 지표였다. 비 올 구름과 그렇지 않은 구름을 구분해야 했던 시기에 비해 예보의 등장으로 간편해진 일기 대비는 생활에 안정을 가져다 주었다. [구름] 날씨어 역시 상위어인 [구름]을 중심으로 ‘양상, 정도’를 하위로 분절할 수 있다. 하위 분절 기준으로 [시기]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구름 자체가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기상 현상이 [시기]에 따라 민감한 분류적 인지를 전한 것에 비하면 모양이나 양상이 징후를 분석하게 해주기 때문에 더 간략한 것도 사실이다. 다만 관용표현으로 시기나 위치와 더불어 구름의 형태를 전하면 복합적인 정보로 향후 날씨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이기도 한다.
    [구름] 날씨어 또한 한자어인 [운(雲)]을 중심으로 분화된 단어들도 드물게 보이지만 사용례가 많지 않다. 기상 예보 전달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양상은 [상태, 복합], 정도는 [모양, 인식]으로 구성된다.
    어휘 분화에서도 확인했듯이 날씨어는 내륙 농촌 지역에 비해 도서 해안 지역 등 자연환경의 차이에 따라 세세한 지각이 달리 나타난다. 생활의 기반이 되는 자연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날씨 관용 표현은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금기담이다. 이는 어떤 결과가 예상되니 그에 대해 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둘째는 비유이다. 결과에 대해 비유적인 표현을 써서 유추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결과담이다. 주로 일기에 대한 경험 정보를 나열한 것으로 관용표현 형식으로 전하는 것이다. 넷째는 날씨의 성격에 따른 농경/어로의 영향을 표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는 날씨가 예측되는 상황을 표현한다.
  • 영문
  • The weather language system of the Jeonnam dialect was divided into "wind", "rain", "snow", and "clouds". As for weather phenomena, <space>, <time>, <degree>, and <aspect> were designated as common concepts and each category was classified.
    Vocabulary represents various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upper weather language category,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was remarkable. Various vocabulary words are found in the coastal areas of islands, but the use of major vocabulary is remarkable in rural areas, and there are many morpheme changes in them.
    The analysis of wind terms is as follows. [Space] is sub-divided into [cardinal points], [direction], and [place]. Unlike urban and rural areas, where there are many alternatives with chinese character names, the coastal areas of the islands stand out in their own names and differentiation within eight directions. [degree] is [strong, temperature], [aspect] is [modality, complex], and the [time] includes subcategories and vocabulary of [moment, season].
    [Rain] Weather terms can be subdivided into a lower part of [time, pattern, and degree] centering on [Rain], which is a high-level word. Unlike wind weather fish, segments according to [space] information are simplified. Compared to wind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patial element, rain is predicted or defined as complex information with clouds or wind. In addition, it can be class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in itself, so the influence of space is not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in The timing consists of [sometimes, persistent], the pattern consists of [state, complex], and the degree of [strongness, quantity, and recognition].
    [Snow] Weather terms can be subdivided into lower parts of "time, pattern, and degree" centering on [snow], which is a high-level word. There are also words that are differentiated around the Chinese character Seol, and there are many forms in which usage cases have spread due to the influence of weather forecasts. The timing consists of [sometimes, season], the pattern consists of [state, complex], and degree of [strongness, positive, and recognition].
    [Cloud] The weather language can also be subdivided into a lower part, centering on [Cloud], which is also an upper-level language. It is also true that the cloud itself is not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is simpler because it allows us to analyze signs compared to other weather phenomena that are sensitive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time. However, it is also shown that the future weather can be predicted with complex information by conveying the shape of the cloud along with the timing and location as an idiomatic expression.
    There are also words made of Chinese characters [Woon] but they are not used much. It is often us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The aspect consists of [state, complex], and degree [shape, recognition].
    Weather idiom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taboo. It consists of prohibiting certain consequences as they are expected. The second is an analogy. It is to infer the results by using figurative expressions. The third is the result. It mainly lists experience information about diaries. Fourth is the effect of weather on life. Finally, the fifth expresses the situation in which the weather is predic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전남 방언의 날씨어 체계를 살피기 위해 <바람>, <비>, <눈>, <구름>을 주 날씨 현상으로 보고 각각의 날씨어를 살펴 보았다. 기상현상은 유사한 어휘 구성을 가지기도 하나, 하위 분절 기준으로 <공간>, <시간>, <정도>, <양상>을 공통 개념으로 추출하고 각 범주를 분절하였다.
    [바람] 은 [공간], [정도], [양상], [시기]를 1차 범주로 형성하고 있다. [공간]은 [방위, 방향, 장소]로 하위 분절된다. 한자 이름으로 대체가 많은 도농지역과 달리 도서 해안 지역은 고유어 바람 이름이 여전히 사용되며 8방위 안에서의 분화가 두드러진다. 그리고 같은 이름이라도 지시하는 방위 범위가 달리 나타난다. [정도]는 [강세, 온도]로, [양상]은 [양상, 복합]으로, 시기는 [때, 계절]의 하위 범주와 어휘를 포함하고 있다. 범주 내 어휘들은 기본적인 의미 외에 전승된 인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기본적 의미와 경험적 인식을 같이 전하고 있다. 인지적 분류 정보는 화자들의 인식과 관용표현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비] 날씨어는 상위어인 [비]를 중심으로 ‘시기, 양상, 정도’를 하위로 분절할 수 있다. 바람 날씨어와 달리 ‘공간’ 정보에 따른 분절이 간략화된 것이 특징이다. 공간 요소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진 바람에 비해, 비는 구름이나 바람과의 복합 정보로 예측 또는 규정한다. 게다가 비 자체의 특성으로도 분화되기에 공간의 영향이 비의 특성에 포함되지 않는다. 시기는 [때, 지속], 양상은 [상태, 복합], 정도는 [강세, 양, 인식]으로 구성된다.
    [눈]은 주로 농산 지역에서 세부적으로 분류하며 도서 지역에서는 ‘비, 바람’ 기상 현상보다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다. 하지만 수량(水量)에 포함되는 정보이기에 여전히 중요한 일기 요소이다.
    [눈] 날씨어는 상위어인 [눈]을 중심으로 ‘시기, 양상, 정도’를 하위로 분절할 수 있다. 한자어인 [설]을 중심으로 분화된 단어들도 보이며 기상 예보의 영향으로 사용례가 확산된 형태가 많다. 시기는 [때, 절기], 양상은 [상태, 복합], 정도는 [강세, 양, 인식]으로 구성된다. 하위 날씨어를 살펴보자.
    비와 일조량이 큰 관심사였던 농경 사회나 도서 해안 지방에서 구름은 향후 일기를 예측해 볼 수 있는 지표였다. 비 올 구름과 그렇지 않은 구름을 구분해야 했던 시기에 비해 예보의 등장으로 간편해진 일기 대비는 생활에 안정을 가져다 주었다. [구름] 날씨어 역시 상위어인 [구름]을 중심으로 ‘양상, 정도’를 하위로 분절할 수 있다. 하위 분절 기준으로 [시기]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구름 자체가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기상 현상이 [시기]에 따라 민감한 분류적 인지를 전한 것에 비하면 모양이나 양상이 징후를 분석하게 해주기 때문에 더 간략한 것도 사실이다. 다만 관용표현으로 시기나 위치와 더불어 구름의 형태를 전하면 복합적인 정보로 향후 날씨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이기도 한다.
    [구름] 날씨어 또한 한자어인 [운(雲)]을 중심으로 분화된 단어들도 드물게 보이지만 사용례가 많지 않다. 기상 예보 전달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양상은 [상태, 복합], 정도는 [모양, 인식]으로 구성된다.
    어휘 분화에서도 확인했듯이 날씨어는 내륙 농촌 지역에 비해 도서 해안 지역 등 자연환경의 차이에 따라 세세한 지각이 달리 나타난다. 생활의 기반이 되는 자연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날씨 관용 표현은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금기담이다. 이는 어떤 결과가 예상되니 그에 대해 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둘째는 비유이다. 결과에 대해 비유적인 표현을 써서 유추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결과담이다. 주로 일기에 대한 경험 정보를 나열한 것으로 관용표현 형식으로 전하는 것이다. 넷째는 날씨의 성격에 따른 농경/어로의 영향을 표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는 날씨가 예측되는 상황을 표현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국어 정보화 DB 구축과 보완이다.
    본 연구는 어휘장을 통해서 방언의 날씨 어휘부의 체계와 그 정보를 상세화한다. 이는 ‘범위 확장’이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직관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객관적인 자료로 관찰의 대상이 전환된다. 대상을 넓혀가고 있는 언어 정보 처리 시스템이나 사전 구축을 위한 의미망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과 같은 개방형 지식 탑재 사전형에 방언 어휘들이 탑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일부 의미 정보만 제시하고 있어 본 연구의 세세한 정보와 분석은 사용례와 의미역, 그리고 형태, 통사, 연어 정보 등 다양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나. 방언 사전 어휘 자료 확보
    기존의 날씨어 어휘장 연구는 방송 예보 사례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어휘 분석의 대상으로 주로 연구되었다. 방언 사례에서도 가장 많은 어휘 분화를 가진 ‘바람’에 국한되거나 중앙어 중심의 ‘눈’ 또는 ‘비’를 대상으로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 방언을 대상으로 정리한 어휘장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직접 채록하거나 조사하지 않고는 기존에 조사된 어휘의 양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방언 사전에 등재가 된 어휘도 세세한 의미 분화를 설명하기 보다 중앙어에 대입하여 설명하고 있다. <우리말샘>을 비롯한 인터넷 개방형 사전의 경우 방언 어휘의 등재량이 부족하고 그 의미도 세세하지 못하기에 미조사 어휘 자료의 조사와 분석은 좋은 자료가 된다. 국어 정보화 사업이 보편화되어가는 요즘 소멸해 가는 방언 자료의 확보가 될 것이다.

    다. 전문 문헌의 발간
    이른바 사전이나 자연 발화 자료의 참고 연구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문학의 분야에서 ‘소설어 사전’이 다양하게 출간된 것과 같이 방언에서의 연구가 이에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지역별 방언사전이 발간되어 있으나 그 어휘 수나 다루는 정보가 많지 않기에 본고를 비롯한 방언 연구 결과는, 방언의 전문적인 분야별 어휘 및 표현 사전 출간과 같은 확대된 자료 보급에 도움을 줄 것이다.

    라. 우리말의 올바른 보전과 보급에 필요하다
    표준어 교육이나 미디어의 보급, 지역 간의 교류 등으로 많은 분야에서 방언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의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방언 사용에 대한 긍정 의식이 높아지고 있고, 방언에 대한 높은 관심과 방언이 처한 현실에 대한 문제 의식을 두루 가지고 있는 국민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아름다운 우리말 자원인 방언에 대한 보전, 그리고 언어환경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우리말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는 필요하다.

    마. 학교 현장과 일반 국민을 위한 강연 등 교육에 효과적이다.
    방언 어휘장을 통해 다양한 우리말 표현을 익히고 이와 함께 한국어에 대한 지식 교육은 연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 교양 강연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주제가 된다.
  • 색인어
  • 전남 방언, 바람어, 비, 구름, 눈, 어휘장, 분류적 인지 정보, 하위 분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