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廣韻』어휘연구―물명(物名)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xicon of ―Focused on the Names of Thing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0142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나도원
연구수행기관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1008)은 북송 초기의 운서로 隋代의 『절운(切韻)』과 唐代의 『당운(唐韻)』을 기초하여 증정 및 중수한 것이다. 『광운』은 중고 어음 계통을 완전하고도 상세하게 기록하여 상고음을 추측하여 재구하고 중고음을 분석하며 현대 표준어까지 고찰하게 하는 중요한 운서이다. 이 때문에 『광운』은 음운학 연구의 가장 기초 연구자료가 되었다. 그러나 『광운』의 가치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광운』은 총 28,473자에 이르는 방대한 한자를 대상으로 음운을 나누어 분류하였고, ‘水名’ 308개, ‘地名’ 147개, ‘山名’ 89개, ‘縣名’ 156개, ‘草名’ 135개 등 방대한 양의 한자 어휘를 설명하고 있으며, 轞車, 靴靿, 蓊鬱, 籠𥵫 등의 이음절 단어, 방언과 의태어 의성어 등 다양한 어휘를 수록함으로써 중고시기 어휘 연구의 寶庫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宋은 漢과 천여 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있으므로, 漢代의 자서류와 비교연구를 한다면 한자어휘의 변천과 의미의 이동, 이를 통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본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광운』의 연구가 필요함을 인지하면서도 그 연구가 음운학적 관점에 편향되어 있으며, 어휘와 문화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아직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운』의 백과사전식으로 수록된 어휘 중에서 특히 물명(物名)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선진시기 및 漢代의 『이아』『설문해자』『방언』『석명』 등과 연계하여 중국 중고시기 문화와 사회제도 등을 재구하여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첫째, 한어 어휘사 연구에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광운』이 가지고 있는 방대한 어휘량은 한어 어휘사 연구에 좋은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전의 음운학 관점에서의 연구가 아닌, 어휘의 연구에 집중함으로써 다양한 방면의 어휘를 고찰하여 중고시기 한어 연구에 토대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광운』은 한자가 단음절에서 다음절화되는 과도기에 속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방면에서의 어휘 연구는 한어 어휘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중국 중고시기 문화연구에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광운』에 “筇은 대나무 이름으로, 지팡이를 만들 수 있는데, 張鶱이 大宛에 가서 이것을 얻었다고 한다.(筇, 竹名, 可爲杖, 張鶱至大宛得之.)”고 하였는데, 장건은 漢代 사람으로 서역의 대하국으로 사신을 갔다가 흉노에 잡혀 십 여년을 구금되어 있었던 사람이다. 장건에 의해 서역의 물건 포도, 苜宿(삼엽초), 석류, 호두, 깨(胡麻) 등이 중원지역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하지만 筇이라는 대나무를 들여왔다고 하는 『광운』의 해석은 틀린 것이다. 장건이 大夏국에 있을 때 중국의 蜀지역에서 자생하는 筇竹을 우연히 보았고, 蜀에서 大夏에 이르는 서남 통로를 건설하게 된 고사를 말한 것이다. 『광운』의 어휘를 통해 당시 다양한 문화사에 대한 고찰이 가능하다.
    (2) 사회적 기여도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한자음과 뜻을 재정립함으로써 국어학 및 한문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楤’은 『대한한사전』에 ‘엄나무 송’이라고 하였는데, 네이버 한자사전에는 두릅나무 송/총으로 훈독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신화자전』에는 두 가지 뜻이 나오는데, sǒng은 관목으로 엄나무를 말하는 것이고 cōng은 땔감이나 잔가지 들을 담아서 싸매어 들고 오는 바구니를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두릅나무라면 가시가 많아서 바구니로 짤 수가 없다. 그리고 두릅과 엄나무는 엄연히 다른 나무이다. 따라서 이 글자에 대한 정확한 독음과 의미를 다시 재고해봐야 할 것이다. ‘㼻’ 역시 마찬가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항아리 장’으로 훈독되는데 『광운』에는 冬韻 從聲 藏宗切의 一等 평조 이므로 ‘zong’으로 발음된다. ‘장’은 『광운』에 ‘又音’으로 처리되어 있으므로, ‘종’의 발음이 첨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광운』연구는 한국에서 사용되는 한자의 음과 의미를 다시 재고찰하게 함으로써 국어학과 한문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광운』의 백과사전식으로 수록된 어휘 중에서 특히 물명(物名)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선진시기 및 漢代의 『이아』『설문해자』『방언』『석명』 등과 연계하여 중국 중고시기 문화와 사회제도 등을 재구하여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광운』을 대상으로 하며, 『광운』의 총 28,473자 중에서 물명(物名)을 나타내는 어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광운』에는 ‘물이름’, ‘땅이름’, ‘사람의 이름’, ‘성씨’, ‘새이름’, ‘곤충이름’, ‘짐승이름’, ‘포목의 이름’, ‘향리의 이름’, ‘공관의 이름’ 등 다양한 명칭이 나온다. 초보적 연구에 의하면 ‘某名’이라고 직접 서술하고 있는 것이 약 3000여 개이고, 직접 ‘모명’으로 서술하지 않고 “蔠, 蔠葵, 蘩露也.”이나 “㓽, 鍤屬”과 같은 형태로 명칭을 설명한 경우를 포함하면 대략 총 만여 개 가까이의 어휘를 고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운』의 명칭을 나타내는 어휘 일만여 글자에 대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주 텍스트로는 채몽기(蔡夢麒)가 교석하고 편집한 『廣韻校釋(上‧下)』(岳麓書社, 2007)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명을 32가지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광운』의 선별된 한자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풀이를 진행할 것이다.두번째, 공시적 비교연구가 필요하다.『광운』은 1008년에 편찬되었고, 『설문해자』는 100년, 『강희자전』은 1710년에 편찬되었다. 이러한 자서들간의 공시적 비교연구는 해당 한자의 의미와 음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연구방법이다. 셋째,통시적 비교연구가 진행될 것이다.『광운』과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大廣益會玉篇』(1013)이나 『太平廣記』(978) 등도 교차비교 연구가 가능한 참고자료이다. 넷째, 한국의 한자음과 의미에 대한 재고찰이 이루어질 것이다.다섯째,DataBase 구축에 의한 과학적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는 󰡔광운󰡕에 수록된 虫과 관련된 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虫에 대한 고대 중국인의 인지범주를 살펴보았다. 고대인들에게 虫는 작고 꿈틀거리며, 털이 있는 것과 날아다니는 것, 기어다니는 것, 껍질이 있는 것 등으로 인식되었으며, 여기에는 작은 포유류부터 양서류 파충류, 그리고 다양한 곤충류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매우 오래된 고전적이고 관습적인 인지범주로 현대 과학이 발달하기 전까지 이러한 관습적 범주화가 계속되었다.
    또 고립어인 한자가 다음절화되면서 합성어를 이루는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는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의미 A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자 A′가 합쳐져 A의 의미가 되는 경우, A와 B가 합쳐서 A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 A와 B가 합쳐서 B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 A와는 다른 B와 C를 합쳐 A를 설명하는 경우이다. 이렇게 합성어가 되었을 때 그 구성한자는 해당의미가 변화하거나 유실되고, 다른 의미를 포용하여 의미항이 늘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합성자를 이루는 의미를 모두 연결망을 이어보면 어떤 한자가 서로 이어져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어느 동물이 서로 친근한지를 알 수 있는데 이런 경로는 복합적인 표현의 의미에 포함되며, 표현들 사이의 의미차이를 설명해 줄 수도 있다. 우리는 스키마(schema)를 통해 이러한 복합적인 의미표현을 이해하고 인지하며 추상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자가 가지는 다의성, 동의자, 통가자 등의 이해를 도식화하여 이해하게 되면 한자를 이해하는데 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영문
  • We looked at the cognitive categories of ancient Chinese on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虫’ radical in "Gwangwoon". In ancient times, ‘虫’ was recognized as small, wriggling, furry, flying, crawling, and shelled, including small mammals, amphibian reptiles, and a variety of insects. This perception continued until modern science developed into a very old classical and conventional cognitive category.
    We also looked at the process of forming compound words as the characters became multi-syllables words. There are four types of compound words. If the Chinese character A' with similar meaning to A is combined to mean A, A and B are combined to mean A, A and B are combined to mean B, and B are combined to describe A, which is different from A. When it becomes such a compound word, its meaning changes or is lost, and its meaning term increases by embracing other meanings.
    Connecting all the meanings of these synthesizers can tell which Chinese charac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reate new meanings, and which animals are friendly to each other, and this path is included in the meaning of complex expressions and can explain the differences in meanings between expressions.
    We are able to understand, recognize, and abstract these complex semantic representations through schema. In addition, I think that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s by schematicizing the understanding of their polymorphisms, consents, and Tongajas will help them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more.
    The study is still rudimentary and will continue to explore cognitive linguistic perceptions through more names of things, and Chinese charact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광운』은 총 28,473자에 이르는 방대한 한자를 대상으로 음운을 나누어 분류하였고, ‘水名’ 308개, ‘地名’ 147개, ‘山名’ 89개, ‘縣名’ 156개, ‘草名’ 135개 등 방대한 양의 한자 어휘를 설명하고 있으며, 轞車, 靴靿, 蓊鬱, 籠𥵫 등의 이음절 단어, 방언과 의태어 의성어 등 다양한 어휘를 수록함으로써 중고시기 어휘 연구의 寶庫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宋은 漢과 천여 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있으므로, 漢代의 자서류와 비교연구를 한다면 한자어휘의 변천과 의미의 이동, 이를 통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본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광운』의 연구가 필요함을 인지하면서도 그 연구가 음운학적 관점에 편향되어 있으며, 어휘와 문화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아직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운』에 나타난 물명(物名)을 정리하고 DB화 하였으며, 그 중'충명'을 중심으로 단음절자에서 어휘가 이음절화 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하고 '충명'과 관련된 신화전설과 고대 중국인의 인식 등을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첫째, 한어 어휘사 연구에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광운』이 가지고 있는 방대한 어휘량은 한어 어휘사 연구에 좋은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전의 음운학 관점에서의 연구가 아닌, 어휘의 연구에 집중함으로써 다양한 방면의 어휘를 고찰하여 중고시기 한어 연구에 토대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광운』은 한자가 단음절에서 다음절화되는 과도기에 속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방면에서의 어휘 연구는 한어 어휘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중국 중고시기 문화연구에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광운』에 “筇은 대나무 이름으로, 지팡이를 만들 수 있는데, 張鶱이 大宛에 가서 이것을 얻었다고 한다.(筇, 竹名, 可爲杖, 張鶱至大宛得之.)”고 하였는데, 장건은 漢代 사람으로 서역의 대하국으로 사신을 갔다가 흉노에 잡혀 십 여년을 구금되어 있었던 사람이다. 장건에 의해 서역의 물건 포도, 苜宿(삼엽초), 석류, 호두, 깨(胡麻) 등이 중원지역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하지만 筇이라는 대나무를 들여왔다고 하는 『광운』의 해석은 틀린 것이다. 장건이 大夏국에 있을 때 중국의 蜀지역에서 자생하는 筇竹을 우연히 보았고, 蜀에서 大夏에 이르는 서남 통로를 건설하게 된 고사를 말한 것이다. 『광운』의 어휘를 통해 당시 다양한 문화사에 대한 고찰이 가능하다.
    (2) 사회적 기여도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한자음과 뜻을 재정립함으로써 국어학 및 한문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楤’은 『대한한사전』에 ‘엄나무 송’이라고 하였는데, 네이버 한자사전에는 두릅나무 송/총으로 훈독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신화자전』에는 두 가지 뜻이 나오는데, sǒng은 관목으로 엄나무를 말하는 것이고 cōng은 땔감이나 잔가지 들을 담아서 싸매어 들고 오는 바구니를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두릅나무라면 가시가 많아서 바구니로 짤 수가 없다. 그리고 두릅과 엄나무는 엄연히 다른 나무이다. 따라서 이 글자에 대한 정확한 독음과 의미를 다시 재고해봐야 할 것이다. ‘㼻’ 역시 마찬가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항아리 장’으로 훈독되는데 『광운』에는 冬韻 從聲 藏宗切의 一等 평조 이므로 ‘zong’으로 발음된다. ‘장’은 『광운』에 ‘又音’으로 처리되어 있으므로, ‘종’의 발음이 첨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광운』연구는 한국에서 사용되는 한자의 음과 의미를 다시 재고찰하게 함으로써 국어학과 한문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광운』,물명,어휘,한어,문화, 충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