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생략에 있어서 동일성 조건은 크게 통사적 동일성 조건(Ross, 1969; Chung et al., 1995, 2011; Merchant, 2008, 2013; Chung, 2013; Takita, 2014)과 의미적 동일성 조건(Romero, 1997; Merchant, 2001, 2005; Postdam, 2007; AnderBois, 2011b)그리고 혼합적( ...
지금까지 생략에 있어서 동일성 조건은 크게 통사적 동일성 조건(Ross, 1969; Chung et al., 1995, 2011; Merchant, 2008, 2013; Chung, 2013; Takita, 2014)과 의미적 동일성 조건(Romero, 1997; Merchant, 2001, 2005; Postdam, 2007; AnderBois, 2011b)그리고 혼합적(hybrid) 동일성 조건으로 나누어진다.
통사적 동일성 조건은 Ross(1969)의 삭제이론과 Chung et al.(1995)의 복사이론이 대표적이다. Ross의 삭제이론은 선행부의 시제구 TP와 생략부이 시제구 TP가 동일하면 생략이 일어나는 것으로 격표지, 수일치 등의 문법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통사적 동일성을 주장한다. Chung et al.(1995, 2011)은 수문문을 시제구 TP가 비어있는 CP로 분석하는 LF 복사이론을 제시한다. wh-구는 CP의 지정어 자리에서 기저생성되고 LF 층위에서 선행부와 동일한 시제구 TP가 후행절에 복사된다고 한다. 혼합형 동일성은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Chung, 2006, 2013; AnderBois, 2010, 2011)과 의미적 동일성을 혼합하여 생략을 설명한다. 그러나 혼합형 접근법의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은 수문문의 생략유형에만 국한된다는 점, 논항구조 조건과 격 조건의 두 가지 조건만으로 설명해야 하는 한계점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Barros(2014)는 분리형 동일성을 주장한다. 분리형 동일성은 잔여요소 조건에서 수문화 현상이 나타난 생략부와 선 행부의 통사적, 의미적 관점 모두를 극히 제한적으로 참고로 한다. 이 분리형 동일성은 동형수문과 유사수문문을 모두 잘 설 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문문의 생략유형에만 국한된다는 것이 역시 단점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Chomsky(2001)의 국면의 개념에 상응하는 명제적, 의미적 최소단위이자 Langacker(1974)와 Rudin(2017)의 사건 핵심단위인 vP를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지금까지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살펴본다. 통사적 동일성 조건으로 경동사구 vP를 통사적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시제구 TP 생략인 수문문을 통사적 동일성의 관점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수문문과 같은 TP 시제구 생략인 조각문의 경우도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으로 잘 설명할 수 있음을 알아보고, 이러한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이 지금까지 살펴본 의미적 동일성 조건, 혼합적 동일성 조건 그리고 분리적 동일성 조건보다 나은 분석임을 논의해 본다.
본 논문은 수문문의 의미복원과 인허에서 주로 다루는 동일성을 통사적 관점, 의미적 관점, 혼합적 관점에서 논의보고 통사적 동일성의 관점에서 병합유형, 흔적유형, 교체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생략의 인허를 위한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TP에서 명제단위이자 사건핵심단위인 경동사구 vP로 설정하여 기존의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보다 통합된 설명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생략의 대상인 생략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국면의 개념을 도입하여 생략영역을 국면 핵어의 보충어 영역이라고 제안하고 병합유형, 흔적유형, 조각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의 분리설정의 경험적 타당성과 최소주의에 부합하는 도출과정의 경제성을 주장한다.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을 분리 설정하여 모든 수문문의 유형을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할지라도 통사적인 관점에서 불일치가 나타나는 수문문의 문법성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은 수문문의 통사적 동일성 조건을 충족시키는 수문문의 하위부류에만 국한하여 논의하였기에 앞으로 수문문의 다른 하위부류에 대한 폭 넓은 연구도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