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영어 수문문의 통사적 동일성과 최소주의 국면
A Syntactic Identity of Sluicing in English and Phase-based Minimalis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89986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형진
연구수행기관 국립부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구조와 의미의 관계는 언어학의 중요한 핵심이다. 영어의 생략 현상에 관한 연구는 발음되지 않는 생략구조의 내부에 통사구조가 존재하는가 그리고 생략부와 선행부 사이에 동일성의 관계가 어떻게 작용하여 생략이 인허되 는가에 관하여 주로 이뤄져 왔다.
    시제구 TP 생략현상인 수문문(Sluicing)은 생략부에 통사구조가 존재하고 PF 에서 발음되지 않고 삭제되는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선행부에 비한정적 (indefinite) 요소가 존재할 때 이에 상응하는 연관어(correlate) wh-구만 외 현적으로 남고 나머지 시제구(tense phrase: TP)가 생략된다. 이 때 시제구 TP의 생략이 통사적 동일성이 충족되어 인허되는 것은 생략부 내부의 통사 적 구조가 존재함을 전제로 한다.
    삭제된 생략부의 생략의 인허는 선행부와 생략부 사이의 동일 성에 있다. 동일성에 관한 연구는 통사 중심의 연구(Sag, 1976; Williams, 1977; Fiengo and May, 1994; Hestvik, 1995), 의미 중심 의 연구(Dalrymple, Shieber and Pereira, 1991; Hardt, 1993, 1999), 통사적 요소와 화용적 요소가 혼합된 담화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통사적 관점에서 통사적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TP에서 최소 명제단위(propositional unit)이자 사 건 핵심단위(eventive core unit)인 경동사구 vP로 설정함을 제안 하고 엄격한 통사적 동일성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태의 불일치 나 논항구조 불일치가 나타난 수문문의 비적형 구조를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vP의 설정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생략부의 잔여요소에 상응하는 연관어가 선행부에 나타나지 않 는 흔적유형과 흔적유형의 전치사 좌초를 허용하지 않는 현상까 지 통사적 동일성 영역의 vP의 설정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밝힌 다. 더 나아가 수문문과 같은 유형의 시제구 TP 생략인 조각문 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 통사적 동일성 영역으로 vP의 설정의 이론적, 경험적 타당성을 주장한다. 그리고 생략과 국면 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논의하고 생략영역(ellipsis domain)을 국면 의 보충어 영역으로 설정하여 수문문은 국면의 핵어 C의 보충어 인 TP가 생략의 영역임을 제안한다. 수문문의 생략의 인허를 위 한 동일성 영역을 vP로 생략의 대상이 되는 생략영역을 시제구 TP로 구분을 지음으로써 기존의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 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지금까지 생략에 있어서 동일성 조건은 크게 통사적 동일성 조건(Ross, 1969; Chung et al., 1995, 2011; Merchant, 2008, 2013; Chung, 2013; Takita, 2014)과 의미적 동일성 조건(Romero, 1997; Merchant, 2001, 2005; Postdam, 2007; AnderBois, 2011b)그리고 혼합적(hybrid) 동일성 조건으로 나누어진다.
    통사적 동일성 조건은 Ross(1969)의 삭제이론과 Chung et al.(1995)의 복사이론이 대표적이다. Ross의 삭제이론은 선행부의 시제구 TP와 생략부이 시제구 TP가 동일하면 생략이 일어나는 것으로 격표지, 수일치 등의 문법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통사적 동일성을 주장한다. Chung et al.(1995, 2011)은 수문문을 시제구 TP가 비어있는 CP로 분석하는 LF 복사이론을 제시한다. wh-구는 CP의 지정어 자리에서 기저생성되고 LF 층위에서 선행부와 동일한 시제구 TP가 후행절에 복사된다고 한다. 혼합형 동일성은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Chung, 2006, 2013; AnderBois, 2010, 2011)과 의미적 동일성을 혼합하여 생략을 설명한다. 그러나 혼합형 접근법의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은 수문문의 생략유형에만 국한된다는 점, 논항구조 조건과 격 조건의 두 가지 조건만으로 설명해야 하는 한계점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Barros(2014)는 분리형 동일성을 주장한다. 분리형 동일성은 잔여요소 조건에서 수문화 현상이 나타난 생략부와 선 행부의 통사적, 의미적 관점 모두를 극히 제한적으로 참고로 한다. 이 분리형 동일성은 동형수문과 유사수문문을 모두 잘 설 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문문의 생략유형에만 국한된다는 것이 역시 단점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Chomsky(2001)의 국면의 개념에 상응하는 명제적, 의미적 최소단위이자 Langacker(1974)와 Rudin(2017)의 사건 핵심단위인 vP를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지금까지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살펴본다. 통사적 동일성 조건으로 경동사구 vP를 통사적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시제구 TP 생략인 수문문을 통사적 동일성의 관점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수문문과 같은 TP 시제구 생략인 조각문의 경우도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으로 잘 설명할 수 있음을 알아보고, 이러한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이 지금까지 살펴본 의미적 동일성 조건, 혼합적 동일성 조건 그리고 분리적 동일성 조건보다 나은 분석임을 논의해 본다.
    본 논문은 수문문의 의미복원과 인허에서 주로 다루는 동일성을 통사적 관점, 의미적 관점, 혼합적 관점에서 논의보고 통사적 동일성의 관점에서 병합유형, 흔적유형, 교체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생략의 인허를 위한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TP에서 명제단위이자 사건핵심단위인 경동사구 vP로 설정하여 기존의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보다 통합된 설명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생략의 대상인 생략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국면의 개념을 도입하여 생략영역을 국면 핵어의 보충어 영역이라고 제안하고 병합유형, 흔적유형, 조각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의 분리설정의 경험적 타당성과 최소주의에 부합하는 도출과정의 경제성을 주장한다.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을 분리 설정하여 모든 수문문의 유형을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할지라도 통사적인 관점에서 불일치가 나타나는 수문문의 문법성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은 수문문의 통사적 동일성 조건을 충족시키는 수문문의 하위부류에만 국한하여 논의하였기에 앞으로 수문문의 다른 하위부류에 대한 폭 넓은 연구도 필요하겠다.
  • 연구요약
  • 본 논문에서는 통사적 동일성 조건이 지금까지 논의된 의미적 동일성 조건, 혼합적 동일성 조건 그리고 분리적 동일성 조건보다 나은 분석임을 밝히고 통사적 동일성 조건으로 경동사구 vP를 통사적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생략의 대상인 생략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국면의 개념을 도입하여 생략영역을 국면 핵어의 보충어 영역이라고 제안하고 병합유형, 흔적유형, 조각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의 분리설정의 경험적 타당성과 최소주의에 부합하는 도출과정의 경제성을 주장한다.
    영어의 TP 생략 현상인 수문문의 개념과 분석 그리고 동일성 조건에 대해서 알아본다. 지금까지 생략에 있어서 동일성 조건은 크게 통사적 동일성 조건(Ross, 1969; Chung et al., 1995, 2011; Merchant, 2008, 2013; Chung, 2013; Takita, 2014)과 의미적 동일성 조건(Romero, 1997; Merchant, 2001, 2005; Postdam, 2007; AnderBois, 2011b)그리고 혼합적(hybrid) 동일성 조건으로 나누어진다. 통사적 동일성 조건은 Ross(1969)의 삭제이론과 Chung et al.(1995)의 복사이론이 대표적이다. Ross의 삭제이론은 선행부의 시제구 TP와 생략부의 시제구 TP가 동일하면 생략이 일어나는 것으로 격표지, 수일치 등의 문법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통사적 동일성을 주장한다. Chung et al.(1995, 2011)은 수문문을 시제구 TP가 비어있는 CP로 분석하는 LF 복사이론을 제시한다. wh-구는 CP의 지정어 자리에서 기저생성되고 LF 층위에서 선행부와 동일한 시제구 TP가 후행절에 복사된다고 한다. 혼합형 동일성은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Chung, 2006, 2013; AnderBois, 2010, 2011)과 의미적 동일성을 혼합하여 생략을 설명한다. 그러나 혼합형 접근법의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은 수문문의 생략유형에만 국한된다는 점, 논항구조 조건과 격 조건의 두 가지 조건만으로 설명해야 하는 한계점 등의 단점이 있다.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이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의미적 동일성 조건, 혼합적 동일성 조건 그리고 분리적 동일성 조건보다 나은 분석임을 논의한다. 수문문과 같은 TP 시제구 생략인 조각문의 경우도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으로 잘 설명할 수 있음을 알아본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Chomsky(2001)의 국면의 개념에 상응하는 명제적, 의미적 최소단위이자 Langacker(1974)와 Rudin(2017)의 사건 핵심단위인 vP를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지금까지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살펴본다. Chomsky(2001, 2004, 2008)는 국면단위로 접합면으로의 주기적인 이송이 잘 고안된 언어체계의 특성이라고 주장하였다. Holmberg(2001)는 생략은 PF에서 영으로 문자화 되는 국면이라고 주장하며 생략과 국면을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국면의 단위로 주기적 이송과정이 일어나고 수문문의 경우 선행부의 동일성 영역인 vP와 생략부의 동일성 영역인 vP가통사구조적으로 동일하면 통사적 동일성 조건을 충족하므로 국면의 보충어 영역인 시제구 TP의 생략이 인허된다. 그 밖에 수문문의 섬 효과와 국면, 전치사 좌초현상과 국면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수문문의 생략의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시제구 TP에서 명제단위이자 사건 핵심단위인 국면의 영역인 경동사구 vP로의 재설정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에서는 통사적 동일성 조건이 지금까지 논의된 의미적 동일성 조건, 혼합적 동일성 조건 그리고 분리적 동일성 조건보다 나은 분석임을 밝히고 통사적 동일성 조건으로 경동사구 vP를 통사적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생략의 대상인 생략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국면의 개념을 도입하여 생략영역을 국면 핵어의 보충어 영역이라고 제안하고 병합유형, 흔적유형, 조각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의 분리설정의 경험적 타당성과 최소주의에 부합하는 도출과정의 경제성을 주장한다.
    영어의 TP 생략 현상인 수문문의 개념과 분석 그리고 동일성 조건에 대해서 알아본다. 지금까지 생략에 있어서 동일성 조건은 크게 통사적 동일성 조건(Ross, 1969; Chung et al., 1995, 2011; Merchant, 2008, 2013; Chung, 2013; Takita, 2014)과 의미적 동일성 조건(Romero, 1997; Merchant, 2001, 2005; Postdam, 2007; AnderBois, 2011b)그리고 혼합적(hybrid) 동일성 조건으로 나누어진다. 통사적 동일성 조건은 Ross(1969)의 삭제이론과 Chung et al.(1995)의 복사이론이 대표적이다. Ross의 삭제이론은 선행부의 시제구 TP와 생략부의 시제구 TP가 동일하면 생략이 일어나는 것으로 격표지, 수일치 등의 문법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통사적 동일성을 주장한다. Chung et al.(1995, 2011)은 수문문을 시제구 TP가 비어있는 CP로 분석하는 LF 복사이론을 제시한다. wh-구는 CP의 지정어 자리에서 기저생성되고 LF 층위에서 선행부와 동일한 시제구 TP가 후행절에 복사된다고 한다. 혼합형 동일성은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Chung, 2006, 2013; AnderBois, 2010, 2011)과 의미적 동일성을 혼합하여 생략을 설명한다. 그러나 혼합형 접근법의 제한적 통사적 동일성은 수문문의 생략유형에만 국한된다는 점, 논항구조 조건과 격 조건의 두 가지 조건만으로 설명해야 하는 한계점 등의 단점이 있다.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이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의미적 동일성 조건, 혼합적 동일성 조건 그리고 분리적 동일성 조건보다 나은 분석임을 논의한다. 수문문과 같은 TP 시제구 생략인 조각문의 경우도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경동사구 vP의 설정으로 잘 설명할 수 있음을 알아본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Chomsky(2001)의 국면의 개념에 상응하는 명제적, 의미적 최소단위이자 Langacker(1974)와 Rudin(2017)의 사건 핵심단위인 vP를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지금까지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살펴본다. Chomsky(2001, 2004, 2008)는 국면단위로 접합면으로의 주기적인 이송이 잘 고안된 언어체계의 특성이라고 주장하였다. Holmberg(2001)는 생략은 PF에서 영으로 문자화 되는 국면이라고 주장하며 생략과 국면을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국면의 단위로 주기적 이송과정이 일어나고 수문문의 경우 선행부의 동일성 영역인 vP와 생략부의 동일성 영역인 vP가통사구조적으로 동일하면 통사적 동일성 조건을 충족하므로 국면의 보충어 영역인 시제구 TP의 생략이 인허된다. 그 밖에 수문문의 섬 효과와 국면, 전치사 좌초현상과 국면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수문문의 생략의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시제구 TP에서 명제단위이자 사건 핵심단위인 국면의 영역인 경동사구 vP로의 재설정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ut forward a uniform account of various instances of TP elliptical constructions in English. The main focus of my analysis will be the sluicing phenomenon, which is form of wh-stranding ellipsis(Ross, 1969; Chung et al. 1995; Merchant, 2001). The ability to make the inference that the wh element should be interpreted as scoping over that material i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f a suitable antecedent clause.
    There are restrictions that are operative in ellipsis. The main conditions that have to be fulfilled in an elliptical sentences are recoverability and licensing. One way of implementing this recoverability condition is with the notion of e-GIVENESS used in Merchant(2001). He captures the requirement in the Focus condition on ellipsis. This recoverability relation between the ellipsis site and the antecedent thus is a semantic identity condition. It has been proposed, however, that the ellipsis site and the antecedent have to be syntactically identical as well. Merchant(2001:17) calls the 'structural isomorphism condition on ellipsis'. There has been some debate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and the ellipsis and on whether ellipsis requires strict syntactic identity or not. However,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structural isomorphism and exploit the syntactic identity condition to license the ellipsis phenomena especially in sluicing.
    The identity domain, vP, contains all the key ingredients that make up a clause's core argument structure and it is the constituent inside of which the 'objective content' of a sentence enters the derivation. Rudin(2016) proposed that the domain of ellipsis identity is the 'eventive core', or 'vP phase' in order for sluicing to be grammatical, deleted heads originating within the vP phase must be antecedented by structure-matching correlates- identity is enforced only over a proper subpart of the deleted constituent. Such a restriction makes good on early attempts to explain within syntactic theory the previleged status of certain elements of the clause(Langacker, 1974). Chomsky(2001) claims that vP phase corresponds to a semantically meaningful subclausal unit that could be thought of as somehow propositional.
    It is possible to explain various instances of the merger type, the sprouting type with a preposition stranding, voice mismatches in sluicing and the fragment by assuming the identity domain, vP. Once vP between the antecedent and the ellipsis site is identical syntactically and it meets the syntactic identity condition, it will undergo the ellipsis at PF. In case of VPE and sluicing, it elides the VP and the TP, exactly because these constituents are the complement to phase heads v and C, respectively(see Gengel, 2007; Gallego, 2009, 2010). Several authors have been tempted to tie ellipsis to Phase Theory, as ellipsis would be non-pronunciation at PF instead of pronunciation. Chomsky(2000, 2001, 2005) proposes to capture the intuition with the notion of phases: a clause consists of several derivational domains, headed by certain heads, which are called phase heads. After a phase head is merged, it sends its complement- the phasal domian-off to PF, for spell-out.
    One of the aims of this thesis is to show that, once the PF-deletion approach is adopted, the syntactic/derivational constraints involved in the definition of the ellipsis domain 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licensor can elegantly be stated in phasal terms. That is, the domain of ellipsis coincides with the complement of a phase head that is deleted at PF and only phase heads can license the PF-deletion of their complement. In sluicing, it is available in a given structure ,if and only if, C's uninterpretable [wh, Q] feature is valued at the C-level(Rouveret, 2012).
    Thus, an approach to ellipsis which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hase and the deletion could account for sluicing and fragment answers which target TP ellipsis, the complement of the phase head 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구조와 의미의 관계는 언어학의 중요한 핵심이다. 영어의 생략 현상에 관한 연구는 발음되지 않는 생략구조의 내부에 통사구조가 존재하는가 그리고 생략부와 선행부 사이에 동일성의 관계가 어떻게 작용하여 생략이 인허되는가에 관하여 주로 이뤄져 왔다.
    시제구 TP 생략현상인 수문문(Sluicing)은 생략부에 통사구조가 존재하고 PF 에서 발음되지 않고 삭제되는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선행부에 비한정적 (indefinite) 요소가 존재할 때 이에 상응하는 연관어(correlate) wh-구만 외 현적으로 남고 나머지 시제구(tense phrase: TP)가 생략된다. 이 때 시제구 TP의 생략이 통사적 동일성이 충족되어 인허되는 것은 생략부 내부의 통사 적 구조가 존재함을 전제로 한다.
    삭제된 생략부의 생략의 인허는 선행부와 생략부 사이의 동일 성에 있다. 동일성에 관한 연구는 통사 중심의 연구(Sag, 1976; Williams, 1977; Fiengo and May, 1994; Hestvik, 1995), 의미 중심 의 연구(Dalrymple, Shieber and Pereira, 1991; Hardt, 1993, 1999), 통사적 요소와 화용적 요소가 혼합된 담화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통사적 관점에서 통사적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TP에서 최소 명제단위(propositional unit)이자 사 건 핵심단위(eventive core unit)인 경동사구 vP로 설정함을 제안 하고 엄격한 통사적 동일성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태의 불일치 나 논항구조 불일치가 나타난 수문문의 비적형 구조를 통사적 동일성 영역인 vP의 설정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생략부의 잔여요소에 상응하는 연관어가 선행부에 나타나지 않 는 흔적유형과 흔적유형의 전치사 좌초를 허용하지 않는 현상까 지 통사적 동일성 영역의 vP의 설정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밝힌 다. 더 나아가 수문문과 같은 유형의 시제구 TP 생략인 조각문 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 통사적 동일성 영역으로 vP의 설정의 이론적, 경험적 타당성을 주장한다. 그리고 생략과 국면 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논의하고 생략영역(ellipsis domain)을 국면 의 보충어 영역으로 설정하여 수문문은 국면의 핵어 C의 보충어 인 TP가 생략의 영역임을 제안한다. 수문문의 생략의 인허를 위 한 동일성 영역을 vP로 생략의 대상이 되는 생략영역을 시제구 TP로 구분을 지음으로써 기존의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 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논문은 수문문의 의미복원과 인허에서 주로 다루는 동일성을 통사적 관점, 의미적 관점, 혼합적 관점에서 논의보고 통사적 동일성의 관점에서 병합유형, 흔적유형, 교체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통사적 동일성의 관점에서 수문문의 동일성 조건을 적용하는 동일성 영역과 생략의 대상인 생략영역의 분리설정을 제안할 것이다. 즉 생략의 인허를 위한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TP에서 명제단위이자 사건핵심단위인 경동사구 vP로 설정하여 기존의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보다 통합된 설명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생략의 대상인 생략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국면의 개념을 도입하여 생략영역을 국면 핵어의 보충어 영역이라고 제안하고 병합유형, 흔적유형, 조각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의 분리설정의 경험적 타당성과 최소주의에 부합하는 도출과정의 경제성을 주장한다. 동일성 영역과 생략영역을 분리 설정하여 모든 수문문의 하위부류들을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할지라도 통사적인 관점에서 불일치가 나타나는 수문문의 문법성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본 논문에서는 통사적 동일성 조건이 지금까지 논의된 의미적 동일성 조건, 혼합적 동일성 조건 그리고 분리적 동일성 조건보다 나은 분석임을 밝히고 통사적 동일성 조건으로 경동사구 vP를 통사적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Chomsk(2001)의 국면의 개념에 상응하는 명제적, 의미적 최소단위이자 Langacker(1974) Rudin(2017)의 사건 핵심단위인 vP를 동일성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지금까지 통사적 동일성 조건의 엄격성으로 인한 과소생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살펴본다. Chomsky(2001, 2004, 2008)는 국면단위로 접합면으로의 주기적인 이송이 잘 고안된 언어체계의 특성이라고 주장하였다. 국면의 단위로 주기적 이송과정이 일어나고 수문문의 경우 선행부의 동일성 영역인 vP와 생략부의 동일성 영역인 vP가통사구조적으로 동일하면 통사적 동일성 조건을 충족하므로 국면의 보충어 영역인 시제구 TP의 생략이 인허된다. 그리고 수문문의 생략의 동일성 영역을 기존의 시제구 TP에서 명제단위이자 사건 핵심단위인 국면의 영역인 경동사구 vP로의 재설정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