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비트코인 투자 의사결정 유형 연구: 퍼지셋 관점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a decision-making patterns for Bitcoin investment from a fuzzy-set approac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연구과제번호 2021S1A5A8064301
선정년도 2021 년
연구기간 2 년 (2021년 05월 01일 ~ 202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유현선
연구수행기관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비트코인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도가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실물화폐 기반 전자결제 시스템과 달리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 기관 등 제 3의 공인기관의 개입 없이 전 세계 누구와도 간편하게 거래가 가능하고 전문적인 거래소 등을 통해 실물화폐와 환전이 가능한 탈중앙화(decentralized)된 혁신적인 전자결제 시스템이다.
    혁신적 금융결제 서비스로 등장한 비트코인은 현존하는 기술 서비스들(예, 기업 정보시스템. 모발 서비스, SNS서비스 등)과는 매우 다른 특징들이 관찰된다. 이는 현실 세계에서 사용자들이 비트코인을 전자결제 서비스 또는 전자결제의 통화(currency) 수단으로 사용하기 보다 주로 금융 자산(asset)으로 구매 또는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서 금융 자산으로써 비트코인은 그 실체가 불문명할 뿐 아니라, 금융 자산으로의 구매 결정이 실물을 기반으로 하기 보다는 오로지 미래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positive expectation)에 의존하므로 가격 급등과 가격급락의 이유가 대부분 불명확한 경향을 보여 사용자들의 비트코인의 구매는 투자보다는 투기에 가깝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이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무분별한 비트코인 투자를 완화하고 향후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건강한 비트코인 투자의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의 제시가 요구된다.
    비트코인을 금융 자산으로 인식하는 현상은 비트코인을 대중적으로 크게 유명하게 만들었으나, 그 유명세에 비해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초기 개발자들이 꿈꾸었던 미래의 혁신적인 결제 수단으로써 비트코인은 현실적으로 관찰이 어렵고, 비트코인 자체가 이론 세계(혁신적 전자결제 서비스 및 그의 수단)와 현실 세계(금융 자산) 상에 괴리가 크게 작용하는 관계로 IS 연구자가 비트코인 연구의 논점을 포착하고 연구를 수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금융 자본으로써 비트코인을 투자(사용)하는 행위는 다른 IT기술 서비스의 사용과는 달리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과 파급력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 부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나 금융자산으로 비트코인의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금융 자본적인 비트코인의 특별한 특성으로 기존 IS 문헌에서 사용자의 기술채택 및 사용행위에 주로 적용되었던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합리적 행위 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등의 전통 IS 채택 이론을 통해 비트코인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도 비트코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금융 자본적 특징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는 혁신적 금융기술 서비스인 비트코인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투기적 자본이 아닌 금융 결제 수단으로써 비트코인이 현 사회의 선순환적 영향력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론 및 관점, 그리고 연구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트코인의 초기 연구(initial study)로써 비트코인의 금융 자본 특성에 초점을 두고 전체론적인 접근방법 (holistic approach)을 채택하여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의사결정에 연관된 속성들의 특별한 유형(또는 집합)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구성이론(configuration theory)과 균형적인 관점(balanced view)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금융 자산으로 비트코인 투자 행위는 사용자의 인지적 의사결정과 연관된 속성들(예. 인지적 행위 통제 요인, 인지적 감정적 몰입 요인, 그리고 환경적 요인)의 특별한 패턴에 의존하고 있다고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제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주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비트코인 투자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속성들의 특정한 패턴(configurations)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2) 높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특정한 속성들의 패턴과 낮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특정한 속성들의 패턴들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구성이론과 균형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금융 자본인 비트코인의 투자 행위는 다양한 의사결정 속성들을 가진 집합의 결합체로 인식하고, 어떠한 유형(패턴)을 가졌을 때 비트코인 투자 행위에 유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높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유형과 낮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유형을 규명하고 이 유형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함을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이고 실용적인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① 학문적 기여
    첫째, 본 연구는 전체론적인 구성이론 관점에서 사용자가 금융자본으로써 비트코인을 투자하는 현상을 분석하고, 현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비트코인 투자 행위의 복잡성을 규명함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둘째, 비트코인 투자 행위 결정에 연관된 의사결정 속성들의 상호의존성을 이해하고, 어떻게 의사결정에 연관된 속성들을 결합하였을 때 비트코인 투자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비트코인 투자 현상을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인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전체론적 구성이론 관점과 균형적인 관점을 결합하여 연구모델을 수립하고 비트코인 투자 행위 의사결정 유형들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넷째, 비트코인 투자 행위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인 fsQCA을 처음으로 도입하고 적용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트코인 연구 분야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② 실용적 기여
    첫째, 비트코인 투자 의사결정 현상을 현실의 복잡성과 금융 자본으로 비트코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해를 높임으로써 차후 발생할 수 있는 무분별한 비트코인 투자를 완화하고 향후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건강한 비트코인 투자의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의의가 있다.
    둘째, 비트코인 투자 현상을 fsQCA 방법론을 채택하여 의사결정에 연관되어 있는 속성들의 다양한 패턴들을 규명함으로써 건강한 비트코인의 투자 행위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해보고 긍정적인 측면에서 비트코인 투자를 독려하고 싶은 정부기관 및 관련기관들에게 실용적인 전략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적합한 암호화폐 규제를 고민하고 있는 정부 관계자와 암호화폐 관련 비즈니스를 고려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암호화폐 투자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를 디자인하고 수행할 수 있는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비트코인 투자 행위 분석을 통해 현재 다양하게 존재하는 암호화폐들의 투자를 바라보는 새롭고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fsQCA 방법론을 통해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의사결정 요인들의 특별한 패턴들을 규명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비트코인 외에 다양한 암호 화폐들의 투자결정에 있어 유의해야 할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투자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구성이론과 균형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비트코인 투자 행위는 다양한 의사결정의 속성들을 가진 집합의 결합체로 인식하고, 어떠한 유형(패턴)으로 구성되었을 때 비트코인 투자 행위에 유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높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유형과 낮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유형들을 규명하고 이 유형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균형적 관점과 기반으로 비트코인 투자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요인들을 2가지의 차원으로 정의하였으며, 여기에 환경적 요인을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차원들로 정의한다:
    1) 인지적 행위 통제 요인(cognitive-behavior control factor),
    2) 인지적 감정 몰입 요인(cognitive-emotional preoccupation factor),
    3) 환경적 요인(environ -mental factor).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행위 통제 요인 차원으로 3가지의 핵심 속성들을 –사전계획성(premeditation), 신중함 (deliberation), 제한(restrict)- 선정 하였다. 사전계획성이란 어떠한 행위를 하기 전에 추후 발생할 결과를 고려하여 행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향을 말한다. 신중함은 어떠한 행위를 하기 전 여러 측면들을 고려하여 행동하고자 하는 경향이다. 제한은 본인의 행동에 문제가 있다고 여겨졌을 때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고자 하는 이성적이고 의식적인 개인의 행동 경향으로 정의한다.
    인지적 감정 몰입 요인차원은 감각 추구(sensation seeking), 과도한 기대(excessive expectation), 통제 부족(lack of govern) 의3가지 의사결정 속성들을 포함한다. 감각 추구는 흥미와 모험을 추구하는 사용자의 행동 경향으로 정의한다. 과도한 기대는 비트코인 투자과정과 결과에 대한 왜곡된 긍정적 기대이다. 통제 부족은 본인의 과잉된 감정과 행동을 제한 또는 통제하지 못하는 개인의 행동 경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복합적으로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분석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비트코인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차원으로 환경적 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적 요인의 핵심 속성으로 외부적 환경 요인(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속성과 내부적 환경요인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 속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과 비트코인에 대한 지식(Bitcoin knowledge)을 선정하였다.
    비트코인에 대한 지식은 “비트코인에 대한 사용자들의 지식수준”으로 정의한다. 비트코인에 대한 기술, 애플리케이션, 시장관련 등의 객관적 지식은 이성적인 행위 통제 요인들을 증가시켜 투자 행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주관적인 비트코인에 관한 지식은 투자 행위에 대한 감정적 몰입 요인들을 증가시켜 투자 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비트코인에 대한 지식(knowledge) 정도는 비트코인 투자 행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규범을 “개인의 준거집단에 의하여 투자행동에 대해 정당성이 부여된 정도”라고 정의한다. 비트코인은 페이스북 (facebook)이나 트위터 (twitter) 등의 기술 서비스의 사용과는 달리 주관적 규범에 따라 사용(투자)증가에 따른 사회적 파급력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주관적 규범이 비트코인 투자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기술 서비스와 비교하여 보다 유의미할 것으로 분석되어 환경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는 의사결정에 연관된 주요한 3개의 차원들의 핵심 속성들이 어떻게 결합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제안한다. 또한, 높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보이는 속성들의 패턴은 낮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보이는 속성들의 패턴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체론적 관점의 비트코인 투자 의사결정 연구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exploration study)로 연구가설 대신 연구명제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연구명제는 다음과 같다.

    Proposition1: 비트코인 투자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속성들로 결합된 특정한 패턴(configurations)들이 존재한다.
    Proposition2: 높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특정한 속성들의 패턴들과 낮은 비트코인 투자 행위를 가져오는 특정한 속성들의 패턴들 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가 세상에 등장한 이후 암호화폐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해왔다. 하지만, 무부문별한 암호화폐투자 등의 암호화폐 문제적 투자행위와 그로 인한 부작용이 널리 퍼져있지만, 암호화폐의 문제적 투자의 개념과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이중 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문제적 비트코인 투자행위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트코인 투자결정 매카니즘에 대한 선행 연구를 보다 심화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개인의 문제적 비트코인 투자행위를 가져오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트코인 투자경험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들로부터 413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PLS(Partial Least Squares)을 사용하였다.
  • 영문
  • Since the advent of cryptocurrency, represented by Bitcoin, the cryptocurrency market has grown significantly around the world. However, although problematic cryptocurrency investment behavior such as sectorless cryptocurrency investment and its adverse effects are widespread, little is known about the concept and causes of problematic cryptocurrency invest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phenomenon of problematic Bitcoin investment behavior based on dual system theory. This study aims to deepe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Bitcoin investment decisions, and more specifically,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individuals' problematic Bitcoin investment behavior. For this purpose, 413 data were collected from investors with experience in Bitcoin investment, and Partial Least Squares (PLS)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가 세상에 등장한 이후 암호화폐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해왔다. 하지만, 무부문별한 암호화폐투자 등의 암호화폐 문제적 투자행위와 그로 인한 부작용이 널리 퍼져있지만, 암호화폐의 문제적 투자의 개념과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이중 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문제적 비트코인 투자행위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트코인 투자결정 매카니즘에 대한 선행 연구를 보다 심화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개인의 문제적 비트코인 투자행위를 가져오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트코인 투자경험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들로부터 413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PLS(Partial Least Squares)을 사용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는 해외 학술지에 게재할 것을 목표로 개발 및 수행되었으며, 새로운 산업 및 신기술 관련 분야의 SCI급 저널 국제학술지인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에 투고할 예정이다.
  • 색인어
  • 비트코인, 문제적 투자행위, 원인요인, 결과요인, 이중 시스템 이론, 비트코인 투자자 유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