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가치의 기원과 생성 및 창발의 과정을 보여주는 니체(F. W. Nietzsche)의 계보학과 듀이(J. Dewey)의 발생론적 접근 방법을 기술함으로써 드러나는 두 사상가의 철학적 탐구방법의 교차점과 함께, 이 방법들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니체 ...
1)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가치의 기원과 생성 및 창발의 과정을 보여주는 니체(F. W. Nietzsche)의 계보학과 듀이(J. Dewey)의 발생론적 접근 방법을 기술함으로써 드러나는 두 사상가의 철학적 탐구방법의 교차점과 함께, 이 방법들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니체의 도덕적 자연주의’와 ‘듀이의 자연주의 도덕’이 ‘자연주의’(naturalism)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 해석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설명 원리로서의 계보학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니체의 철학적 방법론과 도덕의 자연화 및 도덕 가치의 발생사를 기술한다. 이어 발생론적 방법으로 도덕이 인간의 역사성ㆍ인식의 역사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인간이 공유하는 자연적 조건과 도덕의 자연적 유용성을 주제로 하는 듀이의 실용주의 윤리관을 서술한다.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의 공통분모는 네 가지다. 첫째 그들에게 인간은 가치를 매기는 동물이며, 둘째 가치는 실재를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삶 혹은 경험의 도구다. 셋째는 구체적 상황과 맥락 속에서 도덕적 의미가 발생하며, 넷째는 그들이 탈맥락적 가치론을 주장한 전통적인 절대주의나 합리주의와 허무주의나 경험주의 윤리학 및 오늘날 포스트모던의 해체적 도덕관을 지양한 자연주의 철학자라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자연주의적 사유가 필연적으로 환원주의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이런 우려와 달리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은 근래 카로와 맥아더(M. de Caro and D. Macarthur)가 구분한 개방적 자연주의와 가족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환원주의의 개방적 자연주의의 중요한 함축은 우리의 모든 삶과 경험을 자연ㆍ생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해하며, 삶의 배후에서 작용하는 어떤 초월적 실재나 선험적으로 주어진 원인적 힘을 거부한다는 점이다.
2) 연구의 필요성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니체와 듀이의 사상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자연주의 윤리관이 도덕적 절대주의와 포스트모던적 윤리관을 지양한 하나의 대안적 윤리 모델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힌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절대주의 도덕은 인식과 실천, 이성과 삶을 분리하는 이분법에 근거하여 가치 그 자체를 순수한 고찰 대상으로 삼는다. 이 같은 전통 윤리관은 인간의 삶과 가치의 연관성을 무시하고 가치를 어떤 실체나 관념을 가리키는 도구로 간주한다. 반면, 절대주의 윤리학에 대한 그릇된 가정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윤리학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치뿐만 아니라 세계와 자아까지 우연적인 산물로 간주함으로써 가치에 관한 무제약적인 우연성 논제로 나아가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체적 윤리관은 허무주의적 상대주의라는 우려를 불러온다.
기대효과
1)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는 네 가지로 예상된다. 첫째, 본 연구는 니체와 듀이의 윤리관을 자연주의로 해석하여 현대적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각자의 방식으로 새로운 윤리적 해명의 결과를 내놓은 니체와 듀이는 공통적으로 삶과 경험을 중심 ...
1)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는 네 가지로 예상된다. 첫째, 본 연구는 니체와 듀이의 윤리관을 자연주의로 해석하여 현대적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각자의 방식으로 새로운 윤리적 해명의 결과를 내놓은 니체와 듀이는 공통적으로 삶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도덕철학의 새로운 방향성과 가능성 및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그들은 각자의 철학적 화법으로 형이상학적 도덕의 이해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비판하고 새로운 윤리학의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니체와 듀이는 가치, 존재, 인식, 인지를 분석하여 이것들이 인간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해명한다. 둘째, 이 연구는 오늘날 도덕담론에 자연주의 모델을 제안할 것이다. 니체와 듀이의 윤리적 담론의 공통분모를 확인하는 것은 서양철학의 여러 주제들을 전체적으로 조망하여 통시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들어난 초자연ㆍ초월ㆍ선험ㆍ허무ㆍ정서적 도덕 등을 지양한 자연주의 윤리는 마음과 삶의 구조에 대해 과거와 전혀 다른 차원의 도덕철학적 관점을 제공한다. 셋째, 본 연구는 오늘날 다원화된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필요하고 유용한 렌즈를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도출되는 자연주의 윤리는 가치에 관한 절대주의나 포스트모던적 윤리관을 지양한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명의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인들 간의 윤리적 대립과 갈등의 원인이 이론들에서 비롯된 문제라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각자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폭을 넓혀줄 것이다. 넷째, 이 연구는 도덕철학적 탐구에 학제적이며 횡단적 모델의 한 사례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 학제적 탐구는 학문을 넘어 여러 영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도덕철학에서 학자들 간의 횡단적 논의는 일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 국외의 연구자들은 철학에 관한 학제적 탐구의 결과물들을 속속 내놓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체와 듀이의 윤리관에 대한 연구결과는 도덕철학의 횡단적 탐구의 촉진제가 될 것이다.
2) 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의 사회적 기여도는 두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로 인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 우리의 문제는 도덕교육의 부재라기보다 도덕이론의 풍요 속에서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함의된 지점에 이르지 못하는 데 있다. 이 상황에서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상황과 맥락 속에서 생활하는 실제 우리의 삶에 활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사실과 가치, 절대주의와 상대주의로 양분된 윤리학적 담론의 장에 하나의 대안적 사유 모델로 작동할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에서 탐구한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은 이성보다 몸을, 그리고 과거보다 현재와 미래의 삶과 문화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 연구의 성과는 다문화사회의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인간중심의 도덕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인간의 가치의 기원과 생성 및 창발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현재와 미래의 구성원들에게 유용한 도덕교육과 가치들을 재성찰하는 도덕철학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자연주의 윤리는 나와 타인의 삶의 유사성과 차이를 성찰하도록 유도하여 차별과 배제 및 혐오의 생활방식에서 벗어나게 할 것이다.
연구요약
1)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이 전통적 윤리학과 포스트모던적 윤리학을 지양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같은 해석의 작업은 플라톤이 소피스트와 프로타고라스에 의해 주장된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 ...
1)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이 전통적 윤리학과 포스트모던적 윤리학을 지양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같은 해석의 작업은 플라톤이 소피스트와 프로타고라스에 의해 주장된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래 오늘날까지 끈질기게 이어져 온‘객관주의’(objectivism)와 ‘상대주의’(relativism) 간의 철학적 논의의 대립을 지양한 새로운 철학과 윤리학의 방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함께 본 연구는 다음의 목차로 진행될 것이다.
1. 서론 2. 니체의 계보학과 도덕적 자연주의 3. 듀이의 발생론적 접근 방법과 자연주의 도덕 4. 도덕적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윤리를 넘어서 5. 결론
본 연구의 구체적인 논의는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니체가 계보학적 방법으로 서양의 도덕철학을 비판한 후 제안한 비도덕주의의 모습을 한 ‘도덕적 자연주의’라는 새로운 도덕이론을 기술한다. 3절에서는 듀이가 발생론적 방법으로 선을 선험적 선천 규범과 동일시하는 합리주의와 선을 개인적 선호와 동일시하는 경험주의 윤리학이 도덕행위자를 위한 적절한 지침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비판하고 제시한 ‘자연주의 도덕’을 서술한다. 4절에서는 ‘자연주의’로 이행한 니체와 듀이의 윤리학이 전통적인 도덕과 오늘날 포스트모던적 윤리를 지양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니체와 듀이가 절대나 본질 및 객관적 가치를 모두 거부하면서도 상대주의 철학자로 전락하지 않는 것은 상대적 변이를 제약하는 근거로서 삶과 경험의 자연적 조건에 관한 해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2) 연구방법 방법론의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니체와 듀이의 윤리학과 철학에 관한 연구결과들의 비판적 탐색을 통해 그들의 윤리관을 자연주의로 해석한다.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진 자연주의에 관한 연구의 성과들은 니체와 듀이의 가족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되며, 특히 본 연구는 우수한 선행 연구 자료들을 기반으로 니체와 듀이의 탐구방법론과 윤리관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한 그들의 자연주의 윤리학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현재성을 재확인할 것이다. 문헌 연구의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니체와 듀이 전집과 그들의 도덕철학과 관련된 국내외의 저역서와 2차 문헌 및 논문들을 탐구하고 분석하여 자연주의와 윤리학의 관련성과 그 가능성을 도출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도덕적 자연주의’를 주창한 니체와 ‘자연주의 윤리학’을 제시한 듀이의 담론을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이 ‘자연주의 윤리관’을 역설했다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먼저, 니체의 도덕 탐구 수단인 계보학적 방법과 풍습의 윤리를 기술한다. 이어, 듀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도덕적 자연주의’를 주창한 니체와 ‘자연주의 윤리학’을 제시한 듀이의 담론을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이 ‘자연주의 윤리관’을 역설했다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먼저, 니체의 도덕 탐구 수단인 계보학적 방법과 풍습의 윤리를 기술한다. 이어, 듀이의 윤리학 연구 도구인 발생론적 방법과 습관의 도덕을 상술한다. 니체와 듀이의 윤리를 재구성하여 그들의 공통점을 탐색하는 이유는 그들의 자연주의 도덕담론의 현재성과 대안적 중요성 때문이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oint that Nietzsche and Dewey emphasized ‘naturalistic ethics’ by reconstructing Nietzsche’s ‘moral naturalism’ and Dewey’s ‘naturalistic ethics’. First describes Nietzsche’s method of moral inquiry, ...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oint that Nietzsche and Dewey emphasized ‘naturalistic ethics’ by reconstructing Nietzsche’s ‘moral naturalism’ and Dewey’s ‘naturalistic ethics’. First describes Nietzsche’s method of moral inquiry, the genealogical method, and the ethics of customs. Second explains Dewey’s tool of ethical research, the genetic method and morality of habits. The reason for reconstructing the ethics of Nietzsche and Dewey to explore their commonalities is the presentness and alternative importance of their naturalistic moral discourse.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도덕적 자연주의’를 주창한 니체와 ‘자연주의 윤리학’을 제시한 듀이의 담론을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이 ‘자연주의 윤리관’을 역설했다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먼저, 니체의 도덕 탐구 수단인 계보학적 방법과 풍습의 윤리를 기술한다. 이어, 듀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도덕적 자연주의’를 주창한 니체와 ‘자연주의 윤리학’을 제시한 듀이의 담론을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이 ‘자연주의 윤리관’을 역설했다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먼저, 니체의 도덕 탐구 수단인 계보학적 방법과 풍습의 윤리를 기술한다. 이어, 듀이의 윤리학 연구 도구인 발생론적 방법과 습관의 도덕을 상술한다. 니체와 듀이의 윤리를 재구성하여 그들의 공통점을 탐색하는 이유는 그들의 자연주의 도덕담론의 현재성과 대안적 중요성 때문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1. 연구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는 네 가지로 예상된다. 첫째는 니체와 듀이의 윤리관을 자연주의로 재해석하여 현대적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는 오늘날 도덕담론에 자연주의 모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는 다원주의 사회 ...
1. 연구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는 네 가지로 예상된다. 첫째는 니체와 듀이의 윤리관을 자연주의로 재해석하여 현대적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는 오늘날 도덕담론에 자연주의 모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자연주의 윤리관의 유용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넷째는 철학적 탐구에 학제적이며 횡단적 모델의 한 사례를 제안하는 데 있다. 자연주의 윤리관은 가치에 대한 절대주의나 해체주의를 지양하며 가치에 관한 새로운 이해의 틀과 해명의 방식을 제공한다. 본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도는 니체의 계보학과 함께 전개되는 도덕적 자연주의와 듀이의 발생론적 방법을 토대로 해명되는 실용주의 윤리관에 대한 현재성을 기술함으로써 다원주의 사회의 구성원들의 도덕적 삶과 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제안할 것이다.
2.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본 연구에서 탐구한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관은 이성보다 몸을, 그리고 삶과 문화를 중요하게 여긴다. 따라서 이 연구의 성과는 오늘날 다문화사회의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인간중심의 도덕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인간의 가치의 기원과 생성 및 창발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다문화사회의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도덕교육과 가치들을 재성찰하는 윤리적 관점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자연주의 윤리관은 나와 타인의 삶의 유사성과 차이를 이해하도록 유도하여 차별과 배제 및 혐오의 생활방식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