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영문독해 수업에 기계번역(post-editing)의 활용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Usefulness of Machine Translation(Post-editing) in College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
본 연구는 [글로벌경제영어] 영문독해교과목을 중간고사까지는 기존에 해왔던 수업방식 대로 하고 중간고사 이후에는 기계번역의 포스트 에디팅기법을 도입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두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장단점을 비교함은 물론 포스트에디팅 수업방식에 ...
본 연구는 [글로벌경제영어] 영문독해교과목을 중간고사까지는 기존에 해왔던 수업방식 대로 하고 중간고사 이후에는 기계번역의 포스트 에디팅기법을 도입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두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장단점을 비교함은 물론 포스트에디팅 수업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영어 수준별 반응과 포스트에디팅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다.
영문독해 강의에서 기계 번역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본 연구의 필요성은 세 가지이다. 첫째, 기계번역은 편의성과 접근성 때문에 일반인은 물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그 사용이 보편화되어가는 추세일 뿐만 아니라 통번역교육현장에서도 이미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할 정도여서 영어교육 분야에서도 기계번역의 효율적 이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본 연구는 필요하다. 둘째, 대규모 분량을 순식간에 번역할 수 있고 정확성이 어느 정도 담보된 기계번역의 유용성을 고려하면 기계번역의 활용가능성을 영어작문 분야는 물론 영문독해 분야에서도 검증해서 영어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분야의 확대를 모색해야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영문독해수업에서 기존의 문법번역식 독해수업과 기계번역, 즉 포스트에디팅 기법을 활용한 독해수업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포스트에디팅 기법이 영문독해수업에 적용 가능한지, 학생들의 반응은 어떤지, 그리고 영어독해능력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비교 연구하는 새로운 시도를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필요하다.
영문독해교육에서 기계번역의 활용에 관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 된 적이 거의 없는 것으로, 새로운 연구주제를 제시하여 독창적으로 연구하려고 한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기대효과
인간과 인공지능(기계번역)의 협업을 의미하는 포스트에디팅 활용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번역학은 물론 영어교육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와 활용가능성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예상할 수 있다.
(1)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
인간과 인공지능(기계번역)의 협업을 의미하는 포스트에디팅 활용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번역학은 물론 영어교육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와 활용가능성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예상할 수 있다.
(1)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① 기계번역 활용에 대한 연구 활성화에 일조 가까운 미래에 기계번역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계번역 오류분석, 포스트에디팅 및 번역툴 성능연구 등 기계번역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②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사용 영역확대에 기여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은 기계번역사용에 대한 학생이나 교사의 인식 및 영작문분야에서의 활용에 국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활용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기계번역 활용분야 확대에 기여할 것이다. ③ 기계번역의 효과적 사용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 증대에 기여 본 연구 결과 사회에서 비전문가나 일반인의 기계번역의 효과적 활용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질 것이다.
(2) 교육과의 연관성 ① 대학 정규수업에서 기계번역 활용수업 진행 본 연구는 영문독해 수업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하여 그 효과와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교육과 밀접하게 연관된 연구이다. ② 교수방법 다양화와 강의 질적 향상에 기여 대중화되고 있는 기계번역을 영문독해수업에 도입하여 활용함으로써 영문독해수업 교수방법의 다양화와 학생참여 유도 및 강의의 질적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3) 후속 연구와의 연계 활용 방안 ① 영문독해수업의 기계번역 활용 후속연구에 기여 본 연구 결과 영문독해수업에 프리에디팅기법을 활용하거나 프리에디팅+포스트에디팅 결합 후속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 ② 수준별 기계번역의 활용에 대한 후속연구에 기여 본 연구의 파급효과로 영문독해수업에서 수준별 기계번역의 적절한 활용에 대한 후속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③ 일반인 및 영어 학습자의 기계번역 활용 후속연구에 기여 일반 대학생의 기계번역 활용가능성을 다루는 본 연구를 통해 중 고등 영어 학습자 및 일반인의 기계번역의 효과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후속연구로도 이어질 것이다.
연구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영문독해 수업에서 번역도구인 기계번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영문독해 능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한국어와 영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여 영어교육에서 ...
본 연구의 목적은 영문독해 수업에서 번역도구인 기계번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영문독해 능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한국어와 영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여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이 활용 가능한 외연을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1) 연구대상 본인이 한 학기 동안 진행하게 될 [글로벌 경제영어] 강의를 수강할 무역과 경제를 (부)전공하는 2-3학년 대학생 40명 내외
(2)연구자료 교과과정 명칭이 [글로벌 경제영어]이고 전공의 특성을 살려서 수업 자료는 경제와 무역에 관한 연설문과 영자신문 기사
(3) 수업진행방식 ① [글로벌경제영어] 기존 수업방식 이 강좌는 읽기에 초점을 둔 수업으로 크게 pre-reading, reading, post-reading 세 단계로 진행한다. Pre-reading 단계에서는 학습자료에 있는 표현 및 본문 배경지식 등을 설명하고 단어나 제목을 보고 간단한 영어 말하기를 유도한다. Reading 단계에서는 상하향식 과정(bottom-up and top-down processing)을 이용해 문장을 해석할 뿐만 아니라 텍스트 구조 및 배경지식을 전달해서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ost-reading 단계에서는 본문내용과 경제전문용어 등 표현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괄호 넣기나 T/F 문제 등 여러 유형의 문제를 풀도록 하고, 학습한 자료의 내용을 요약해서 영어로 말하기나 쓰기를 유도한다 ② [글로벌경제영어] 포스트에디팅 수업방식 기존 수업방식과 마찬가지로 수업은 크게 pre-reading, reading, post-reading 세 단계로 진행하되, reading 단계만 다를 것이다. 즉 reading 단계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하여 번역한 후 원문과 비교하면서 포스트에디팅하게 하고 그 번역 결과물(연구 분석자료임)을 가지고 교수와 학생 또는 학생들끼리 Q&A방식으로 포스트에디팅한 번역 결과물을 수정하고 내용을 이해하고 영문구조와 표현 등을 익히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4) 연구방법 ① 연구방식: 영어교육에서 교육적 번역(독해)의 필요성과 기계번역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를 문헌연구 방식으로 진행하고,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기존 영문독해수업과 포스트에디팅을 활용한 영문독해수업에 대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하여 두 수업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것이다. ② 자료수집: 포스트에디팅을 통한 영문독해수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기계번역과 포스트 에디팅에 대한 사전교육 실시 후 5주차동안 수업자료로 쓰인 포스트에디팅 번역 결과물(Q&A방식으로 수정하기 전 번역 결과물)을 수집할 것이다.
(5) 연구내용: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설문분석을 통해 기계번역에 대한 학생들의 기본 인식 즉, 번역품질 신뢰 정도, 사용빈도, 유용성 및 번역과제 시 이용에 대한 윤리문제와 미래 활용 가능성 등 일반적인 사실을 확인한다.
② 설문지 및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두 수업방식에 대한 선호도, 장점과 문제점, 개선방향은 물론 기계번역을 통한 영문독해수업의 문제와 한계 등을 파악한다.
③ 기계번역을 활용한 영어 원문이해의 한계, 포스트에디팅 과정의 어려움과 문제해결 과정, 더 나아가 수업 중 교수의 역할 및 학생의 수업 참여도 등도 분석하여 앞으로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이 어떻게 유용하게 활용가능한지를 탐색할 것이다.
④ 수준별 세 집단의 포스트에디팅 번역결과물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파파고가 산출한 번역결과물(포스트에디팅하기 전) 기준으로, 세 집단이 포스트에디팅의 오류수정 과정도 비교분석한다.
⑤ 세 집단의 번역품질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집단별로 오류의 특징 및 원인, 포스트에디팅 과정의 문제점 등도 분석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기계번역을 많이 활용하는 시대적 추세에 따라 기계번역 활용이 독해수업에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한 학기의 중간고사 이전에는 기존의 문법번역식 수업을 진행하고, 중간고사 이후에는 기계번역을 활용한 독해수업을 실시하였다. 기존 문법 번역식 독해수 ...
본 연구는 기계번역을 많이 활용하는 시대적 추세에 따라 기계번역 활용이 독해수업에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한 학기의 중간고사 이전에는 기존의 문법번역식 수업을 진행하고, 중간고사 이후에는 기계번역을 활용한 독해수업을 실시하였다. 기존 문법 번역식 독해수업과 기계번역 활용 영문독해수업의 차이점 및 포스트에디팅 학생번역에서 주요 오류 유형과 영어 수준에 따른 오류 수정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8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파파고번역을 수정해서 제출한 포스트에디팅 학생번역을 분석했다. 설문지 분석 결과 기계번역을 활용한 수업이 수업 참여도와 흥미, 단어 및 문법학습의 정확성, 독해능력 향상도 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주목할만한 것은 포스트에디팅 번역에서 영어 수준에 따라 오류 수정 정도가 달랐다. 직함명사 오류만 600점 이상이 600점 이하보다 오류 수가 한 개 더 많은 데 그 이유는 파파고 기계번역이 올바르게 직함 명사를 번역했음에도 불구하고 600점 이상 학생들은 본인들의 영어 실력을 믿고 영어 어순을 그대로 따르는 식으로 수정함으로써 오류를 범했고, 600점 이하 학생들은 파파고 기계번역을 수정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수용한 학생들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직함명사 오류를 제외하고 문장구조오류, 문맥이해 오류, 대명사 오류는 600점 이하 학생들이 600점 이상 학생들에 비해서 2배 정도 많이 오류를 범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파파고 번역오류 빈도수에서 문맥이해 오류가 문장구조 오류보다 7배 많은데, 학생들의 포스트에디팅 번역오류 빈도수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실은 학생들이 번역 시 기계번역에 많이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따라서 오류 특징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분석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600점 이하 학생들은 기계번역을 수정할 영어 실력이 없으므로 오류를 범한 파파고 번역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향이 있고, 파파고 번역이 오역을 했다고 확신했을 때는 잘못된 번역을 수정하려고 하기 보다는 생략하는 전략을 택했다. 반면 600점 이상 학생들은 파파고가 잘못 번역한 오류들을 문맥에 맞게 수정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을 분석과정에서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포스트에디팅 번역오류에서 정확성 오류가 가독성 오류보다 3배 이상 많고 또한 기계번역이 아직까지는 복잡한 문장구조나 문맥에 따른 적합한 번역이 안 되는 실정이므로 수업 시 다양한 문장구조 연습 및 문맥에 맞는 번역 연습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에 대한 연구는 기계번역사용에 대한 학생이나 교사의 인식 및 영작문분야에서의 활용에 국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활용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 가능한 분야의 확대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en machine translation is widely used in our daily life, this research attemp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rammar-base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an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 ...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en machine translation is widely used in our daily life, this research attemp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rammar-base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an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using machine translation. Furthermore, it examined what major error types there are in students’ post-editing translations and what characteristics students’ post-editing errors show depending on English proficiency. To do so, grammar-base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before the mid-term exam were provided for students an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using machine translation were offered after the mid-term exam. 38 subjects’ questionnaires and post-edited transla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classes using machine translation in terms of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est, accuracy of words and grammar learning, and impro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hat is noteworthy is that students showed different degrees of error correction in post-editing translations depending on the English proficiency. For example, though the Papago machine translator translated a title noun correctly, some students with more than 600 points in TOEIC made errors by changing Papago’s correct translations, while students with less than 600 points did not commit errors by not touching Papago’s correct translations.
Except for the title noun error, students with less than 600 points showed twice as many errors as those with more than 600 points in the three categories of errors resulting from complex sentence structures, misunderstanding contexts, and misuse of pronouns. Interestingly, as context-misunderstanding errors are seven times as many as those of sentence structure misunderstanding in the translation the Papago translator made, students showed errors similar to the Papago translator. This fact indicates that students rely a lot on machine translation when translating, and thus, it is confirmed in the error analysis that students’ post-editing error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apago translator.
Students with less than 600 points in particular tended to use the Papago translation including errors because they did not have the English proficiency to correct the errors of the machine translator, Moreover, when they were convinced that the Papago translator committed errors, they chose to omit the translation errors rather than trying to correct them.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in the analysis process that students with more than 600 points made efforts to correct errors the translator commited in consideration of contexts. Accuracy errors are three times more than readability errors in students' post-editing translation errors. As machine translation is still not suitable for translation of complex sentence structures or contexts,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practice translating various sentenc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context i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
Until now, studies on the use of machine translation in English education has mainly been limited to students' and instructors’ perception of the use of machine translation in class and its use in English writing class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se of a machine translator in English education in that it seeks to use machine translation i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기계번역을 많이 활용하는 시대적 추세에 따라 기계번역 활용이 독해수업에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기계번역을 활용한 독해수업을 실시함으로써 기존 문법 번역식 독해수업과의 차이점 및 포스트에디팅 학생번역에서 주요 오류 유형과 영어 수준에 따른 ...
본 연구는 기계번역을 많이 활용하는 시대적 추세에 따라 기계번역 활용이 독해수업에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기계번역을 활용한 독해수업을 실시함으로써 기존 문법 번역식 독해수업과의 차이점 및 포스트에디팅 학생번역에서 주요 오류 유형과 영어 수준에 따른 오류 수정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8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파파고번역을 수정해서 제출한 포스트에디팅 학생번역을 분석했다.
중간고사 이전에는 문법 번역식 수업 방식으로 영문독해 수업을 진행하였고, 중간고사 이후에는 파파고 기계번역을 활용한 영문독해 수업을 하였다. 그리고 문법 번역식 수업에서는 기계번역기 사용 없이 자가번역을 하도록 학생들에게 번역 자료를 주었다. 자가번역 자료를 준 이유는 중간고사 이후 기계번역을 활용한 포스트에디팅 번역과 비교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할 목적이었다. 자가번역 자료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포스트에디팅 자료보다는 좀 쉬운 국내 영자신문에서 발췌한 경제 관련 자료를 주었다. 학기 말에 두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영어 능력 정도와 기계 번역기 사용 경험을 포함한 피험자에 관한 정보, 자가번역 관련 질문, 기계번역 이용 관련 질문, 자가번역과 기계번역 비교 질문, 기계번역을 이용한 수업 관련 질문 등 크게 6개의 영역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기계번역을 활용한 수업이 수업 참여도와 흥미, 단어 및 문법학습의 정확성, 독해능력 향상도 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기계번역을 활용한 독해수업은 학생들에게 파파고 기계번역을 참조해서 포스트에디팅 한 것을 제출하도록 하고 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포스트에디팅 번역을 이용해서 잘못된 부분을 토론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흥미를 느끼며 더불어 독해능력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포스트에디팅 번역 주요 오류 유형은 정확성 오류와 가독성 오류 크게 두 범주로 분류했다. 정확성 오류에는 복잡한 문장구조로 인한 문장구조 오류와 문맥의 흐름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어를 직역하거나 엉뚱하게 해석함으로써 발생한 문맥이해 오류가 있다. 가독성 오류에는 한국어의 어법에 맞게 대명사를 생략하거나 구체적인 명사로 전환하는 대신 대명사를 직역해서 부자연스러운 번역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대명사 오류와 직함명사를 영어 어순 그대로 직역하거나 직함을 생략해서 번역함으로써 발생하는 직함명사오류가 속한다.
주목할만한 것은 포스트에디팅 번역에서 영어 수준에 따라 오류 수정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함명사 오류만 600점 이상이 600점 이하보다 오류 수가 한 개 더 많은 데 그 이유는 파파고 기계번역이 올바르게 직함 명사를 번역했음에도 불구하고 600점 이상 학생들은 본인들의 영어 실력을 믿고 영어 어순을 그대로 따라하는 식으로 수정함으로써 오류를 범했고, 600점 이하 학생들은 파파고 기계번역을 수정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수용한 학생들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직함명사 오류를 제외하고 문장구조오류, 문맥이해 오류, 대명사 오류는 600점 이하 학생들이 600점 이상 학생들에 비해서 2배 정도 많이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로운 현상은 파파고 번역오류 빈도수에서 문맥이해 오류가 문장구조 오류보다 7배 많은데, 학생들의 포스트에디팅 번역오류 빈도수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실은 학생들이 번역 시 기계번역에 많이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따라서 오류 특징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분석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600점 이하 학생들은 기계번역을 수정할 영어 실력이 없으므로 오류를 범한 파파고 번역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향이 있고, 파파고 번역이 오역을 했다고 확신했을 때는 잘못된 번역을 수정하려고하기 보다는 생략하는 전략을 택했다. 반면 600점 이상 학생들은 문맥에 맞는 어휘 의미로 번역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을 분석과정에서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포스트에디팅 번역오류에서 정확성 오류가 가독성 오류보다 3배 이상 많고 또한 기계번역이 아직까지는 복잡한 문장구조나 문맥에 따른 적합한 번역이 안 되는 실정이므로 수업 시 다양한 문장구조 연습 및 문맥에 맞는 번역 연습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활용가치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은 피험자 수가 38명으로 제한된 점과 번역 자료를 무역 및 경제에 국한하고 기계번역을 파파고에 한정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기계번역 품질이 향상된 것이 사실이지만 인간이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결과로 인간과 인공지능(기계번역)의 협업을 의미하는 포스트에디팅의 활용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번역학은 물론 영어교육분야에서도 활발하 ...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기계번역 품질이 향상된 것이 사실이지만 인간이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결과로 인간과 인공지능(기계번역)의 협업을 의미하는 포스트에디팅의 활용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번역학은 물론 영어교육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와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다.
① 기계번역 활용에 대한 연구 활성화에 일조 기계번역 성능이 나날이 좋아지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 기계번역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될 것이다. 문제는 인간이 어느 정도까지 개입할 것이냐 하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기계번역의 오류분석, 포스트에디팅 및 번역툴의 성능연구 등 기계번역 활성화에 기여할 것임에 틀림없다.
②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사용 영역확장에 기여 지금까지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은 기계번역사용에 대한 학생이나 교사의 인식 및 영작문분야에서의 활용에 국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활용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 가능한 분야의 확대에 기여할 것이다.
③ 기계번역의 효과적 사용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 증대에 기여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는 사회에서 비전문가나 일반인의 효과적인 기계번역 활용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질 것이다.
④ 대학 정규수업에서 기계번역 활용수업 진행 본 연구는 대학 정규교과과정인 [글로벌경제영어] 영문독해 수업에 기계번역을 활용한 실제 수업을 진행하면서 그에 수반된 연구를 진행했다. 교육현장과 접목한 연구로 실제 강의실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하고 그 효과와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교육현장에서 활용가능하다
⑤ 교수방법 다양화와 강의 질적 향상에 기여 영문독해수업은 주입식교육, 교수의 일방적 수업, 학생과의 소통부족 그리고 학생의 적극적 수업참여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영문독해수업에 대중화되고 있는 기계번역을 도입하여 활용함으로써 영문독해수업의 교수방법의 다양화와 학생참여 유도 및 강의의 질적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⑥ 영문독해수업에 기계번역 후속연구에 기여 본 연구는 영문독해수업에 포스트에디팅기법을 활용한 것이지만 영문독해수업에 프리에디팅기법을 활용하거나 프리에디팅과 포스트에디팅을 결합한 후속연구로도 이어질 수 있다.
⑦ 영문독해 수업에서 수준별 기계번역의 활용에 대한 후속연구에 기여 영문독해 수업에서 영어 수준에 따른 기계번역의 적절한 활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인데, 본 연구의 파급효과로 영어수준에 따른 기계번역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⑧ 일반인 및 영어 학습자의 기계번역 활용에 대한 후속연구에 기여 지금까지 기계번역에 대한 연구는 일부를 제외하면 주로 번역사의 관점에서 프리에디팅과 포스트에디팅의 방법과 오류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대학생의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활용가능성을 다루는 본 연구를 통해 영어 학습자, 대학생 및 일반인의 기계번역의 효과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대중화되고 있는 기계번역을 영문독해수업에 도입하여 활용함으로써 영문독해수업에서 교수 방법의 다양화와 학생참여 유도 및 강의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영문독해수업에서 기계번역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영어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 가능한 분야의 확대에 유용할 것이다. 또한 포스트에디팅번역 오류분석을 통해서 어떤 부분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지, 오류 유형은 어떤 것인지를 제시함으로써 영한독해 수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활용가치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은 피험자 수가 38명으로 제한된 점과 번역 자료를 무역 및 경제에 국한하고 기계번역을 파파고에 한정한 것은 본연구의 한계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