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신라 통일기 9주 5소경 10정 설치 지역의 군사 지리적 연관성 고찰
Study of military geographical relevance of the installed area between 9-Ju(州) & 5-Sogyung(小京) & 10-Jung(停) during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1S1A5B5A17056345
선정년도 2021 년
연구기간 1 년 (2021년 09월 01일 ~ 202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범호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신라 통일기에 편제된 지방제도인 9주(州), 5소경(小京), 10정(停)이 설치된 지역의 군사 지리적인 상호 연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신라는 수도 경주의 편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지방지배의 거점인 9주의 주치와 10정의 주둔지, 5소경의 위치를 상호 유기적으로 군사 지리적으로 연결시켰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로써 신라의 지방지배방식을 제도사에서 연구하는 것에서 벗어나 군사 지리적인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지방통치체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계기를 삼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에 대한 관련 사료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기초 사료를 신라의 지방제도와 군사제도를 연구하는 연구자료로 활용하는데 제공한다. 둘째, 연구 결과물에 대한 연구자료인 저서와 학술 논문 등을 종합함으로써 관련 연구자에게 기초연구자료로 제공한다. 연구한 결과 성과물을 통하여 후속 연구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연계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연구와 관련한 연구 논문을 통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관련한 연구 성과물을 통해서 신라의 지방제도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신라의 지방통치제체 등의 제도사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셋째, 연구 성과물을 통해서 역사 지리학적 접근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를 주고자 한다. 넷째, 연구 성과물을 통해서 신라사 연구를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과 틀에서 역사 인식의 전환점을 갖음으로 고대사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로 본 연구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분석하는 작업이다. 둘째로는 관련 사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정리하는 작업이다. 마지막의 적업은 기존 연구성과의 분석과 관련 사료의 분석에 바탕으로 9주 5소경 10정이 설치지역 상호간의 군사지리적 연관 관계를 고찰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 내용은 첫 번째로 9주의 주치 지역의 군사 지리적 관점을 고찰하였다. 신라에서 9주의 주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것은 수도인 경주와 지리적 연결성과 9주의 통치지역과 관련한 군사적 요충지라는 점을 가장 고려하였을 것이다. 특히 신라가 영토를 확장 전쟁 과정에서 습득한 군사 지리적인 경험이 축적되어 중요한 거점지역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왕경인 경주에서 시작하여 군사 지리적으로 연결되는 교통로상에 주요 거점지역이 세워졌으며, 이러한 곳이 주치의 소재지로 결정되었다고 본다. 두 번째로 5소경의 설치는 수도인 경주의 편재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배세력의 입장에서 경주와 떨어져 있는 지역 거점인 9주와 연결되는 중간 거점지역이 필요하였다. 이점에서 소경의 역할은 지배체계의 원활한 전달과 주변 주의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났을 때 군사적 지원체계가 효율적으로 연결되고 전달되는 교통로상의 군사 지리적 거점지역이 필요하였다. 세 번째로 10정이 주의 핵심 지방군이자 기병부대로서 지방의 반란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군사 지리적인 측면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주둔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라는 통일 이후 효과적인 지방지배를 위하여 9주 5소경 10정체제를 완비하였다. 신라의 지방지배는 9주의 주치와 10정의 주둔지, 5소경이 설치된 곳이 지방의 중요한 통치 거점지역이 되면서, 경주로부터 연결되는 교통로를 중심으로 한 군사 지리적인 연관관계가 작용하였다는 점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신라 통일기에 편제된 지방제도인 9주(州), 5소경(小京), 10정(停)이 설치된 지역의 군사 지리적인 상호 연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일기에 신라는 전국을 5주로 편성하였다가 확대된 영토에 맞게 9주로 재편성하였다. 소경 또한 필요에 따라 3곳에 소경을 설치하였다가 통일기에 5소경으로 편제하였다. 이전의 5주 5정(停)을 설치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다가 통일기에 6정으로 정비하였고, 9주체제에 맞추어 10정으로 재편성하였다. 신라는 수도의 편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지방지배의 거점인 9주의 주치와 10정의 주둔지, 5소경의 위치를 상호 유기적으로 군사 지리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신라에서 9주의 주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것은 수도인 경주와의 지리적 연결성과 9주의 관할지역과 관련한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신라는 많은 전쟁을 치르면서 군사 지리적인 경험의 축적으로 중요 거점지역을 선정하였다. 특히 정복 지역인 옛 백제와 고구려 영토를 효과적으로 지배하고 복속민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주치를 결정하는데 수로와 육로를 통한 군사 지리적인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신라는 6세기 이후 중고기에 특수 행정구역으로 小京을 설치하였는데, 통일이전에 국원소경(충주)과 통일 이후에 북원소경(원주), 금관소경(김해), 서원소경(청주)과 남원소경(남원)을 설치하여 5소경 체제를 완성한다. 소경은 새로운 점령지에 신라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방통치의 중심지로서 설치한 성격이 강하다고 보았다. 신라에서 소경을 설치한 가장 중요한 점은 왕경과 9주의 주치와 10정의 주둔지를 연결하는 중간거점의 군사 지리적인 교통의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신라는 영토확장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군단인 5停을 삼국통일 이후에 6정으로 정비하였고, 9주체제에 부합하는 군사조직인 10정을 편성하였다. 6정은 주치에 주둔한 州治停의 성격으로 바뀌었고, 10정은 주치정 이외에 설치한 기병군단이다. 주로 기병의 기동력과 파괴력으로 반란세력을 진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점에서 10정의 주둔지를 살펴보면, 주의 주치의 인근에 있거나 주변 소경과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등 주와 소경을 연결하고 있는 교통로 상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통일기에 설치한 신라의 9주의 주치와 지방 기병군단인 10정의 주둔지 지역, 그리고 특수행정구역 5소경의 위치가 군사 지리적인 관점에서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지방통치의 효율성과 지방 세력의 효과적인 통제 그리고 반란세력의 발호 등 국가의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측면에서 운용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litary geographical relevance of the areas where 9-provinces(州), 5-regional capitals(小京), and 10-jungs(停), which were organiz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Silla organized the whole country into 5 provinces, but reorganized it into 9 provinces to fit the expanded territory.
    In order to overcome the ubiquity of the capital, Silla is characterized by the military and geographical connection of the location of 9 provinces(州), 10 legions(停), and 5 regional capitals(小京), which are the bases of provincial rule, mutually efficiently way.
    Silla selected important strongholds by accumulating military and geographical experience while fighting many war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installing a blind man in Silla was the selection of a military and geographic transportation hub as an intermediate base connecting the capital and capital of provinces and the legions camp.
    The capital of provinces and the legions camp installed during the unification period of Silla. They are interrelated from a military-geographical point of view. It was operated in terms of coping with national crises, such as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ance, effective control of local forces, and the rise of rebel for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본 연구는 신라 통일기에 편제된 지방제도인 9주(州), 5소경(小京), 10정(停)이 설치된 지역의 군사 지리적인 상호 연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일기에 신라는 전국을 5주로 편성하였다가 확대된 영토에 맞게 9주로 재편성하였다. 소경 또한 필요에 따라 3곳에 소경을 설치하였다가 통일기에 5소경으로 편제하였다. 이전의 5주 5정(停)을 설치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다가 통일기에 6정으로 정비하였고, 9주체제에 맞추어 10정으로 재편성하였다. 신라는 수도의 편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지방지배의 거점인 9주의 주치와 10정의 주둔지, 5소경의 위치를 상호 유기적으로 군사 지리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9주를 설치한 주치가 자리잡게 된 위치와 정이 자리한 위치, 소경의 위치가 자리잡게 된 과정과 이들 상호간의 연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9주 주치 지역의 군사지리적 관점으로, 중고기 신라는 영토 확장 과정에 군사적 거점지역에 州와 주치 군단인 停을 설치하였고, 州治를 옮겨서 군사활동을 하였다. 통일기에 전국에 5주와 5정으로 정비하였다가 통일 이후에 9주체제로 완비하였다. 신라에서 9주의 주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것은 수도인 경주와의 지리적 연결성과 9주의 관할지역과 관련한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신라가 많은 전쟁을 치르면서 군사 지리적인 경험의 축적으로 중요 거점지역을 선정하였다. 특히 정복 지역인 옛 백제와 고구려 영토를 효과적으로 지배하고 복속민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주치를 결정하는데 수로와 육로를 통한 군사 지리적인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둘째, 5소경 설치 지역과 군사 지리적 관점이다. 신라는 6세기 이후 중고기에 특수 행정구역으로 小京을 설치하였는데, 처음으로 아시촌소경(의성 안강)이 설치되었다 폐지되고, 다음으로 충주에 국원소경을 설치하였다. 강릉에는 북소경을 잠시 두었다. 통일 이후에 북원소경(원주), 금관소경(김해), 서원소경(청주)과 남원소경(남원)을 설치하여 5소경 체제를 완성한다. 지금까지 소경은 새로운 점령지에 신라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방통치의 중심지로서 설치한 성격이 강하다고 보았다. 신라에서 소경을 설치한 가장 중요한 점은 왕경과 9주의 주치와 10정의 주둔지를 연결하는 중간거점의 군사 지리적인 교통의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백두대간을 넘어 군사지리적인 요충지에 중간 거점지역으로 소경을 설치하였다. 셋째로 10정의 주둔지와 군사 지리적 관점이다. 삼국통일 이후에 영토확장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6정을 폐지하고, 9주체제에 부합하는 군사조직인 10정을 편성하였다. 6정은 주치에 주둔한 州治停의 성격으로 바뀌었고, 10정은 주치정 이외의 기병군단으로서 주로 기병의 기동력과 파괴력으로 반란세력을 진압하는데 목적을 둔 부대였다. 이러한 점에서 10정의 주둔지를 살펴보면, 주의 주치의 인근에 있거나 주변 소경과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등 주와 소경을 연결하고 있는 교통로 상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통일기에 설치한 신라의 9주의 주치와 지방 기병군단인 10정의 주둔지 지역, 그리고 특수행정구역 5소경의 위치가 군사 지리적인 관점에서 상호 연관되어 지방통치의 효율성과 지방 세력의 효과적인 통제 그리고 반란세력의 발호 등 국가의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측면에서 운용되었다는 점을 밝혀 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산출되는 연구성과로 인한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인 9주, 5소경, 10정에 대한 관련 사료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기초 사료가 집약되어 신라의 지방제도와 군사제도를 연구하는 연구자료로 활용하는데 제공한다. 둘째,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인 9주, 5소경, 10정에 대한 연구자료인 저서와 학술 논문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고 종합함으로써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와 관련한 연구자료를 관련 연구자에게 기초연구자료로 제공한다. 셋째,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인 9주의 주치, 5소경의 위치, 10정의 주둔지와 관련한 군사 지리적인 연관성을 제시함으로서 관련 연구에 대한 또다른 관점을 갖는 계기를 도출하는 연구 자료로 제공한다.

    2) 후속연구와 연구 결과의 연계 활용 방안

    첫째,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인 9주, 5소경, 10정 제도사 연구와 관련한 연구 논문을 통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인 9주의 주치, 5소경의 위치, 10정의 주둔지와 관련한 군사 지리적인 연관성과 관련한 연구 성과물을 통해서 신라의 지방제도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신라의 지방통치제체와 행정제도 등의 제도사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일으키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셋째,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인 9주의 주치, 5소경의 위치, 10정의 주둔지와 관련한 군사 지리적인 연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성과물을 통해서 역사 지리학적 접근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를 주고자 한다.
    넷째,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제도인 9주의 주치, 5소경의 위치, 10정의 주둔지와 관련한 군사 지리적인 연관성과 관련한 연구 성과물을 통해서 신라사 연구를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과 틀에서 고대 사회를 바라보는 역사적인 인식의 전환점을 갖게 함으로서 고대사 연구의 활성화에 일면의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색인어
  • 통일기 신라, 9주. 5소경, 10정, 설치지역, 군사 지리적 관련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