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EAM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1S1A5B5A17058313
선정년도 2021 년
연구기간 1 년 (2021년 09월 01일 ~ 202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권미영
연구수행기관 대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의 필요성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평생에 걸쳐 행해지는 교육인 평생교육은 생존권을 위해 보장받아야 하는 자연권이자 기본권이라고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발달장애인 및 어떤 인간도 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없음.
    -발달장애인은 인지, 지적 및 신체 발달이 연령대만큼 발달하지 않기 때문에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이 있고,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개인의 다양성 환경적 차이를 고려한 교육과 적응행동 기술이 지속으로 요구되며, 자기선택권과 자기 결정권 및 사회통합을 위해 평생교육의 다양한 지원이 필요함.
    -발달장애인들이 학령기 이후 지역사회에 소속되고, 직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기술을 습득하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생활할 수 있게 평생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
    -발달장애학생의 진로와 취업교육을 위한 권역별 거점센터 운영과 생애주기별 특수교육 지원체제의 강화 등을 통한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지원체제 확립이 필요하며, 현재 특수교육과 평생교육의 주변부에 위치함으로써 질적·양적 수준이 낮은 실정이므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은 특수교육이 관심을 가져 이를 주도할 수 있는 역할수행을 하는 것이 필요함.
    -발달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각종 복지제도의 구축, 보조공학 기기 개발 및 지원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의 학습활동 및 교육성취를 위해서 각 개인의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켜 줄 방법적 요소로 학문적 융합이 필요하고 4차 산업혁명 도래와 2015 개정교육과정의 계속교육이라는 관점에서 평생교육 방향을 STEAM기반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수적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현황과 수요를 고려해 볼 때, 다양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고, 새롭고 시대에 부응하는 충분한 공급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STEAM기반 평생교육의 제고가 필요함.

    ○ 연구목표
    -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STEAM기반을 통해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안을 제시함.
    - STEAM기반 평생교육을 위한 발전 방향의 기초 자료를 제시함
    - STEAM기반 평생교육의 교수 및 학습 등의 프로그램 활성화 구축방안 제시
  • 기대효과
  • ○ 학문적ㆍ사회경제적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중장기계획과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수립
    -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학문적·체계적인 평생교육의 STEAM기반 연구
    - 발달장애인을 평생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해 지역사회의 평생교육기관 운영지원
    - 발달장애인을 위한 STEAM기반 학력보완교육과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 개발
    - 발달장애인을 위한 STEAM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 장애인을 STEAM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 연구인력 양성 기대효과
    - 특수교육 내의 장애인 평생교육과 관련된 교과목 개설 및 강사 인력양성
    - 평생교육법 제2조 1호의 평생교육 6대 영역의 프로그램 개발의 자료로 활용
    -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보급하고 연관 연구와 연계활용
    - 현장과 연계한 지역 내 전문가 양성에 활용
    - 융복합 교과교육의 전문가 및 STEAM기반 평생교육 전문가 양성
    -
    ○ 교육과의 연계된 기타 활용 방안
    - 지역사회의 교육기관 운영과 지도 방안 지침으로 활용
    -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에 대한 인식 개선의 봉사교육으로 활용
    - 지역사회 주민의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활용
    - 대학의 교과목 개설 및 인재 양성 및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에 활용
    - 학회의 학술대회, 경연 대회 및 연구회 등의 자료로 활용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 발달장애인들은 학령기 이후 지역사회에 소속되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기술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생활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
    - 이에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함.

    ○ 연구방법
    -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립 생활프로그램, 한글생활문해 프로그램, 한글문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문헌연구, 델파이조사 및 설문조사 연구, 전문가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프로그램의 방안을 제시할 예정임.

    ○ 연구내용
    【1단계】 발달장애인을 평생교육 실태조사와 프로그램 관련 문헌분석
    -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실태조사와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문헌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구성 후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
    - 발달장애인의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프로그램의 예비 방안가설 설정
    【2단계】 발달장애인의 가족 및 관련 종사자 심층면담과 델파이조사
    - 예비 모형을 바탕으로 한 사전 조사와 의견수렴을 위한 심층면담
    -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 가족 및 기관운영자 등 관련 종사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설문 조사 실시
    - 심층면담을 통한 의견수렴과 예비설문조사
    【3단계】 발달장애인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 및 개발방안 확립
    - 현장의 요구 및 프로그램의 가설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
    - 전문가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을 위한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내용을 확정할 예정임
    - 발달장애인을 위한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방안 확립 및 방안 제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학문후속세대양성을 위한 (B유형)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의 과제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지역사회에 소속되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기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평생교육의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한글생활문해 프로그램, 한글문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문헌연구, 델파이조사 및 설문조사, 전문가의 심층면담과 검증 및 검토를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STEAM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조사와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과정과 내용을 개발하였고, STEAM기반 평생교육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단계별 요약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발달장애인을 평생교육 실태조사와 프로그램 관련 문헌분석 및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실태조사와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문헌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구성 후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위한 초안을 작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의 STEAM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평생교육 관련 종사자의 인식조사’를 전국 6개 도시의 138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예비 모형가설을 설정하였다.
    【2단계】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 초안 구성과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초안을 바탕으로 5명의 전문가에게 검증 및 검토 후 수정과 보완 후에 1차 델파이조사지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델파이패널 25명으로 구성된 관련 종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델파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5명의 전문가들의 검증과정을 거쳐 STEAM기반 평생교육의 ‘한글문해교육’과 ‘한글생활문해교육’에 대한 과정과 내용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3단계】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 및 최종결과물을 도출하였다. 문헌연구 및 ‘전문가 검증’방법을 바탕으로 5명의 전문가 검증을 통해 설정된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발달장애인을 위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과 모형을 개발하여 학술지에 투고하여 연구의 성과물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 STEAM기반 연구의 활성화와 체계구축을 위해 활용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활용방안은 특수교육 내의 장애인 평생교육과 관련된 교과목 개설 및 강사 인력양성과 장애학생 및 성인을 위한 STEAM기반의 새로운 교육의 중장기계획과 메타버스 및 AI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수립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과정 내 STEAM기반의 교육실시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이는 STEAM기반 교육과정과 교육정책개발의 토대로 활용이 가능하며, STEAM기반 교수·학습 지도를 위한 교재와 활동 등의 자료개발과 지역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계획수립 및 활성화 방안 수립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지역사회의 교육기관 운영프로그램 지원과 봉사 및 일자리 창출의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장애관련 분야의 지도자와 전문가 등의 양성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그 외에 STEAM관련 경연대회와 학술대회 운영 등 대학교 및 학회 등 기관의 활용할 수 있으며, AR(증강현실)과 VR(가상현실), 메타버스와 AI(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발달장애인과 각 장애영역별 STEAM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ssignment for (type B)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professors for the fostering of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at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acquiring the necessary skills to liv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so they need continuous support through lifelong education so that they can liv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accordingly it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Delphi survey and survey, in-depth interviews, verification and review of exper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ife Literacy Program of the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the Hangeul Literacy Program. Based on these research methods, we develope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surveyed perception of STEAM-based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esented a model of STEAM-based lifelong education. A step-by-step summary is as follows:
    [Phase 1] A survey on the actual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the program, and an awareness survey were conducted.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a survey of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nd a draft was prepared for the Delphi survey. In addition,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workers on STEAM-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conducted targeting 138 people in 6 citie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is, a preliminary model hypothesis for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stablished.
    [Stage 2] The draft composition of the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the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the draft, the first Delphi survey paper was prepared after verification, review,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with five experts,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i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for related workers and experts consisting of 25 Delphi panelists. Develope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life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is, a model of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was established.
    [Stage 3] A model of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final result was derived.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and 'expert verification' method, the validity of the set model was verifi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5 experts, and a STEAM-based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mode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and submitted to an academic journal, resulting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 method of utilization was presented for the vitalization of STEAM-based 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he plan to use this is to establish course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ithin special education, train instructors, mid- to long-term plans for new STEAM-based education for students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o establish plans for vitalizing programs using metaverse and AI can be utiliz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implement STEAM-based education with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can be used as a basis for STEAM-based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development, and materials such as textbooks and activities for STEAM-base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can be developed, and plans and activation plans for community education programs can be establish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art of supporting educational institution operation programs in the community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volunteer work and job creation, and can be used for training courses for leaders and experts in the field related to disabilities. In addition, it can be used by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and academic conferences, such as STEAM-related contests and academic conferences, and can be used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ach disability using AR (augmented reality), VR (virtual reality), metaverse,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It can be actively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STEAM-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extbooks by a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을 개발하고 모형을 제시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과정과 내용에 대한 선행연구와 5명의 전문가 검토 및 검증으로 초안의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델파이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연구는 2차례에 걸쳐서 델파이패널 총 25명의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의 모형을 개발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과정과 내용에 대한 2차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한글문해교육’과 ‘한글생활문해교육’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검증’방법을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여 모형을 확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이 연구를 바탕으로 STEAM기반 연구의 활성화와 체계구축을 위해 제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과정과 내용 및 이에 대한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첫째, 델파이패널 25명에 의해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5명의 전문가에 의해 연구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검증 및 검토를 거쳐 ‘한글문해교육’과 ‘한글생활문해교육’에 대한 과정과 내용을 개발하였다. 둘째, 문헌연구 및 ‘전문가 검증’방법을 바탕으로 5명의 전문가 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발달장애인을 위한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첫째, 특수교육 내의 장애인 평생교육과 관련된 교과목 개설 및 강사 인력양성과 장애학생 및 성인을 위한 STEAM기반의 새로운 교육의 실시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개별화된 장애의 특성을 반영해 과학적 토대의 체계적인 교육실시와 주제중심 교육의 교수·학습·운영을 위한 교재와 자료 개발에 활용할 수 있고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중장기계획과 메타버스 및 AI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수립 및 발달장애인과 각 영역별 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6대 영역에 대한 STEAM기반 평생교육의 프로그램과 교재개발 및 실행체계 구축, 진로·직업교육에 활용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장애학생의 특수교육과정 내 STEAM기반의 교육실시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이는 STEAM기반 교육과정과 교육정책개발의 토대로 활용이 가능하며, STEAM기반 교수·학습 지도를 위한 교재와 활동 등의 자료개발과 지역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계획수립 및 활성화 방안 수립할 수 있다.
    셋째, 장애관련 교육프로그램의 보급과 지역사회에 활용할 수 있다. 각 장애영역과 장애정도를 반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으며, 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지역사회의 교육기관 운영프로그램 지원과 봉사 및 일자리 창출의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장애관련 분야의 지도자 양성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장애학생 관련 교육 및 장애인의 평생교육 등을 위한 교사연수와 평생교육 등을 위한 지도자양성과정 및 지역 내 지도자와 전문가 양성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그 외에 STEAM관련 경연대회와 학술대회 운영 등 대학교 및 학회 등 기관의 활용할 수 있으며, 발달장애인 및 각 영역별 장애인의 평생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전국적인 보급과 연관 연구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R(증강현실)과 VR(가상현실), 메타버스와 AI(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발달장애인과 각 장애영역별 STEAM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STEAM기반, 기초문해교육, 델파이조사, 프로그램, 모형개발, 타당도 검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