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莊子‧內篇>의 설득의 글쓰기와 비대면 수업에서의 활용 연구: 寓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uasion writing of Zhuangzi-Inner chapter and its application Online Classes: Focusing on the fabl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2S1A5B5A17045606
선정년도 2022 년
연구기간 1 년 (2022년 09월 01일 ~ 202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고지영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莊子‧內篇>의 설득의 글쓰기와 비대면 수업에서의 활용 연구: 寓言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갖는다.

    첫째, <장자‧내편>에서 설득의 방법의 하나로 우언이 사용되었음을 밝히고, 이를 立言散文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둘째, 각 편의 主旨와 우언의 앞뒤 논설을 바탕으로 <장자‧내편>에 수록된 우언을 재해석하여 장자의 설득의 글쓰기 방식을 고찰할 것이다.
    셋째, <장자‧내편>에 수록된 우언을 활용하여 고전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방식의 비대면 대학 교양 수업방안을 설계할 것이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효과
    - 소설의 원류 혹은 환상과 허구의 이야기와 같이 문학적 측면에서 연구되어 오던 장자의 우언을 설득의 수사 영역으로 끌어올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그간 편집과정에서 잘못 수록된 것이라 여겨졌던 우언들도 사실은 장자의 치밀한 설득의 단계 안에서 배치된 것이라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 설득의 글쓰기 관점에서 <장자‧내편>을 재해석하는 방법은 자구에 얽매인 해석에서 벗어난 새로운 知人論世의 번역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다.

    2. 사회적 효과
    - 다른 이해로 풀이되었던 우언의 본뜻을 재고함으로써 고전이 사회적 맥락에서 새로이 풀이되고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 사상서로 인식되고 있는 <장자>에 도가사상 외에도 장자의 설득력 있는 문장과 다채롭고 흥미로운 우언이 담겨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3. 교육적 효과
    - 번역의 텍스트, 사상 이해의 텍스트로 소비되던 제자백가서가 교육 현장에서 고전 리터러시를 함양시킬 수 있는 텍스트로 새로이 인식될 것이다.
    - 플립러닝 방식으로 수업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가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고전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우언이라는 이야기를 통한 고전에의 접근은 학습자가 흥미를 갖고 고전을 대할 수 있게 학습 문턱을 낮춰줄 것이다.

    4. 후속 연구와의 연계 효과
    - <장자>와 더불어 우언 활용이 돋보인다고 평가받는 <한비자>로까지 연구를 확장하여, ‘예증의 방법으로서의 <장자>와 <한비자>의 우언 비교’와 같은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우언 이외의 설득 방법으로도 제자백가서를 분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며, 이는 향후 입언산문의 글쓰기 특징을 도출해 내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입언산문의 관점에서 <장자‧내편>에 등장하는 우언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하여 서양의 우화(fable)가 논증의 방법으로 사용되었던 것처럼 <장자‧내편>에 등장하는 우언도 예증의 방법으로 동원되었음을 밝힐 것이다. 이를 통해 장자의 설득의 글쓰기 방식을 분석하는 한편, 설득의 관점에서 장자의 우언을 재해석할 것이다. 아울러 교양 수업에서 <장자‧내편>을 활용한 비대면 고전 리터러시 수업을 설계하여 제안하는 것까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내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통해 허구적 예증법으로 우화를 사용하는 까닭과 그 효과 및 설득의 글쓰기에서 우화의 역할을 분석한다.
    - 우화와 우언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밝히고, 제자백가의 우언을 허구적 예증의 방법으로 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 <장자‧내편>에 실린 우언 중에 서양의 우화 개념으로 분류될 수 있는 우언을 찾고, 우언이 실린 편의 주지에 근거하여 우언의 내용을 분석하고 재해석한다. 아울러 이것이 설득의 글쓰기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고찰한다.
    - <장자‧내편>에서 우언만 단장취의 되면서 다른 뜻으로 풀이되고 있는 우언을 찾아 본뜻과 다른 이해로 유통되게 된 배경을 밝힌다.
    - 학습자가 고전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도록 <장자‧내편>의 우언 텍스트를 활용한 고전 수업을 자기주도학습에 효과가 있는 플립러닝 방식으로 설계한다.

    3. 연구 방법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기준으로 허구적 예증법의 두 갈래인 ‘비교’와 ‘우화’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는 한편, 설득의 글쓰기 혹은 말하기에서 우화의 효과 및 역할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 우언을 서양의 우화와 같은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는 논증의 수사학 관련 서적과 우화 및 우언 관련 논문을 참고하여 제시할 것이며,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우화’와 장자의 ‘우언’을 비교하는 작업도 함께 진행할 것이다.
    - <장자‧내편>을 직독직해 하면서 예증법으로 사용된 우언을 추리고, 설득의 방법으로 해당 우언이 동원되었다는 전제하에 주역서를 참고하여 우언을 재해석할 것이다. 그러한 연후에 설득의 맥락에서 해당 우언의 의미 및 역할을 밝힐 것이다.
    - <장자‧내편>의 우언만 단장취의 되면서 다른 뜻으로 풀이되고 있는 우언은 고사성어에서 찾을 것이다. 곧, <장자‧내편>을 출처로 한 고사성어 중에 본 연구에서 재해석한 우언과 다른 의미로 유통되는 것을 선별하여 의미가 달라진 배경을 밝힐 것이다.
    - 기존의 대학 교양 고전 수업에서 <장자> 텍스트가 소비되는 양상을 분석하는 한편, 플립러닝 수업의 효과 분석을 통해 비대면 고전 수업을 플립러닝 방식으로 제시하려는 이유를 밝힐 것이다. 그러한 연후에 고전 리터러시, 합리적 추론 능력, 주체적 해석 능력 등을 함양시킬 수 있으면서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한 플립러닝 수업을 설계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우언은 <장자>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또 그 역할도 중요한데, 그간 환상과 허구의 이야기로만 인식되었다. 그러나 우언은 믿게 하는 힘을 가진 이야기로 장자의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해 예증으로 등장한 것이라 보아야 한다.
    예증의 방법으로 <장자> 우언을 살펴보면 그간의 이해와 다른 풀이를 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조삼모사 우언은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아는 사람을 비유하는 것이 아니라 ‘양행’이라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이야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포정해우 우언도 포정의 뛰어난 솜씨를 비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양생’을 이야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다. 그리고 혼돈 우언도 인위적인 행위에 대한 경고가 아니라 군주와 책사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라 볼 수 있다.
    이처럼 <장자> 우언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우언인 조삼모사 우언, 포정해우 우언, 혼돈 우언이 이처럼 달리 이해되고 있는데, 그 까닭은 다름 아닌 우언의 각색에서 비롯된 것이라 유추해 볼 수 있다. 곧, 우언의 원래 내용에서 일부가 생략되거나, 편명의 의미가 고려되지 않는 등 각색되어 풀이되었다는 것이다. 앞으로 예증의 우언이 변용되어 전해지게 된 까닭과 그 시점에 대한 연구가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 영문
  • Fables occupy a large proportion in Zhuangzi and their role is also very important. Fables have been regarded as fantasy and fictional stories. But fables are stories with convincing power that appear as examples to understand Zhuangzi's thoughts.
    Looking at the fables in Zhuangzi through Exemplifications, it can be explained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understanding. For example, the fable 'Zhao San Mu Si(朝三暮四)' is not a metaphor for people who only know the differences in front of them, but rather appears to illustrate the concept of 'Liang Xing(兩行)'. In addition, the fable 'Paoding Jie Niu(庖丁解牛)' is not intended to metaphorically describe the superb craftsmanship of 'Paoding(庖丁)', but rather to narrate the story of 'Yangsheng(養生)'. Moreover, the fable 'Chaotic(渾沌)' can also be seen as messages conveyed to monarchs and strategists, rather than warnings of human behavior.
    In this way, the most famous representative fables in the fables of Zhuangzi, such as 'Zhao San Mu Si(朝三暮四)', 'Paoding Jie Niu(庖丁解牛)', and 'Chaotic(渾沌)', are understood so differently. However, these fables have been adapted to omit a part of the original content, or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meaning of the titl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research on the reasons and timing of such changes in fabl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莊子‧內篇』의 설득의 글쓰기와 비대면 수업에서의 활용 연구: 寓言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을 통해 우언을 서양의 우화와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충분한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삼아 해당 연구 과제를 준비하였다. 그리하여 『莊子‧內篇』에 수록된 우언 가운데 본래의 뜻과 다르게 전해지는 우언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하나. 해당 연구 성과는 고사성어의 출처가 되는 여타 제자백가서에 수록된 우언으로 그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해 볼 수 있다.
    둘. 장자의 우언이 고사성어로 화석화되면서 의미가 변형된 것이라면 그 연유가 있을 것이니 이를 연구하는 방향으로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셋. 교양 고전 수업에서 우언을 활용한 고전 교육을 진행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장자, 우언, 예증, 조삼모사, 포정해우, 혼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