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결정성 원리와 다중요소 이동 현상들: 영어, 한국어, 중국어를 중심으로
Determinacy principle and movement phenomena of multiple items: Focusing on English, Korean, and Chines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2S1A5B5A17044133
선정년도 2022 년
연구기간 1 년 (2022년 09월 01일 ~ 202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임익희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소주의 이론(Minimalism theory)이란 인간언어에 나타나는 다양한 언어현상들을 일반화하고 가능한 최소한의 원리들을 기반으로 더욱 더 보편・타당하게 설명하려는 이론을 말하며, Chomsky(2008)는 이러한 이론은 아래 (1)처럼 강력최소주의 명제(Strong Minimalist Thesis, SMT, Chomsky 2008)가 기본적으로 전제된다고 주장한다.

    (1) Language is an optimal solution to interface conditions that FL must satisfy.

    (1)은 언어자료는 언어능력(Faculty of Language, FL)이(즉, 언어 인지체계가) 만족시켜야 하는 접속층위들에 대한 조건들(즉, 감각운동체계(sensory motor system, SM)와 개념-의도체계(conceptual-intensional system, SM)가 받아 해석할 수 있는 그런 해석성 정보들만 전송해주는 조건들)에 대한 최적의 해결책이다라고 풀이될 수 있다. 간략하게 기술해보면, 인간 언어가 가지는 연산체계(computational system)는 완벽한(perfect) 또는 효율적(=경제적) 체계(system)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 즉, SMT에 부합하기 위해서 Chomsky, Gallego, and Ott(2019)와 Goto & Ishii(2021)는 내부 병합시 통사체가 중의적이지 않은 유일하고 확정적인 방식으로 작업장에 참여해야 한다는 결정성(determinacy) 원리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전자는 최소 탐색(minimal search) 규칙이 유일한 통사체 내부병합을 유도 확정한다고 주장하며 후자는 이분지 탐색(binary search) 규칙과 해석(Interpretation, INT)층위 규칙이 유일한 통사제 병합을 확정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의 접근법은 모두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구체적인 내용은 계획서에 언급). 본 연구의 목표는 Chomsky, Gallego, and Ott(ibid)와 Goto & Ishii (ibid.)가 제안한 결정성 원리를 수정하여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중심주제인“결정성 원리와 다중요소 이동 현상들: 영어, 한국어, 중국어를 중심으로”에 대한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학문적 그리고 교육적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의 측면에서:

    첫째, 다중 화제요소들과 다중 초점 요소들 사용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언어간의 (비)문법성 대조의 원인을 결정성 원리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기타언어에도 적용해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아래 (1a)의 통사체‘책상을’은 아래 (1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다리’의 소유주이다.

    (1) a. 철수가 책상을 다리를 고쳤다. b. 철수가 책상의 다리를 고쳤다.

    통사체‘책상을’을 기저 생성과 이동 두 가지 기제를 상정해 볼 수 있으며 만일 이동 기제 즉, 소유주가 인상된 것으로 상정할 때 탐색 운영체계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되는지를 포착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의 측면에서:

    실용적인 교육현장에서 언어학습자들로 하여금 다중 화제요소들과 다중 초점 요소들이 허용되는 제약들의 원인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첫째, Chomsky, Gallego, and Ott(ibid.)는 최소검색 운영체계가 내부 병합될 유일한 한 통사체를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최소 탐색 규칙을 상정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동기가 부여된 전이(transfer) 조건 즉, 국면 침투 불가침성 조건(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PIC) 운영체계에 의해서 내부 병합될 유일한 한 통사체를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Chomsky, Gallego, and Ott(ibid.)의 주장은 잉여성을 초래한다고 논의할 것이다.
    둘째, Goto & Ishii(ibid.)가 제안한 결정성 원리의 핵심은 도출 층위 혹은 표상 층위에서 복사통사체가 2분지 구조 형성여부이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 아래 (24a)는 목적어인 한정 명사구로부터 의문사 who가 CP의 지정어 자리로 추출된 비 적형(ill-formed) 예문인데 (Goto and Ishii ibid.)에 따르면 (2b)처럼 분석될 수 있다.

    (2) a. *Who did John see [the picture of t]?
    b. [CP Who4 [C-did [TP John [T [vP [pictures of who3] [v′John [v-R(SEE) [RP [pictures of who2] [R
    (SEE) [pictures of who1]]]]]]]]]

    문제는 (2b) 병합 연산과정은 적법하지만 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결과하는 문장 (2a)는 비문이다.
    ‣ 3개의 비 논항 다중 요소들(이하 THREEM(ultiple) I(tems))이 좌향 외곽에 나타날 때 언어마다 용인성에 차이가 발생한다.

    (3) Questo, io ai ragazzi non l’ho detto direttamente.
    this I to the boys not it(CL) have.1SG told directly
    ‘I did not tell that fact to my students directly.’

    (4) a. 이 책을 죤에게 내일 내가 확실히 줄 것이다.
    b. *이 책은 죤은 내일은 내가 확실히 줄 것이다.

    (5) a. Mary handed the book to John yesterday.
    b. *The book to John yesterday Mary handed.

    ⅰ) 한국어 (25): ThreeMI가 초점구일 경우는 허용되는 반면에 화제구일 경우는 불허된다. ⅱ) 이탈리아어 (26): (25b)에 비해 이탈리아의 경우는 화제구 ThreeMI가 좌향 외곽에 허용된다. (Mara&Roland(2007)는 담화속성들과 화제의 위치들간에는 엄격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다) ⅳ) 영어 (27): ThreeMI가 좌향 외곽에 나타나는 것이 불허된다. 먼저 화제구 ThreeMI가 좌향 외곽에 놓이는 경우를 보자. Goto & Ishii (ibid.)에 따르면, (3)은 이동 가설의 경우 최소한 내적 병합과정에서 2분지 조건을 준수하기 때문에 문법적인 문장이 된다고 설명해야 할 것 같다. 문제는 (4b)와 (5b)도 이동 가설의 경우 최소한 내적 병합과정에서 2분지 조건을 준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법적인 문장인 것으로 예측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아래 (6a)는 문법적인 중국어 이중 목적어구문이고 (6b)는 다중잔여요소가 나타나는 비문법적인 중국어 이중 목적어공백구문이다.

    (6) a. Zhangsan song gei Li si yi-ben-shu, Xiaoming song gei Laowang
    Zhangsan gave to Li si a-CL-book, Xiaoming gave to Laowang
    yi-ge qianbihe. CL=classifier
    a-CL pencil case
    ‘Zhangsan gave Li si a book and Xiaoming gave Laowang a pencil case.’
    b. *Zhangsan song gei Li si yi-ben-shu, Xiaoming (shi) gei Laowang
    Zhangsan gave to Li si a-CL-book, Xiaoming did to Laowang
    yi-ge qianbihe.
    a-CL pencil case
    ‘Zhangsan gave Li si a book and Xiaoming did Laowang a pencil case.’

    다음으로 초점구 ThreeMI가 좌향 외곽에 놓이는 경우를 보자. Goto & Ishii (ibid.)에 따르면, (4a)는 내적 병합과정에서 2분지 조건을 준수하여 문법적인 문장이다. 문제는 (6b)도 이동 가설의 경우 최소한 내적 병합과정에서 2분지 조건을 준수하기 때문에 문법적인 문장인 것으로 예측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셋째, 본 지원자는 결정성 원리의 핵심체계인 탐색 운영 체계와 해석 층위 체계를 재정립하여(즉, (Goto and Ishii ibid.)가 제안한 결정성 원리를 수정하여) (2a) 문장의 비문법성과 (4b, 5b, 그리고 6b) 문장들의 비문법성 원인을 규명해 볼 계획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Goto and Ishii(2022)는 '병합 입력시 결정성'과 '국면 불가침 조건'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장들의 (비)문법성을 설명한다. 하지만 이 연구자들이 분류하고 있는 국면들 자체만으로는 일부 언어적 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없다. 본 연구자는 Chomsky(2015)의 국면 기준으로 다양한 문장들의 (비)문법성을 설명한다. 나아가 탐색에는 동일한 정보자질이 연이어 나타나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는 것을 관찰하여 Goto and Ishii(2022)의 탐색 조건을 수정하고 있다.
  • 영문
  • Goto and Ishii(2022) explain (un)grammaticality of various sentences based on ‘Determinacy at the input of MERGE’ and ‘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PIC)’. However, only phases they taxonomize into CP, TP, vP, and RP cannot adequately capture some linguistic phenomena. I explain empirical facts using Chomsky's (2015) Phase Theory as an alternative to such a phase taxonomy. Second, Goto and Ishii(ibid.) propose that Determinacy is a binary condition that applies to Search that determines the input/output of MERGE. However, the condition at Search operation cannot capture ungrammaticality of Chinese-gapped double object construction(DOC) and dative construction(DC). I propose ‘a ban on the consecutivity of an identical information feature’ and provide a coherent explanation for the ungrammaticality of the above construc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소주의 이론(Minimalism theory)이란 인간언어에 나타나는 다양한 언어현상들을 일반화하고 가능한 최소한의 원리들을 기반으로 더욱 더 보편・타당하게 설명하려는 이론을 말하며, Chomsky(2008)는 이러한 이론은 아래 (1)처럼 강력최소주의 명제(Strong Minimalist Thesis, SMT, Chomsky 2008)가 기본적으로 전제된다고 주장한다.

    (1) Language is an optimal solution to interface conditions that FL must satisfy.

    (1)은 언어자료는 언어능력(Faculty of Language, FL)이(즉, 언어 인지체계가) 만족시켜야 하는 접속층위들에 대한 조건들(즉, 감각운동체계(sensory motor system, SM)와 개념-의도체계(conceptual-intensional system, SM)가 받아 해석할 수 있는 그런 해석성 정보들만 전송해주는 조건들)에 대한 최적의 해결책이다라고 풀이될 수 있다. 간략하게 기술해보면, 인간 언어가 가지는 연산체계(computational system)는 완벽한(perfect) 또는 효율적(=경제적) 체계(system)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 즉, SMT에 부합하기 위해서 Chomsky, Gallego, and Ott(2019)와 Goto & Ishii(2021)는 내부 병합시 통사체가 중의적이지 않은 유일하고 확정적인 방식으로 작업장에 참여해야 한다는 결정성(determinacy) 원리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전자는 최소 탐색(minimal search) 규칙이 유일한 통사체 내부병합을 유도 확정한다고 주장하며 후자는 이분지 탐색(binary search) 규칙과 해석(Interpretation, INT)층위 규칙이 유일한 통사제 병합을 확정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의 접근법은 모두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구체적인 내용은 계획서에 언급). 본 연구의 목표는 Chomsky, Gallego, and Ott(ibid)와 Goto & Ishii (ibid.)가 제안한 결정성 원리를 수정하여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중심주제인“결정성 원리와 다중요소 이동 현상들: 영어, 한국어, 중국어를 중심으로”에 대한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학문적 그리고 교육적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의 측면에서:

    첫째, 다중 화제요소들과 다중 초점 요소들 사용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언어간의 (비)문법성 대조의 원인을 결정성 원리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기타언어에도 적용해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아래 (1a)의 통사체‘책상을’은 아래 (1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다리’의 소유주이다.

    (1) a. 철수가 책상을 다리를 고쳤다. b. 철수가 책상의 다리를 고쳤다.

    통사체‘책상을’을 기저 생성과 이동 두 가지 기제를 상정해 볼 수 있으며 만일 이동 기제 즉, 소유주가 인상된 것으로 상정할 때 탐색 운영체계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되는지를 포착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의 측면에서:

    실용적인 교육현장에서 언어학습자들로 하여금 다중 화제요소들과 다중 초점 요소들이 허용되는 제약들의 원인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결정성, 대병합, 작업장, 탐색, 최소 탐색, 해석 층위, 이분지 조건, 다중 이동요소들, 생략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