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검색

연구성과물 검색 타이틀 이미지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위한 과학놀이 교재 개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교과교육공동연구_1
연구과제번호 2004-030-B00030
연구기간 2004-09-01~ 2005-09-01
연구책임자 손정우(경상대학교)
공동연구원 조봉제(한성과학고등학교)
이봉우(신관중학교)
연구수행기관 경상대학교
  • 신청시초록
  • 이번 연구를 통해 최종적인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
    ① 과학놀이 학습활동 교재(과학놀이 학습동기 이론, 과학놀이 학습활동 30종 이상의 교수-학습자료, 과학놀이 학습활동 개발 절차)
    ② 과학놀이 홈페이지
    이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진행 계획을 가진다.
    ① 과학놀이가 유발하는 학습동기 분석 (문헌조사연구)
    ARCS 이론과 다양한 학습전략 이론을 바탕으로 과학놀이가 어떤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지를 문헌을 통하여 조사한 다음, 독창적인 과학놀이 학습동기 이론을 세운다. 이때 제시되는 이론은 임시방편적인 것으로 연구의 마무리 단계에서 수업을 통해 재수정될 것이다.
    ② 기존의 과학놀이 활용 사례 분석 (설문조사연구)
    최근 2년간 본 연구원들이 개발하였던 과학놀이 학습활동들이 다음에 제시되어 있으나, 이들에 대한 동기유발적인 측면은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수업환경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으므로,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를 실제 수업을 담당하였던 교사들과의 인터뷰와 설문을 통하여 활용 사례를 확인해본다. 인터뷰의 대상자는 과학완구 활용 수업 활동을 하고 있는 교사 모임을 포함한다. 그 결과로부터 학습활동들을 활용한 사례들을 분석하여 사용된 교수학습기법들을 정리하고 동기유발의 관점에서 재분석한다.
    ③ 다양한 교수학습기법의 적용 (수업에 적용)
    앞서 분석된 교수학습방법들을 정리하여 각 과학놀이에 적합한 교수학습기법을 정하고 이를 수업시간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해 본다.
    ④ 과학놀이 학습활동 교수학습모형 개발 (이론 수립)
    앞서 실행된 학습활동의 수업의 결과 등을 정리하여,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한다. 이때 이 교수학습모형은 POE(예측→관찰→설명) 학습이론처럼 교사들이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로써 제시될 것이며, 이를 널리 보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도안, 그래픽, 표 등)로 구현될 것이다.
    ⑤ 과학놀이 학습활동 표준화 (표준 양식 개발)
    완성된 교수학습모형으로부터 과학놀이 학습활동을 위한 표준화 작업 즉, 학습지도안, 학습지 등에 대한 표준양식을 개발한다.
    ⑥ 과학놀이 학습활동 재구성 및 개발 (학습자료 개발)
    앞서 개발된 과학놀이 학습활동의 표준양식에 따라 기존의 학습활동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학습활동을 포함하여 최소 30종 이상 개발한다.
    ⑦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장 적용)
    새로 개발된 과학놀이 학습자료와 교수학습모형에 따라 현장 수업에 적용하고, 사전 및 사후 검사 등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해 본다.
    ⑧ 과학놀이 학습활동 개발 절차 정리 (교재 개발)
    본 연구에서 과학놀이 학습활동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정리된 개발에 관한 여러 기법과 절차 등을 체계화 시킨다. 우선적으로 소재에 대한 선택과 이를 표준양식에 맞게 변형 개발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⑨ 과학놀이 홈페이지 구축 (연구 결과 보급)
    완성된 이론과 학습자료 및 교재 등을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할 수 있도록 하고, 앞으로 이를 활용할 교사들을 위한 커뮤니티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래서 단기적인 연구가 아닌 현장과 접목된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연구가 되도록 한다.
  • 결과등록초록
  • 학생들이 학교 안팎에서 과학 과목에 흥미를 가지고 공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는 과학교육분야에서 크게 관심을 가져야 할 과제이다. 더욱이 점점 과학교과에 대한 흥미, 특히 물리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통해 과학교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하는 시도는 매우 중요하다. 최근 여러 과학교사 모임이나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이 과학놀이나 완구를 교수-학습 방법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은 새로운 완구를 찾아내고, 그 원리를 알아보는 수준으로 어떤 교수-학습 모형으로 구체화되지 못하였다. 과학완구에 대한 수많은 탐구활동지와 보고서가 만들어져 있지만, 기존의 교수-학습 방법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과학놀이나 완구만이 가진 특성을 살리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점 확산되어 가고 있는 과학완구 활용 수업을 과학놀이라는 범주로 확대하고, 이에 대한 교수-학습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히 완구 중심이 아닌 ‘과학놀이’를 통한 학습동기 유발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하여 과학놀이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자료가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4가지의 학습목표에 따라 상황제시단계, 예측단계, 수행단계, 설명 및 토의단계, 응용 및 확장단계의 5가지 단계로 이루어진 과학놀이 교수학습모형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총 33가지의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고 중학교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들은 관련성, 만족감, 자신감, 주의집중 항목 모두에 대해서 일반적인 수업에 비해서 놀이 수업에 높은 점수를 주었으며, 특히 주의집중 항목에 있어서 상당한 증진을 보였다. 과학놀이 교수학습자료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이 연구과제의 신청시 심사신청분야(최대 3순위까지 신청 가능)
  • 1순위 : 과학교육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
트위터 페이스북
대전청사
(우34113)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
Tel : 042-869-6114 / Fax : 042-869-6777
서울청사
(우06792)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5
Tel : 02-3460-5500 / Fax : 02-3460-5759
KRM 안내센터
Tel : 042-710-4360
E-mail : krmcenter@nrf.re.kr / Fax : 042-861-4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