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한일간 독도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안
An Analysis and Appraisal on the Power Politics and Legal Implications for a Peaceful Settlement of Competing Claims to Tokdo Island between Korea and Japan
이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일간 독도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안 | 1998 년 자유공모과제 | 김영구(한국해양대학교) )의 '연구성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학술지명 사회과학논총 (ISSN : 없음)
발행정보 2000-03-01 / pp. 1 ~ 75
발행처/학회 한국해양대학교
주저자 김영구 (한국해양대학교)
공저자 박배근 (기타기관)
색인어 독도, 영유권, 국제법, 부속 도서, 영유의사, 영역주권, 점유
  • 주초록(메인언어)
  • 1952년 1월 18일, 한국의 「평화선 선언」 이래 제기된 한국과 일본 사이의 독도를 둘러싼 영유권 주장의 대립은, 양국 사이에 풀기 어려운 외교적 현안으로 다루어진지 오래(47년)이다. 한 동안 이 문제는 일본측의 현상유지(現狀維持)를 존중하는 정책과, 한국 측의 문제 회피적(回避的) 태도가 결합되어 하나의 「잠재된 현안」으로 미루어져 올 수 있었으나 1996년이래, 한반도 주변에 새로운 해양법 질서가 가동(稼動)됨에 따라 이제 더 이상 유보(留保), 회피(回避)될 수 없는 당면의 과제로 대두되었다.
    유엔해양법 협약의 본격적인 가동(稼動)에 따라, 이 동북아 지역에만 잔존(殘存)해 있던 자유방임적 해양자원 개발체제를 탈피하여 자원의 개발과 보존을 위한 배타적 경제수역제도를 도입(導入)하고 관련국 간에 해양 협력체제를 새롭게 개편(改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적인 추세(趨勢)를 수용(受容)하기 위해서, 1996년이래 동북아 3국 즉, 한국, 일본, 중국간에는 어려운 협상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좁은 반폐쇄해인 이 동북아 수역에서 200해리 관할수역제도를 도입하는 문제는 필연적으로 경계획정 문제와 이에 관련된 각국간에 잠재(潛在)되어 있던 영유권 분쟁문제들을 부각(浮刻)시키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심각하게 대두(擡頭)된 것이 한국과 일본간의 독도(獨島) 영유권 문제이다.
    일본은 더 이상 현상유지 존중적 태도를 견지하지 않을 것임을 여러모로 천명하였고, 한반도의 주변적 상항은 한국이 현재 견지하고 있는 독도(獨島)에 대한 영유권 행사의 현상유지상태(a status quo)를 파괴 변경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이미 성숙(成熟)되어 있다.
    즉, 한국과 일본간에 협상 타결되어 이미 성립 발효된 한일어업협정에 의하면, 동해(東海)에서의 어업협력체제상, 독도 주변에 소위 중간수역을 설정하여 실질적으로 자원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한일(韓日)간의 공동적 규제가 실시되게 되어 있다. 한편, 1997년 9월 3일 합의, 발표된 미국과 일본간의 “방위협력지침”(Guide Line) 에 의하건대 앞으로 일본은 동북아 지역안보의 주도적 지위를 미국으로부터 인수받는 국가가 될 것이며 아주 필연적으로 한국에 대한 정치적 군사적 영향력은 갈수록 강력해 진다고 보아야 할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유권 문제란 절대로 간단히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므로 현명한 차세대(次世代)에 유보함이 가능한 최선책이라는 장래이월론(將來移越論)이 아직도 가장 현실적인 대안(對案)으로서 우리 한국의 정책입안자나 전문가 그룹에서는 지배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문제로 인식하고 이에 관한 올바른 대안(代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독도의 영유권”에 관하여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양국 정부의 주장은 물론이고 민간 학자의 연구 논문에 있어서도, 독도를 둘러싼 역사적 사실의 인식, 특히 여러 가지 사료(史料)의 해석에 관하여는 현저한 견해의 차이가 노출되어 왔을 뿐 아니라 영역권원(領域權原)에 관한 법리의 구성이나 해석에 있어서까지 그러한 견해의 차이와 대립은 연장되고 있다. 특히 한국 측의 이제까지 독도의 영유권에 관련된 연구 및 주장은 다소의 주관적(主觀的) 편향을 내포한 채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분석에 그쳐서 구체적이고 집요한 일본 측 영유권 주장의 논점을 이론적으로, 또 객관적으로 극복하는 문제의 해결에는 큰 관심을 기울여 오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 문제에 관련된 한일(韓日) 양국의 연구가 이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인식 하에서, 이제까지의 독도에 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독도 문제에 대한 접근을 반성한 기초 위에서 독도 문제의 바람직한 해결 또는 해소의 방법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에 관한 종래의 연구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져 온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국제법상의 일반적인 분쟁해결방법과 영토문제의 해결에 관한 국제적 선례(先例)의 분석을 통하여 모색하고, 관련된 국제법적 법리의 내용을 검토함으로서 이 중요한 영토 문제에 관해 올바른 정책적 접근방향을 모색하고, 한일(韓日) 간의 독도(獨島) 영유권 문제에 대한 평화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 메타작성자초록
  • 해당사항 없음.
  • 부초록(다른언어)
  • Introducing the EEZ regime into this Northeastern sea area to restructuring the old fishery cooperating system, Korea and Japan have decided to shelve up the sovereign issue of Tokto and indulge in the fishery issue only. After some painstakingly and hastily negotiating processes, they have finally arrived on an interim agreement.
    The problem is the Dokto is in the polygonal buffer-zone, named by Korean side, unilaterally, as "Joongan Sooyok". Particularly, in the part of Korea which has been manifested its sovereign title by actual control of this rock island, this kind of agreement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an acceptance of a condominium with Japan over this rock, could be invoked as an evidence of renunciation of its sovereign title.
    Manifestation of the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to the Island of Tok-do had been constituted and reaffirmed with several distinct historical occasions. Only if the facts and truth were not ever twisted, it could be easily proved that up to February 22 1905, when a few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officials illegally annexed it to Japanese Shimanae Province in some clandestine manner, Korean authority has maintained the sovereign title over the Tok-do Island continuously and peacefully. It is evident that this illegal annexation is nothing but a beginning of Japanese colonial invasion upon Korean peninsula only feasible under the framework of the notorious Korea-Japan Protocol which deprived Chosun Dynasty of its sovereign management in most important international affairs. This Protocol was procured on August 22, 1904, just six months before the disposal by the threat of Japanese army. And it is crystal clear that any legal effect of the illegal annexation of Tok-Do Island to Shimanae Province is void ab initio just like all other Japanese territorial jurisdiction over Korean peninsula which she had seized and stolen from Korea and eventually been stripped off upon the unconditional surrender of the Japanese Empire in World WarⅡ, when applying the manifest principle of Cairo Declaration.
    The Japanese side has asserted the 1905 annexation, as an act of occupation, to distinguish the annexation from other acts of invasion which are to be deemed as void under the principle of Cairo Declaration. However, the only territory which can be the object of occupation is that which does not already belong to any State. As far as the Island of Tok-do is concerned, the Japanese authority had declared it twice as the territory of Korean Government, once in 1696, and again in 1877, even before the 1905 annexation. Any manifest act of abandonment by the Korean authority had not been recorded in connection with this controversial island so far. So this particular island was obviously not a possible object of Japanese occupation; it could only be acquired through cession, or by subjugation.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the Island of Tok-do, the interpreting the Article 2 and 3 of the 1951 San Francisco Peace Treaty seem to be the most crucial focal point. Japanese side has insisted that the drafters of the Peace Treaty deleted the term of "Liancourt Rock' which means the Island of Tok-do, from among the list of islands renouncing all the Japanese jurisdictional titles, intentionally because they deemed it as the territory belonged to Japan.
    As matter of a fact, the term of "Liancourt Rock' had been included among the renouncing list up until 5th Draft of the Treaty. But it had been deleted since 6th Draft. Going further since then, the term of "Liancourt Rock' had once been inserted in the list of territories in which the Japanese residual sovereignty were recognized and to be under U.S. trusteeship in the Draft of Article 3 of the Peace Treaty. But because other allies did not concur with the U.S. trusteeship upon this particular island, the term of "Liancourt Rock' had been eventually deleted from the list of Article 3 also.
    Incidently, (to the Japanese side) or meaningfully (to the Korean side), from the very moment of Japanese unconditional surrender, U.S. Government Authority has taken the concrete and consistent policy which restrict the span of Japanese people's activities within very confined areas around the Japanese main islands, with those announced decrees, namely "MacArthur Line" (as early as September 27. 1945) and "SCAPIN 677" ( June 22. 1946). Korean Government has been keeping the whole surrounding sea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Island of Tok-do under its control, utilizing those U.S. decrees, and later with its own sovereign declaration of "Rhee Line, or Peace Line" (Presidential Proclamation of Sovereignty over Adjacent Seas, January 18. 1952).
    Needless-to-say, any annexations of Korea by Japan, including particularly the Island of Tok-do, had been effectively terminated with the Japanese unconditional surrender and the occupation of that territory by the allied armed forces, in August and September 1945. It is the nature of course and the spirits of law which had been arti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1943 Cairo Declaration which were incorporated into Artcle 8 of the Potsdam Declaration and manifestly accepted by Japan with the Instrument of Unconditional Surrender on September 2, 1945. At the moment of the inaugura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of August 15, 1948, this particular part of insular land, the Tok-do Island had been included among the territories which have to be transferred from U.S. Army Forces in Korea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d been exercised its due jurisdictional authority over this particular insular land explicitly, and practically when San Francisco Peace Treaty was entered into force, as of April 28, 1952, by zealously seizing Japanese fishing vessels violating the boundary line.
    As far as the Republic of Korea is concerned, any territorial provision under Paragraph (a) Article 2 of the Peace Treaty, which could have happened to be interpreted as denouncing its insular land jurisdiction which had already been duly established since its inauguration, is not binding o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not a Party to this Treaty, except to the extent to which that country has itself accepted it. This is the rule of law which has already been made reaffirmed in the judicial decision of PCIJ in 1932, with "The Free Zones of Upper Savoy and the District of Gex case".
    In conclusion, strictly speaking in the logic of the law and history, this 0.19 square kilometers islands is obviously belonged to Korea.
    Settling a dispute, particularly the sovereignty dispute, however, could never be accomplished with only those simple logics of the law and history. The EEZ claims of those three Northeastern Asian nations, Korea, Japan and China in the congested semi-enclosed seas, are conflicted each other and frustrated with those sovereignty issues of the controversial islands. These three nations have managed to "initial" and sign, three bilateral fisheries treaties and made one of them entered into force, so far. These provisional pacts, however, have been drafted foolishly vague and intentionally inconsistent to the law. With all possible good will and intelligence to cooperate and enhance the partnerships among the three countries, every earnest and decent effort shall eventually be hampered by these ugly-designed law of the sea schemes.
    So, an analysis and appraisal on the power politics and legal implications for a peaceful settlement of competing claims to Tokdo Island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attempted in this paper, going through a set of the quests into the legal and political factors balanced enough to distinguish the national prejudices aggravated in either side.
  • 목차
  • Ⅰ. 머리말
    Ⅱ.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한 관련된 고려사항
    1.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련된 한국과 일본의 관계진전 개관(槪觀)
    2. 영유권 확보와 주장에 관한 국제법의 기본적 문제
    3. 독도 문제에 관한 한국적 접근 방식의 재검토(再檢討)
    Ⅲ.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한 한국적 대응논리의 객관적 고찰
    A. 한국의 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식에 관련된 논리
    1. 울릉도의 부속 도서로서 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식
    2. 독도(獨島) 명칭(名稱)의 변천(變遷)과 혼동(混同)
    B. 국가 영유의사의 존재와 영역주권의 평화적이고 계속적인 행사에 관련된 논리
    1. 시원적(始原的) 점유로부터 1905년 일본의 독도 편입 직전 까지
    2. 일본의 1905년 독도 시마네 현(縣) 편입, 선점(先占) 주장에 대한 분석
    3. 1905년 이후 1945년 2차대전 종결 까지 일본의 독도에 대한 실효적 점유 효력에 대한 분석
    4. 1945년 이후 독도에 대한 한국의 점유에 관하여
    5. 1952년 San Francisco 강화조약의 효력과 독도의 영유권 귀속에 관하여
    Ⅳ.독도 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안
    1. 독도영유권 문제의 정치적 성격 규명
    2. 독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접근 방법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