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226&local_id=10017590
미국 이민 2세 청소년의 문화 정체성과 미디어의 역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국 이민 2세 청소년의 문화 정체성과 미디어의 역할 | 2006 년 | 박소라(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1130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이민2세의 문화정체성 형성과정을 동료집단, 미디어, 가족관계 내에서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민2세는 그들의 부모세대와는 여러가지 면에서 다르다. 특히 이들은 미국인으로 태어나서 미국사회에 적응(enculturation)하여 살다가 청소년기에 자신이 미국인과 다름을 인지하기 시작하여 그때부터 다시금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해가는 재 적응과정(re-acculturation)을 겪는다. 이러한 과정을 보스톤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2세들을 심층면접하여 밝혀내고자 하였다. 총 21명의 이민1.5세와 2세들을 인터뷰 한 결과, 이민2세들이 청소년기에 단계적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차츰 형성해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민2세들은 미국인으로 정체성을 형성하여 살아가지만 청소년기에 한국과의 대면 후 또는 한국인과의 접촉후에 오히려 자신이 미국인과도 다르지만 한국인과는 더욱 거리가 있음을 발견하여 그때부터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한다. 그러나 한인교포 이민2세 친구집단과 가족관계,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한국의 문화적 청체성을 접하면서 다시금 코리안-아메리칸(Korean-American)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간다. 이 과정을 재적응(re-acculturation)이라고 명명할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이민1세대에서 보여진 적응과정과는 역의 방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때 매우 중요한 사회적 지지 과정으로 동료집단과 가족관계를 들수 있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 등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소비가 문화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building process of second generation Korean-Americans, peer group dynamics and the mass media. Second generations are different from their parents in the sense that they have several stages of development in their identities as Americans, Korean-Americans and Asian-Americans.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American teenager living in the Boston area revealed that not until later in their teens and when they meet with Koreans who come straight from Korea, do they think of their dual identities. But once they encounter Koreans, they feel far from Americans but even further from Koreans.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t this stage goes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termed "re-acculturation" and in this stage, Korean-American peer group serves as a social support mechanism, whereas the Korean media helps them tie themselves together within their peer and fami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building process of second generation Korean-Americans, peer group dynamics and the mass media. Second generations are different from their parents in the sense that they have several stages of development in their identities as Americans, Korean-Americans and Asian-Americans.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American teenager living in the Boston area revealed that not until later in their teens and when they meet with Koreans who come straight from Korea, do they think of their dual identities. But once they encounter Koreans, they feel far from Americans but even further from Koreans.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t this stage goes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termed "re-acculturation" and in this stage, Korean-American peer group serves as a social support mechanism, whereas the Korean media helps them tie themselves together within their peer and famil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재미 한인2세들을 대상으로 서베이와 심층면접을 한 결과 이민2세들의 경우 부모세대와는 달리 문화정체성이 이종문화주의의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미국인으로서 자라나고 미국사회에 적응하면서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동시에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뒤늦게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정체성 형성과정에서 한국미디어와 한인교포 이민2세 동료집단 그리고 가족관계의 역학관계 가운데서 성장기 단계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민자들에 대한 획일적 이론이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적응이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향후 이민정책이나 국내 다문화사회 정책에 충분히 반영되어야하는 새로운 발견이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글로벌 시대 여러 국가를 넘나들며 살아가는 많은 젊은 세대의 다문화주의의 가능성을 엿볼수 있었다.
  • 색인어
  • immigration, second generation, Korean-Americans,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enculturation, assimilation, biculturalism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