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263&local_id=10017651
Brand Personality Scale(BPS)을 이용한 목적지브랜딩 평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B00616 |
선정년도 |
2007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8년 12월 18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8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소비재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척도인 Aaker(1997)의 BPS(Brand Personality Scale)을 이용하여 목적지브랜드를 평가 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즉 목적지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개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
본 연구는 소비재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척도인 Aaker(1997)의 BPS(Brand Personality Scale)을 이용하여 목적지브랜드를 평가 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즉 목적지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개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목적지브랜드개성의 차원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목적지브랜드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다차원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실증조사 결과, BPS는 관광목적지브랜딩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측정에 사용된 척도들은 4개의 차원에 대해 매우 높은 구성 타당성과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행동 및 관광객의 지각과 관련된 외부척도들과의 높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준 타당성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번 연구의 결과는 BPS가 관광목적지에 적용이 될 시에는 기존의 다섯 개 차원이 아닌 4개 차원(Sincerity; Excitement; Sophistication; Ruggedness)만이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어, 관광목적지 브랜드 개성의 차원이 일반적인 서비스나 재화의 브랜드개성의 차원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향후 타당성과 신뢰성이 제공된 관광목적지 BPS의 사용은 기존의 관광목적지 평가를 위한 이미지척도의 대안으로 사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각 도시들의 브랜드 마케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which evaluates destiantion brands using the BP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tried to adopt the concept of brand personality on to tourism destination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multidimensional scale eval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which evaluates destiantion brands using the BP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tried to adopt the concept of brand personality on to tourism destination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multidimensional scale evaluating destination brands, two parctical suveys were conduct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458 gathered quationnaires, the concept of brand personality was found to be valid and reliable for evaluating tourism destinations. 4 dimensions(Sincerity; Excitement; Sophistication; Ruggedness) rather than the original 5 were validated in this study. The suggested scale can be used to compare and evaluate many local authorities' destination branding polic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소비재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척도인 Aaker(1997)의 BPS(Brand Personality Scale)을 이용하여 목적지브랜드를 평가 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즉 목적지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개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
본 연구는 소비재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척도인 Aaker(1997)의 BPS(Brand Personality Scale)을 이용하여 목적지브랜드를 평가 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즉 목적지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개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목적지브랜드개성의 차원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목적지브랜드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다차원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실증조사 결과, BPS는 관광목적지브랜딩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측정에 사용된 척도들은 4개의 차원에 대해 매우 높은 구성 타당성과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행동 및 관광객의 지각과 관련된 외부척도들과의 높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준 타당성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제공된 관광목적지 BPS의 사용은 기존의 관광목적지 평가를 위한 이미지척도의 대안으로 사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각 도시들의 브랜드 마케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 ...
본 연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제공된 관광목적지 BPS의 사용은 기존의 관광목적지 평가를 위한 이미지척도의 대안으로 사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각 도시들의 브랜드 마케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
색인어
-
브랜드개성, BPS, 관광목적지, 목적지브랜딩, 도시브랜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