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7900&local_id=10019549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전략으로서의 선택,최적화,보상(SOC)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B00253 |
선정년도 |
2008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9년 12월 24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9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를 성취하기 위한 생애관리 전략(life management strategies)으로 활용되는 Baltes와 Baltes(1990)의 SOC 척도의 보완과 개정을 통해 한국 중고령 노인에게 적합한 성공적 노화 전략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SOC 원척도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 ...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를 성취하기 위한 생애관리 전략(life management strategies)으로 활용되는 Baltes와 Baltes(1990)의 SOC 척도의 보완과 개정을 통해 한국 중고령 노인에게 적합한 성공적 노화 전략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SOC 원척도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전생애 발달적 관점에서의 성공적 노화 전략 개념과 구성요인들을 고찰하고, 효율적인 삶을 살고 있는 노인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SOC 척도 문항을 보완하고,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한 후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Rasch 모델에 의한 문항검토를 거쳐, 확인적 요인분석과 준거타당도 및 교차타당도 분석을 통해 신뢰타당도가 검증된 한국 노인을 위한 생애관리전략 척도인 SOC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4명의 심층면접대상자와 성별과 연령대를 기준으로 수도권과 충청권의 60세 이상 노인을 할당표집한 600명의 조사대상자 중 문제가 있는 설문을 제외한 592명의 설문을 개발표본과 타당화표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의적 선택 전략’, ‘상실에 기초한 선택 전략’, ‘최적화 전략’, 그리고 ‘보상 전략’ 4요인에 각 5문항씩 총 20문항의 SOC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문항반응을 검토한 결과 4개 요인 모두 응답범주의 적절성과 문항의 적합도를 만족시켰으며, 내적신뢰계수인 Cronbach's alpha값이 .930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적합도가 TLI=.939, CFI=.947, RMSEA=.058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김미혜와 신경림(2005), 그리고 김동배(2008)가 개발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와 삶의 만족도(SWLS)를 상관분석한 결과 보통 정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개발표본과 타당화표본, 그리고 성별, 연령대(60대와 70대 이후)에 대한 교차타당화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다집단 요인분석 방법을 통해 동일성 검정을 한 결과 성별을 제외하고는 측정동일성이 기각되지 않아 교차타당성이 입증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ment of SOC(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Scale for Korean older people as Life-management strategies. In phase 1 of the study, data for the construct and items of SOC(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ment of SOC(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Scale for Korean older people as Life-management strategies. In phase 1 of the study, data for the construct and items of SOC(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Scale for Korean older people)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a purposive sampling group of 24 elderly people.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to the data and from this analysis were emerged four categories and 17 items of life management for successful aging. In phase 2 of the study, 48 items of SOC Scale were translated by bilinguals and professionals reviewed the scale. In phase 3 of the study, 592 cases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300 developmental samples and 292 validity samples. The items were examined exploratorily with the developmental samples and confirmatorily factor analysis with validity samp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ized four-factor structure of SOC Scale, which finally resulted in consisting of 20 items. Four factors are as follows: 'Elective Selection', 'Loss-Based 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Cronbach's alpha estimate of the scale were .930, which confirms that the scale has reliability. This four-factor model exhibited a good fit on the basis of the overall fit measure criteria (TLI=.939, CFI=.947, RMSEA=.058) aquired by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the item analyse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the categories and the fitness of items showed to be appropriate. Moreover, SOC Sca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wo 'Successful Aging Scale for the Korean Elderly'(r=.461, r=436)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r=.319). This proved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And also mlutigroup factor analyses for cross validity shows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four-factor model of SOC Scale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samples(development samples and validity samples) and age group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를 성취하기 위한 생애관리 전략(life management strategies)으로 활용되는 Baltes와 Baltes(1990)의 SOC 모델은 그 중요성이나 적용 영역의 광범위함으로 인해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 적용 가능한 척도가 개발 ...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를 성취하기 위한 생애관리 전략(life management strategies)으로 활용되는 Baltes와 Baltes(1990)의 SOC 모델은 그 중요성이나 적용 영역의 광범위함으로 인해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 적용 가능한 척도가 개발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시대의 성공적 노화 전략 준거틀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이에 기존 성공적 노화 전략으로서의 SOC 척도의 보완과 수정을 통해 한국 중고령 노인에게 적합한 성공적 노화 전략 척도를 개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SOC 원척도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전생애 발달적 관점에서의 성공적 노화 전략 개념과 구성요인들을 고찰하고, 생애관리전략을 통해 효율적인 삶을 살고 있는 노인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SOC 척도 문항을 보완하고,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한 후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Rasch 모델에 의한 문항검토를 거쳐, 확인적 요인분석과 준거타당도 및 교차타당도 분석을 통해 신뢰타당도가 검증된 한국 노인을 위한 생애관리전략 척도인 SOC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4명의 심층면접대상자와 성별과 연령대를 기준으로 수도권과 충청권의 60세 이상 노인을 할당표집한 600명의 조사대상자 중 문제가 있는 설문을 제외한 592명의 설문을 개발표본과 타당화표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의적 선택 전략’, ‘상실에 기초한 선택 전략’, ‘최적화 전략’, 그리고 ‘보상 전략’ 4요인에 각 5문항씩 총 20문항의 SOC 척도를 개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 노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최종 17개의 추가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기존 SOC척도를 번역하여 설문조사 분석한 결과 ‘임의적 선택 전략’, ‘상실에 기초한 선택 전략’, ‘최적화 전략’, 그리고 ‘보상 전략’ 4요인에 각 5문항씩 총 20문항의 SOC 척도를 개발하였다. ...
한국 노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최종 17개의 추가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기존 SOC척도를 번역하여 설문조사 분석한 결과 ‘임의적 선택 전략’, ‘상실에 기초한 선택 전략’, ‘최적화 전략’, 그리고 ‘보상 전략’ 4요인에 각 5문항씩 총 20문항의 SOC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문항반응을 검토한 결과 4개 요인 모두 응답범주의 적절성과 문항의 적합도를 만족시켰으며, 내적신뢰계수인 Cronbach's alpha값이 .930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적합도가 TLI=.939, CFI=.947, RMSEA=.058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김미혜와 신경림(2005), 그리고 김동배(2008)가 개발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와 삶의 만족도(SWLS)를 상관분석한 결과 보통 정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개발표본과 타당화표본, 그리고 성별, 연령대(60대와 70대 이후)에 대한 교차타당화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다집단 요인분석 방법을 통해 동일성 검정을 한 결과 성별을 제외하고는 측정동일성이 기각되지 않아 교차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으며, SOC 척도를 이용한 다양한 후속 연구와 노인 분야의 응용 연구를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또한 SOC 척도의 활용으로 노인들의 생산성과 잠재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예방적인 노인복지정책의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과 예비노인의 성공적 노화 예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개발된 SOC 척도는 건강한 노인 및 병약한 노인 등 전체 노인에 대한 성공적 노화 수준 진단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중년 및 퇴직예비자 등을 위한 노년준비교육과 노인학교 및 평생교육 등 노인사회교육 커리큘럼과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개별적 개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SOC 척도를 통해 생애관리전략 수준을 진단함으로써 개인의 전략 수준을 가늠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접근이 가능해진다.
-
색인어
-
선택 최적화 보상 성공적노화 생애관리전략 노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