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4989&local_id=10047536
일한사전에 나타난 일본어 형용사의 정보 분석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한사전에 나타난 일본어 형용사의 정보 분석 연구 | 2011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고은숙(한국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731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3년 01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3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일본 국어사전에 표제어로 실린 형용사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의 일한사전에 기술된 형용사의 정보를 분석한 것이다. 이에 연구대상인 일본어 형용사 어휘 선정은 일본에서 활용도가 높은 일본 3종의 국어사전(전자파일)에 실린 형용사 전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어휘를 대상으로 한국의 일한사전에 나타나는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를 살펴 분석한 논의이다. ●일한사전의 거시구조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표제어 선정이다. 일한사전의 표제어 선정 기준은 편자의 의도, 사전의 크기, 시대성, 학습용 어휘, 어구성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국어사전 3종에서 표제어로 제시된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의 일한사전에서 표제어로 제시되고 있는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때 문제시 될 수 있는 것은 형용사의 어구조에서 복합어, 파생어를 어느 수준까지 표제어로 인정할 것인지, 그리고 동형어의 배열 순서 등이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연구과정에서 3종의 사전에서 각각 표제어 제시가 다른 형용사 어휘의 예를 찾아 볼 수 있었다. ●미시구조는 표제어 항목의 내부 구조를 의미하며, 각 표제어 항목에 기술된 항목을 뜻한다. 이 부분에서는 일한사전에서 가나(kana)표기, 한자 표기, 문법 정보, 의미기술, 용법, 용례, 관련어, 파생 관계 등을 고찰, 분석하였다. 사실 일본어 의사소통에서 기초적인 지식이 되는 일본어 발음 악센트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사전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3종의 사전에도 이러한 정보 제공은 없다. 단지 『엣센스일한사전』만이 발음정보를 로마자 표기로 제시하고 있다. 이 두 구조 분석을 위해서 기술 정보는 ‘표제어’ ‘표기’ ‘문법 정보(품사)’ ‘의미 기술’ ‘관련어’ ‘파생 정보’ ‘기타’ 항목 등으로 나눠 각각의 사전기술 정보를 살펴 비교 분석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nalyses the Japanese adjectives listed in the Japanese-Korean dictionaries circulated in Korea with focus on the adjectives serving as headwords in Japanese dictionaries. The target adjectives of this study is selected from the 3 most popular Japanese dictionaries. The main part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arguments on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structure of the Japanese-Korean dictionaries circulated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selected vocabularie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macroscopic structure of Japanese-Korean dictionaries is the selection of headwords. The criteria of the selection of headwords in Japanese-Korean dictionaries are the editor's intention, dictionary size, the trend of the times, vocabularies for learning, word formation, and so on.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ses what kinds of headwords are listed in the Japanese-Korean dictionaries circulated in Korea with focus on the adjectives serving as headwords in the 3 most popular Japanese dictionaries. The followings may become the possible issues: the range of compounds and derivatives which can be possible headwords, the arrangement order of homographs, and so on. ●The microscopic structure implies the inner structure and the description of each headword. In this part the followings are the targets of analysis: the kana writing system in Japanese-Korean dictionaries,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system, grammatical information, semantic description, uses and examples of lexical items, related words, derivational relations, and so on. In fact there are few Japanese dictionaries which provides some special information like Japanese pronunciation accents serving as basic knowledge in Japanese communication. Of course, there is no such information in the 3 most popular Japanese dictionaries, which are the targets of analysis in this study. Only Essence Japanese-Korean Dictionary presents the pronunci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Romanization writing system. In order to analyze these two structure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m by investigating descriptive information of dictionaries with respect to the following kinds of descriptive information: headwords, writing system, grammatical information (parts of speech), semantic description, related words, related words, information on derivation, and the other respec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일본 국어사전에 표제어로 실린 형용사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의 일한사전에 기술된 형용사의 정보를 분석한 것이다. 이에 연구대상인 일본어 형용사 어휘 선정은 일본에서 활용도가 높은 일본 3종의 국어사전(전자파일)에 실린 형용사 전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어휘를 대상으로 한국의 일한사전에 나타나는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를 살펴 분석한 논의이다. ▷일한사전의 거시구조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표제어 선정이다. 일한사전의 표제어 선정 기준은 편자의 의도, 사전의 크기, 시대성, 학습용 어휘, 어구성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국어사전 3종에서 표제어로 제시된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의 일한사전에서 표제어로 제시되고 있는지를 조사·분석한다. 여기서 문제시 될 수 있는 것은 형용사의 어구조에서 복합어, 파생어를 어느 수준까지 표제어로 인정할 것인지, 그리고 동형어의 배열 순서 등이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미시구조는 표제어 항목의 내부 구조를 의미하며, 각 표제어 항목에 기술된 항목을 뜻한다. 이 부분에서는 일한사전에서 가나(kana)표기, 한자 표기, 문법 정보, 의미기술, 용법, 용례, 관련어, 파생 관계 등을 분석하기로 한다. 사실 일본어 의사소통에서 기초적인 지식이 되는 일본어 발음 악센트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사전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3종의 사전에도 이러한 정보 제공은 없다. 단지 『엣센스일한사전』만이 발음정보를 로마자 표기로 제시하고 있다. 이 두 구조 분석을 위해서 기술 정보는 ‘표제어’ ‘표기’ ‘문법 정보(품사)’ ‘의미 기술’ ‘관련어’ ‘파생 정보’ ‘기타’ 항목 등으로 나눠 각각의 사전기술 정보를 살펴 비교 분석해 나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일본어 학습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사전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을 위해, 한국에서 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일한사전’ 3종을 선택해 일본 국어사전과 서로 비교·분석하여 일본어 어휘의 정확한 정보 제공과 일본어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한 것이다. ‘일한사전’은 일본어를 한국어로 대응시켜 기술한 대역어 사전이라 할 수 있다. 이 사전의 기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 품사 중 의미 기술에 비교적 상이점이 많은 ‘형용사’를 중심으로 사전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 몇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학문적 기여도-①일한사전에 나타난 일본어 형용사의 정보를 거시구조· 미시구조로 분석함으로써 여러 데이터가 작성이 가능해지며 거시구조 분석을 통해서는 각 일한사전 형용사 표제어의 정확한 데이터가 구축된다. ②형용사의 관련어 정보 분석을 통해 표제어의 의미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형용사의 관련 어휘와 관련어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심한 연구 자료 구축이 가능하다. ③의미 정보 분석을 통해서 얻어지는 결과로는 한국어 형용사의 유의관계와 일본어 형용사의 유의관계를 대조 연구할 수 있는 자료가 마련되어진다. ④종이 사전에 등재된 형용사 어휘 항목의 정보를 활용한 코퍼스를 구축하여 형용사 정보 언어 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⑤3종의 일한사전의 정보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에서 각 사전의 문제점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볼 수 있는 자료가 구축된다. ●교육과의 연계활용-①본 연구결과는 일본어 학습자들에게 일본어 형용사 어휘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마련할 수 있다. 사전에 의존하는 학습자들은 단지 어휘의 의미정보만 습득하는 것이 아니므로, 연구결과로 구축된 형용사 정보 자료는 각 형용사 어휘가 갖는 3종의 일한사전의 미시구조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일본 국어사전과의 정보와도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②일한사전의 형용사 관련어 정보 분석 결과는 일본어 학습자들의 어휘 교육에도 힘을 실어 줄 수 있는 유용한 시소러스 자료 구축이 가능해진다. 형용사의 동의어, 반의어, 유의어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시소러스 자료는 일본어 학습시 작문을 하거나 번역을 할 때 언어 선택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③3종의 일한사전의 용례 정보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의 결과는 의미 정보 기술만으로 이해가 어려운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인 중요한 정보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된다. ④사전의 형용사 정보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통해 사전에 의존하는 학습자들에게 올바른 사전 사용법 지도를 하는 방안으로 활용한다.
  • 색인어
  • 형용사, 거시구조, 미시구조, 정보, 분석, 일한사전, 일본국어사전, 표제어, 표기, 품사, 의미, 용법, 용례, 관련어, 파생, 일본어교육, 시소러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