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구강점막내의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013-E00143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6 개월 (2006년 08월 01일 ~ 2007년 01월 31일)
연구책임자 정한성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구강점막에는 다른 신체의 피부조직과는 달리 털과 땀샘이 없는 대신, 여러 종류의 점액샘이 발달되어 있으며, 구강점막 상피는 어느 부위의 상피보다 강한 재생능력 (regeneration)을 가지고 있어서, 상처의 치유속도가 빠르고, 또한 흉터가 생기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음.
    ♦ 구강점막 상피의 특징인 빠른 재생과 치유능력은 구강점막 상피에 존재하는 줄기세포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 이라는 의견이 오래 전부터 받아들여지고 있음.
    ♦ 치아의 사기질 (enamel)을 만드는 사기질모세포 (ameloblast)는 성장과 함께 퇴화되어 모두 그 특성을 잃게 되어 일부만이 치아의 접합상피 (junctional epithelium)로 남아있게 됨. 이러한 특징으로 충치나 마모, 또는 파절에 의해서 소실된 사기질은 다시 재생되지 못함.
    ♦ 구강내에 존재하며 쉽게 얻을 수 있는 구강점막 상피에서 줄기세포를 동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하게 된다며, 사기질과 같이 성체에서 퇴화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세포를 대량 생산 할 수 있을 것임.
    ♦ 구강상피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사기질모세포나, 중간층 (stratum intermedium)세포로 분화시켜 사기질이 소실된 치아에 새로운 사기질을 침착시키는 방법을 구축하게 된다면, 기존의 충전법을 대신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법이 될 것임.
    ♦ 구강점막 상피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동정하여 배양한 후, 사기질모세포와 같은 재생이 불가능한 세포들로 분화시켜, 세포 치료방법 및 다양한 대체장기 생산에 활용하고자 함.
  • 기대효과
  •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특히 배아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 등 다양한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새로운 세포치료방법을 마련하고 대체장기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음.
    ♦ 구강점막 상피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동정하고 배양하는 기술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는 전무한 상태이며, 유럽과 미국등 서구의 연구진들의 경우에도 뚜렷한 연구결과를 생산하지 못한 것이 사실임.
    ♦ 그러나 우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일본의 경우, Shimono Masaki 교수와 Naoshi Shinozaki 교수 연구팀이 현재 구강점막의 상피세포를 배양하여 각막으로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이러한 구강점막 상피를 이용한 연구기법은 전 세계적으로 최초이며, 구강점막 상피의 줄기세포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연구시설이 없이는 불가능할 것임.
    ♦ 본 연구자는 구강내의 기관인 혀의 발생에 대한 새로운 메카니즘을 Shimono Masaki 교수 연구팀과 함께 연구하여 2005년에 논문을 발표한 경험이 있으며, 구강점막 상피를 각막으로 이용하는 연구의 결과를 치아와 같은 재생이 불가능한 기관으로 확대하고자 함.
    ♦ 현재 본 연구자가 진행하고 있는 바이오 인공치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경우, 다양한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구강점막의 상피 줄기세포를 동정, 배양 그리고 분화시킬 수 있는 기법을 확립하게 된다면, 본 연구자에 의해 확립된 바이오 인공치아 제작기술과 접목시켜 획기적인 세포치료방법과 대체장기생산이 가능할 것임.
    ♦ 나아가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줄기세포의 성질을 이해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국제공동연구의 훌륭한 선례가 될 것임.
  • 연구요약
  • ♦ 성체 구강점막 상피세포의 배양
    ♦ 성체 구강점막에서 상피줄기세포의 확인
    ♦ 성체 구강점막의 상피줄기세포의 분화유도기술 확립
    ♦ 분화세포의 분화상태 및 기능 확인
    ♦ 세포치료법 확립 및 대체장기 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결과 생산

    (1) 성체 구강점막 상피세포의 배양
    - 실험용 쥐의 구강점막과 사람에서의 구강점막을 배양함.
    - 일본의 연구진에 의해 확립된 배양기법을 전수 받음.

    (2) 성체 구강점막에서 상피줄기세포의 확인
    - 실험용쥐와 사람의 배양된 구강점막 상피에서 줄기세포의 특성 확인.
    - 줄기세포의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는 다양한 표지인자를 활용하여 분포위치를 확인.
    - 상피 줄기세포의 표지인자를 이용하여 각막으로 활용하는 실험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일본 연구진의 기술 도입.
    - 각막에서 줄기세포를 확인 할 수 있는 표지인자 (그림 1).
    ① 각막 상피줄기세포를 나타내는 표지인자: p63,
    ② 각막에서 줄기세포에만 나타나지 않는 표지인자: connexin 43
    ③ 각막에서 줄기세포 주변에서 관찰되는 세포의 유무: melanocytes
    ④ 각막에서 줄기세포를 싸고 있는 세포의 유무: SP (side population) cells

    (3) 성체 구강점막 상피줄기세포의 분화유도 기술 확립
    - 본 연구자에 의해 확립된 배아 발생 단계에서 발현하는 형태형성 인자를 이용하여 미분화세포를 분화유도 시키는 기술을 활용함.
    - 치아발생 능력을 가지고 있는 발생 중인 실험용 쥐의 치아간엽조직을 구강점막 상피줄기세포와 결합 (그림 2).
    - 이런 교차결합 방법은 성인의 줄기세포를 이종의 발생조직과 결합시키는 기술임.


    (4) 분화된 구강점막 상피 줄기세포의 분화상태 및 기능 확인
    - 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표지인자의 분포양상을 조직면역화학방법으로 확인함.
    ① amelogenin, enamelin, ameloblastin (사기질단백질).
    ②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사기질의 석회화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
    - 위의 방법으로 인해 사기질모세포로 분화된 상피세포의 사기질 분비능 확인.
    ① 분화된 사기질모세포만을 nude mouse의 콩팥에 이식하여 사기질의 생산 확인.
    ② 조직면역화학방법으로 사기질의 분비 여부 확인.


    (5) 분화유도된 세포의 세포치료방법 및 치아 형성능력 확인
    - 구강점막 상피 줄기세포와 간엽조직을 떼어내지 않음 (그림 3)
    - 그대로 nude mouse의 콩팥에 이식함 (그림 4)
    - 사기질의 형성 여부 확인 (연마표본 제작 후 사기질의 특징적인 구조 확인)
    - 치아의 형성 여부 확인
  • 한글키워드
  • 바이오대체장기,상피줄기세포,사기질모세포 분화,구강점막,치아간엽 조직 재조합,세포치료법,치아 체외배양
  • 영문키워드
  • oral mucosa,tooth organ culture,cell therapy,bioengineered organ,dental mesenchyme recombination,ameloblast differentiation,epithelial stem cell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구강점막(oral mucosa)의 상피는 뛰어난 재생능력을 가진 조직으로 줄기세포(stem cell)가 분포하여 이 치유과정에 관여한다고 예상되고 있다. 성체(adult)의 조직내 분포하는 줄기세포는 손상(injury)을 입었을 때 그 수가 증가하며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강점막에 손상을 주는 세가지 모델, 스크래치(scratch), 화학물질 처리(chemical burn)와 레이저(laser)에 의한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각 모델에서 구강점막이 손상됨을 확인하였고, 재생시간을 다르게 하여 줄기세포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줄기세포는 느리게 세포 분열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BrdU라는 물질을 처리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도 BrdU로 표지된 DNA가 있음을 검출하여 줄기세포를 확인하였다. 각 모델에서 손상을 가한 후, 24, 48, 72시간 후에 BrdU가 남아있는 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이 세포들은 구강 점막 상피의 기저층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를 통해 구강점막의 상피에 재생에 관여하는 줄기세포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구강점막의 손상 모델의 구축과 BrdU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검출 방법은 다른 장기의 재생 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구강점막 상피에 존재하는 줄기세포의 분리와 이를 이용한 구강 내 다른 구조로의 분화. 재생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영문
  • The epithelial cells in the oral mucosa undergoes a rapid wound-healing process without forming any scar. Stem cells in the oral mucosa are expected to involve in the healing process and have a remarkable capacity for regeneration of the tissue. In adult tissue, stem cells are activated by injury and then proliferate through asymmetrical cell division, which one cell transiently amplifies and another remains as a stem cell. Stem cells can be identified by BrdU-labeling method because of their slow-cycling property. Bromodeoxyuridine (BrdU) integrate into newly synthesized DNA and is gradually diluted after each cell division. Therefore, some cells undergoing slow cell cycle contain BrdU-labeled DNA. These cells are named label-retaining cells (LRC) having the stem cell potential. In this study, we used BrdU-labelling method after giving injury to the oral mucosa to confirm the localization of stem cells in the oral mucosa. First, we should construct the wound-healing model in the oral mucosa, therefore we used three models, such as scratch, chemical burning, and laser model. We confirmed injury by treatment of each model, and time dependent regeneration (0, 24, 48, 72 hours, and 1 week). BrdU-labeled cells were detected after 24 hours of healing and these cells remained after 48 and 72 hours. Most of these cells localized in the basal layer of the epithelium and moved forwards the wound area to function in the healing process.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good wound-healing model for oral mucosa research and BrdU-labelling method for stem cell study. We will proceed this project on the basis of these methods and results. We plan to isolate stem cells from oral mucosa and differentiate stem cells into functional cells in further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구강점막(oral mucosa)의 상피는 뛰어난 재생능력을 가진 조직으로 줄기세포(stem cell)가 분포하여 이 치유과정에 관여한다고 예상되고 있다. 성체(adult)의 조직내 분포하는 줄기세포는 손상(injury)을 입었을 때 그 수가 증가하며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강점막에 손상을 주는 세가지 모델, 스크래치(scratch), 화학물질 처리(chemical burn)와 레이저(laser)에 의한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각 모델에서 구강점막이 손상됨을 확인하였고, 재생시간을 다르게 하여 줄기세포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줄기세포는 느리게 세포 분열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BrdU라는 물질을 처리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도 BrdU로 표지된 DNA가 있음을 검출하여 줄기세포를 확인하였다. 각 모델에서 손상을 가한 후, 24, 48, 72시간 후에 BrdU가 남아있는 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이 세포들은 구강 점막 상피의 기저층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를 통해 구강점막의 상피에 재생에 관여하는 줄기세포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구강점막의 손상 모델의 구축과 BrdU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검출 방법은 다른 장기의 재생 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구강점막 상피에 존재하는 줄기세포의 분리와 이를 이용한 구강 내 다른 구조로의 분화. 재생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 내용 및 방법
    구강 점막(oral mucosa) 상피는 상처의 치유속도가 빠르고, 흉터가 생기지 않는 등 강한 재생능력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강점막의 상피에는 줄기세포가 존재할 거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점막 내의 줄기세포가 있음을 확인하고, 구강점막에 가해질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손상 모델을 구축하여 구강점막 내 줄기세포가 치유에 관여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줄기세포의 존재와 구강 점막내의 분포 위치를 확인하고자 bromodeoxyuridine(BrdU)을 이용하였다. 흰쥐에 BrdU를 주입하면 BrdU는 새로 합성되는 DNA로 끼어들어가 분열하는 세포를 표지하게 된다. 일정 기간 주입된 BrdU는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에서는 여러 번의 분열로 인해 DNA상에서 희석되어 나타나지 않는 반면, 줄기세포의 기능을 하는 세포는 느리게 세포 분열하므로 일정기간이 지나도 BrdU가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BrdU가 남아 있는 세포를 label-retaining cell(LRC)라 하고 이 세포는 줄기세포의 기능을 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BrdU를 포함하고 있는 세포가 LRC인지 단순한 분열세포 인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와 이중으로 염색하여 줄기세포의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1) 구강 점막의 손상 모델
    - scratch damage model, chemical burn model(NaOH / HCl), laser damage model
    2) BrdU-labelling method
    - Embryo stage 12 (E12) 시기의 배아를 임신한 흰쥐에 BrdU를 1주간 주사하고, 3주간 chasing하여 LRC를 확인함.
    3) 면역조직화학염색법
    - BrdU,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해 줄기세포를 확인함. DAPI 염색을 통해 대비염색함.

    ▣ 연구 결과
    1) Scratch damage model
    - 손상 후 바로 확인한 결과 (0 시간), BrdU에 의해 관찰되는 세포는 없었음. 또한, 세포 분열의 표지가 되는 PCNA도 검출되지 않음.
    - 손상 후 24, 48, 72시간 후, 구강점막의 손상된 부위에서 적은 수지만 BrdU-labeled cell이 관찰됨. 또한 분열이 활발한 세포도 상피의 기저층 (basal layer)에서 PCNA에 의해 관찰됨.
    - 손상 후 1주 후에도 기저층에서 BrdU가 검출되는 세포가 있음.
    2) Chemical burn model (NaOH / HCl)
    - NaOH와 HCl의 농도별 처리 결과, NaOH 1.0N의 조건이 실험 모델로 적당함을 확인함.
    - 24, 48시간 경과 후, 상피와 결합조직에서 세포분열이 일어나고 있고, 상피 아래부위로 결합조직 세포들이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함.
    - 72시간 재생 후, 상피의 기저층 세포들이 손상부위의 중간까지 이용하고 있음.
    - 1주 후, 기저층 세포들이 손상부위까지 재생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음.
    - 시간대별로 손상된 부위에서 BrdU로 표지된 세포가 상피의 중간층까지 올라와 재생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함.
    3) Laser damage model
    - 1주 BrdU 주사 후 3주간 chasing한 쥐의 구강점막에 sand paper를 이용하여 손상을 가함.
    - 손상 후, 0시간에는 BrdU와 PCNA는 검출되지 않음.
    - 24, 48, 72시간 경과 후, 상처 부위에서 BrdU가 관찰되고, PCNA 또한 구강점막에서 관찰됨.

    ▣ 결론 및 활용방안
    배아의 줄기세포와는 달리 성체에서 존재하는 줄기세포는 각 장기에서 적은 수로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성체의 줄기세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줄기세포의 분포를 확인하고 줄기세포의 수를 늘리는 단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각 장기별로 손상을 주는 모델이 구축되어 있고, 이 실험 방법을 통해 성체줄기세포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강 내 구강점막은 일반 피부보다도 더 빠른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어 줄기세포 연구에 적합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점막의 손상 모델을 통해 줄기세포의 분열을 자극하고 이 세포들이 치유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실험방법과 결과는 구강점막의 손상-치유 모델을 체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구강점막 연구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줄기세포를 동정하는 방법으로 BrdU-labelingl system을 구축하여 다른 장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실제로 본 연구자가 일본의 동경치과대학팀과 본 연구를 구상, 진행하면서 확립한 줄기세포 연구 방법은 귀국 후, 본 연구팀(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서 구강 내 다른 구조물, 치아나 침샘의 줄기세포 연구에 응용되고 있다.
    구강점막 내 상피에 줄기세포의 분포와 치유과정에 관여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이 줄기세포만을 분리하고, 기능을 가진 세포들로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연구로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구강점막, 줄기세포, BrdU, 상처-치유 모델, label-retaining cell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