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353&local_id=10019257
응구기의 초기 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과 전통 문화의 문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응구기의 초기 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과 전통 문화의 문제 | 2006 년 | 이석구(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100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1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응구기의 초기 소설에서 기존의 신화와 전설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내는 작업은 다중적인 기능에 봉사하다. 그 기능 중 하나는 아프리카 현지 문화를 긍정하며 영국 식민 지배자의 권위에 질문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능의 수행은, 구체적인 방법은 다르지만, 또다른 서사 기법인 탈신비화나 합리주의적 담론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화나 전설 담론들이 수행하는 또다른 기능은 영웅적인 민중저항의 전통을 발굴하고 이를 찬양하는 것이다. 키쿠유 예언자들과 전사들이 보여주는 영웅적인 과거는, 비판적으로 사용될 때, (신)식민적 저항의 새로운 민족문화를 벼리어냄에 있어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과거를 저항적 수단으로 여긴다는 점에서 응구기는 "과거를 박제화"하기를 거부한 파농과 같은 입장을 취한다고 생각된다. 네그리뛰드 운동에 대한 비판에서 드러나듯 파농 역시 아프리카 과거를 무비판적으로 찬양하는 전통주의를 거부하였던 바 있다. 저서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에서 파농은 전통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민족문화를 지목하고 이를 해방을 위한 민중의 저항에서 꽃피는 것으로 정의내렸다. 비록 반식민적 민중저항에 대한 파농의 이러한 입장은 Petals of Blood 같은 응구기의 후기작품에서 잘 나타나지만,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이 응구기의 초기작품에서도 예외없이 드러나고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The River Between과 Weep, Not Child 두 초기 소설은 유럽 식민주의자들에 대한 민중의 봉기를 외친 파농의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 연구는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두 소설 모두 해방을 위하여 공동체가 취해야 할 행동이 얼마나 절박한지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응구기의 초기 소설에 대한 본 연구의 이러한 입장은, 와이야키나 응조로게 같은 방향 감각을 상실한 개인들의 심리를 부각시키는 선행연구나 , 교육과 리더십의 문제를 다루는 기성의 응구기 연구와는 차별화된다.
  • 영문
  • The retelling and creation of myths and legends in Ngugi’s early works, serves multiple functions. One is to affirm the local culture and interrogate the British authority, which is also aided, albeit through a different path, by the demythologizing or rationalizing discourses; another function is to unearth and champion the tradition of heroic popular resistance. The tribal past embodied by the Kikuyu prophets and warriors, when used selectively and critically, can be one important resource in forging a new national culture of (neo-)colonial resistance. Not just the pre-colonial past but also certain aspects of the colonial legacy are selectively used for this goal. In refusing to "mummify the past," Ngugi is certainly in line with Fanon who objected to Negritude for its uncritical glorification of the past of Africa.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ism, Fanon in The Wretched of the Earth sought to define national culture as something that blooms out of popular struggles for liberation. Although the Fanonian advocacy of anti-colonial popular struggles is better concretized in Ngugi’s later works such as the reputedly communalist Petals of Blood, Ngugi’s early novels, this paper maintains, are not an exception to the endeavor of searching for the tradition of heroic struggles. Especially both The River Between and Weep, Not Child are not a far cry from Fanon’s call for popular uprisings against the European colonizer in that the two novels emphasize the pressing need for a communal action for independence. This point is where my perspective on Ngugi’s early fictions differs from the general critical view that delves into the psychology of Waiyaki and Njoroge as disoriented individuals, faced with the overwhelming realities of colonial Kenya, or focuses on the issue of education and leadershi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Patrick McGee in Telling the Other asserted that Chinua Achebe’s engagement in postcolonial writing has as its aim "to undo the imperialism of the metaphor." The deconstruction of imperialist metaphor, no doubt, serves to historicize, and thus to restore humanity to, the Africans that were reduced to an evil force in the European literature and historiography. Since ‘undoing metaphorical writing,’ after all, calls forth realist writing, McGee is not very far from Kwame Anthony Appiah when the latter claimed that "the first generation of modern African novels" are "realist legitimations of nationalism." These critics are correct in seeing an ally of African nationalism within the postcolonial African novels of the first stage; yet their view that understands these African novels as a "realistic" or ‘rationalizing’ writing, this paper argues, is not extensive enough to account for their narrative complexity. Appiah also asserted that the early African fictions "authorize a ‘return to traditions’ while at the same time recognizing the demands of a Weberian rationalized modernity." Despite its insightful pointing out of the African dilemma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ppiah’s thesis is too universalizing to do justice to the diverse and complex political agendas of the first-generation African writers.
    This paper argues that the first-generation African writers did employ the strategy of mythologizing (inclusive of both retelling and creating myths) as well as that of demythologizing in their early narra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s the two postcolonial narrative strategies are used in Ngugi wa Thiong'o’s The River Between and Weep Not, Child. The significances and purposes of these strategies in Ngugi’s early novels will be charted through brief comparison with the narrative features of the first novels of other postcolonial African writer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Ngugi exploits both the mythic/mythologizing discourses and the demythologizing/rationalizing discourses for the cause of decolonization, and especially the former discourses should be comprehended as a precursor of the Kenyan author’s Fanonian search for the national culture of resistanc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아체베가 이보Igbo족의 오랜 관습과 제도를 복원하는 것이나 응구기가 키쿠유족의 카메노Kameno와 마쿠유Makuyu 부락에서 벌어지는 할례 의식과 할례 전에 거행하게 되는 성인식second birth rite을 공들여 제시하는 것이나 투투올라가 요루바족의 오랜 신화를 들려주는 것 모두가 민족문화를 복원하고자 하는 탈식민 작가들의 공통된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민족문화'와 '민족주의'는 제3세계의 탈식민 문학이 안고 있는 정치적 아젠다를 분석함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고려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제3세계의 ‘탈식민 문학은 민족주의에 바쳐진 애모의 노래’라는 아마드식의 결론과는 다른 주장을 제시한다. 아프리카의 탈식민 문학에 대하여 본 연구가 취하는 입장은, 아체베와 응구기로 대표되는 아프리카의 작가들은 탈식민 시대의 아프리카가 공통적으로 안고 있었던 ‘민족국가 건설’nation-building이라는 기획에 가장 공감하였을 때조차도 민족 국가의 뿌리를 이루는 전통 문화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탈식민 시대의 아프리카 소설가들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문화적 ‘기원’을 복구하는 작업에 대하여 지대한 노력을 기울였음은 사실이나, 민족의식의 고취나 민족주의의 앙양이라는 코드에만 의존하여 이들의 작품을 해석해내는 작업은 실은 작품의 전체를 설명해낼 수는 없음을 지적함으로써 본 연구는 탈식민 아프리카 문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 특히 민족문화와 민족주의에 대하여 응구기의 초기 소설이 갖는 정치적 입장을 간과했던 선행연구에 대해, 새로운 안목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성의 민족주의에 대한 응구기의 본격적인 비판은 그의 후기 소설에서는 뚜렷한 색채를 띠며 강렬한 어조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응구기의 입장을 초기 소설에서 연구한 논문은 아직까지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가 있다고 생각된다.
  • 색인어
  • Ngugi wa Thiong'o, mythologizing, demythologizing, decolonization, Weep, Not Child, The River Between, narrative strategy, postcolonial, African novel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