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7744&local_id=10016028
정치세대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치세대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황아란(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08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7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제16대 대선에서 주목된 세대와 이념의 중요성이 제17대 대선에서 급격히 약해진 현상은 세대와 이념의 관계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면밀한 재검토를 요한다. 기존의 세대 분석들은 정치세대의 이념성향에 대하여 코호트 효과와 연령효과, 기간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던 점이 가장 큰 한계였다. 본 연구는 민주화 경험에 대한 청소년기의 초기 사회화 효과에 초점을 두고 민주화 투쟁세대와 민주화 성취세대를 구분하였으며, 세 차례의 대선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이념성향에 대한 이들 세 효과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정치세대의 이념성향에는 코호트효과, 연령효과, 기간효과가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주목되는 발견은 민주화 성취세대의 높은 정치참여 성향과 진보적인 특성이었다. 이들은 다른 어떤 정치세대보다 진보성향이 많았고 학력 간 동질적인 특성을 적어도 민주화 이후 15년이 지난 시점인 2002년까지 유지하였다. 그러나 제17대 대선에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비율이 크게 줄어든 현상은, 비록 모든 정치세대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으로 기간 효과를 말해주는 것이지만, 그 영향력이 정치세대마다 다르고, 동일 정치세대 내에서도 학력 간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성은 정치사회화의 코호트 효과에 기인한 것이었지만, 그 지속성은 생애주기적인 요소와 사회 흐름의 시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 영문
  • This study delves into the correlation of the ideological propensity to the political generation in Korea.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n two respects. First, a different criterion is employed in defining and grouping political generations, focusing upon the early political socialization ages between 16 and 20. The so-called, sweeping Democratization generation is re-categorized into two: the democratization realization generation (DRG) and the democratization striving generation. Second, the political generation’s ideological propensity is analyzed by differentiating a cohort effect, age effect, and period effect.
    One critical finding of the analysis is that the DRG is even more liberal than the younger generation.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impact of the period effect var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even within the same generation it appears differently from low to high educational levels. It is the DRG that shows the most drastic change affected by the period effect of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the liberal inclination was prominently losing its ground. As for the DRG’s drastic change, age effects can provide a possible explanation. This generation’s life cycle, which is at the stage of high financial responsibilities, happens to coincide with the national economic decline, therefore the DRG is more susceptible to the period effect, as shown in the 2007 election. This is why within the DRG, the ones with a high school and lower educational level are more likely to show their against toward the poor economic performance of the previous liberal government.
    (keyword: political generation, ideological disposition, cohort effect, age effect, period eff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민주화 경험에 대한 청소년기의 초기 사회화 효과에 초점을 두고 민주화 투쟁세대와 민주화 성취세대를 구분하였으며, 세 차례의 대선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이념성향에 대한 이들 세 효과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정치세대의 이념성향에는 코호트효과, 연령효과, 기간효과가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주목되는 발견은 민주화 성취세대의 높은 정치참여 성향과 진보적인 특성이었다.
    그러나 제17대 대선에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비율이 크게 줄어든 현상은, 비록 모든 정치세대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으로 기간 효과를 말해주는 것이지만, 그 영향력이 정치세대마다 다르고, 동일 정치세대 내에서도 학력 간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성은 정치사회화의 코호트 효과에 기인한 것이었지만, 그 지속성은 생애주기적인 요소와 사회 흐름의 시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분석은 정치세대의 이념성향, 특히 민주화 성취세대가 지닌 진보성이 정치사회화의 코호트 효과에 기인한 것이었지만, 그 지속성은 생야주기적인 요소와 사회 흐름의 시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제17대 대선에서 민주화 성취세대의 이념성향이 크게 변화된 것은 생애주기 요인으로 생활경제의 부담이 커지는 시기에 국가경제와 개인 경제가 어려워진 이유도 있을 것이다. 이는 또 경제 악화에 따른 위기의식이나 불만이 특히 고졸이하의 사람들에게 매우 높았다는 점에서도 진보정권의 경제 실정이 이념분포의 변화를 가져오는 주요 요인이었음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민주화 세대에 중점을 두고 민주화 성취세대와 민주화 투쟁세대로 구분하여 이념적 정치성의 차별성과 동질성을 검증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각 정치세대가 공유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정치사회화의 초두 효과 역시 면밀히 살핌으로써 정치세대를 세분화할 수도 있다고 본다. 특히 연령 효과를 통제한 상황에서 기간 효과가 각 정치세대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력뿐 아니라 소득 구분에 의한 정치세대 내부의 동질성 또는 분화의 가능성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 색인어
  • 정치세대, 이념성향, 코호트 효과, 연령효과, 기간효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