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역문화특성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사회 생활환경 모형개발 기초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71-C00009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0 개월 (2009년 05월 01일 ~ 2010년 02월 28일)
연구책임자 최목화
연구수행기관 한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강동진(경성대학교)
김성일(고려대학교)
나종혜(한남대학교)
이영미(한남대학교)
류제홍(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
신화경(상명대학교)
최령(연세대학교)
이수진(연세대학교)
변혜령(상명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사회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문화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모형 개발을 위한 디자인매뉴얼 개발하고, 이의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는 농어촌지역의 문화특성을 반영한 양질의 생활환경 공급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 농어촌 거주자들의 지속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지역문화 특성의 반영을 통하여 개성과 매력있는 지역사회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하며 도시민들에게는 아름답고 활기찬 농어촌지역으로의 이주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귀농세대의 성공적인 농어촌생활 정착을 위하여 자녀양육 및 가사부담 등 농어촌생활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생활환경을 계획 방향 제시하여 젊은 세대의 농어촌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기초연구로서 당해연도 연구목적은 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 생활환경 모형개발을 위한 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디자인매뉴얼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름답고 활기찬 농어촌지역사회는 지역문화 특성이라는 소프트웨어(Soft-ware)와 그곳에 살고 있는 또는 살기를 원하는 사람에 대한 휴먼웨어(Human-ware), 그리고 공간 및 생활환경 특성의 하드웨어(Hard-ware)가 조화롭게 융합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을 기본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생활환경 디자인매뉴얼은 휴먼웨어(사람)․소프트(문화)․하드웨어(공간/생활환경)가 융합된 하나의 모형시스템으로 지역문화 특성에 맞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적용가능한 도구(Tool)를 의미한다.
  • 연구요약
  • 정주인구의 감소와 함께 남아있는 인구의 초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일부 자연마을이 소멸될 위기에 있는 등 농어촌지역의 인구공동화 현상과 활력상실이 심각한 상황에 이다. 그러나 농어촌은 농어업, 역사, 전통문화, 생활, 자연, 경관 등으로 형성되어있고 이러한 유형 혹은 무형의 자원이 존재하는 농어촌의 생활환경은 지속적인 발전을 제공하는 기초이다. 그러므로 고령화, 저출산, 저생산성 등으로 활기를 잃어가고 있는 농어촌사회가 지역의 유, 무형 자원을 활용하고 아름다운 지역문화를 계승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생활환경을 농어촌지역문화를 반영하도록 잘 디자인해야 한다. 즉, 역사, 예술, 생활, 경관 등의 지역문화를 토대로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분명히 하고 이를 통해 지역특성이 살아있는 개성있는 농어촌지역을 만들어야 한다.
    최근, 농어촌지역의 활성화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젊은 세대의 귀농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그리고 베이비 붐 세대를 중심으로 한 인구의 농어촌이주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생활주기 단계상 가족확대기에 속하는 20~30대 청년층의 귀농 움직임이 서서히 확산되고 있다. 농어촌으로 이주하는 귀농세대가 성공적으로 농어촌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본생활단위인 생활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은 미래의 거주자(귀농세대) 인구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서 계획해야 한다. 특히, 새롭게 유입하고자하는 젊은 세대의 다양한 생활양식(life style)과 생활주기(life cycle), 그리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활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농어촌지역 생활환경의 개발은 앞으로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하고 절실한 과제이다. 농어촌지역에서 자녀양육의 부담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좋은 양육환경을 형성함으로써 젊은 세대들을 농어촌지역으로 유입하는 유인가를 마련해야 한다. 아동의 신체 및 정서발달 특성에 적합하고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바람직한 양육환경은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 사회적 교류, 학습 등 다양한 측면이 생활환경 안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망을 형성할 때만 가능하다. 농어촌지역사회의 생활환경은 바람직한 자녀양육환경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사회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문화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모형 개발을 위한 디자인매뉴얼 개발하고, 이의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는 농어촌지역의 문화특성을 반영한 양질의 생활환경 공급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 농어촌 거주자들의 지속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지역문화 특성의 반영을 통하여 개성과 매력있는 지역사회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하며 도시민들에게는 아름답고 활기찬 농어촌지역으로의 이주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귀농세대의 성공적인 농어촌생활 정착을 위하여 자녀양육 및 가사부담 등 농어촌생활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생활환경을 계획 방향 제시하여 젊은 세대의 농어촌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기초연구에서는 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디자인매뉴얼 개발을 위한 지역문화 특성에 맞는 생활환경을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툴(Tool)로서 휴먼웨어(사람)․소프트웨어(문화)․하드웨어(공간/생활환경)가 융합된 하나의 모형시스템을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주거생활환경계획, 건축/도시계획, 커뮤니티디자인, 시각문화, 아동/프로그램 분야의 전문가들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융합된 모형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커뮤니티,단지,지역,문화,사용자,귀농세대,생활주기,생활스타일,아동,농어촌지역,주거환경,생활환경,디자인매뉴얼,마을,휴먼웨어,하드웨어,삶의 질,활성화,지속가능,소프트웨어
  • 영문키워드
  • culture,life cycle,re-farmer,life style,children,rural districts,revitalization,sustainable,quality of life,community,software,humanware,hardware,design manual,living environment,housing,resident,village,tow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사회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모형 개발을 위한 디자인매뉴얼을 개발하고, 이의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는 농어촌지역의 문화특성을 반영한 양질의 생활환경 공급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 농어촌 거주자들의 지속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지역문화 특성의 반영을 통하여 개성과 매력있는 지역사회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하며 도시민들에게는 아름답고 활기찬 농어촌지역으로의 이주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귀농세대의 성공적인 농어촌생활 정착을 위하여 자녀양육 및 가사부담 등 농어촌생활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생활환경을 계획 방향 제시하여 젊은 세대의 농어촌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기초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o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 현황 파악
    o분야별[휴먼웨어·소프트·하드웨어] 연구방법, 연구내용의 타당성 및 적정성 검토
    o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디자인매뉴얼 개발을 위한 각 분야별 통합 모형시스템 모색
    o통합 모형시스템의 사례 적용 가능성 타진 및 개발 방향
    본 기초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추진되었다.
    o문헌조사 : 농어촌지역 관련 정책/기준 및 법률과 통계자료를 검토하고, 농어촌지역의 문화, 역사, 거주자 특성, 생활환경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 자료들을 수집, 검토.
    o국내사례조사(현장조사·면담조사) : 농어촌지역의 문화, 거주자, 생활환경 특성을 보다 명확하기 파악하기 위해 농어촌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농어촌지역의 문화, 역사, 프로그램, 거주자, 공간 및 생활환경, 생활 특성 등 현장에서 습득이 가능한 자료를 수집하고 거주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 실시.
    o국외현장조사 : 우리와 같은 사회현상을 앞서 경험하고 있는 일본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농어촌지역 활성화 정책 및 살기좋은 농어촌지역만들기 방향에 대해 조사하고, 농어촌지역 사회 개발 사례를 대상으로 벤치마킹을 실시, 시사점 도출.
    o설문조사 : 지속가능한 농촌지역의 생활환경을 파악하기에 앞서 미래 사회주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농촌지역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설문조사 실시.
    본 연구결과의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o지역전문가 및 지역리더의 양성 : 지역을 개발하는 일은 다양한 분야의 이해를 필요로 함. 지역은 자연, 역사, 생활, 경제, 경관, 교육, 복지 등 다양한 요소와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복합공간으로 이러한 다양한 요소와 시스템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지역전문가 및 지역리더 양성에 활용할 수 있음.
    o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융합 또는 통섭의 개념을 적용하여 생활환경을 소프트웨어(사회적 환경), 휴먼웨어(인문환경), 하드웨어(물리적 환경)의 통합과정을 통해 계획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소프트웨어(사회적 환경), 휴먼웨어(인문환경), 하드웨어(물리적 환경)의 통합이 생활환경에 적용해야 하는 필요성 및 중요성을 건축, 주거학, 실내디자인, 제품디자인, 산업디자인 등 디자인 관련 전공 학생들뿐 아니라 사회학, 아동학, 가족학, 문화인류학 등 인문사회 분야 전공학생들에게도 충분히,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함.
    o농어촌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 : 농어촌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지역주민, 외부지원자(NPO, 사회적 기업, 지역전문가 등), 행정/정책가 등으로 구성된 사회적 지원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농어촌지역의 가치를 보존, 재생, 상승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영문
  •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it a design manual for the development of a living environment model, which reflects the specific regional culture, as a plan to develop and revitalize sustainable rural communities, and to discover ways to commercialize the model. This design manual will prepare a sustainable development foundation for the rural communities by supplying quality living environments that reflects the regional culture, and it will contribute for the continuous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lso, as the design manual constructs unique and attractive rural communities through reflecting the regional culture, residents of the area will take pride in their district and this will encourage urban dwellers to move into these beautiful and vibrant rural environment.
    Since the design manual suggests a living environment plan. which can reduce burdens of the rural life including a family nursing and housework, it will help people who are returning to farming to successfully settle down, and induce the younger generation to move into the rural district. Thus,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for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Here ar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primary research:
    o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rural living environments.
    oExamine methodologies of Humanware, Software and Hardware, and confirm the validity and adequacy of contents of the study.
    oSeek an integrated model system for each category, Humanware, Software and Hardware, to develop a living environment design manual which reflects the character of the regional culture.
    oExamin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an integrated model system to real environments and its development strateg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imary research, following methods were used.
    oLiterature Review: Examine policies and legal standards of rural communities, and collect and review related research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e, history, characters of residents, and living environments of rural communities.
    oDomestic Case Study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e, history, characters of residents, and living environment of rural communities more in depth, we will visit the area and collect items and interview the residents.
    oInternational Field Study: Investigate revitalizing policies of rural communities in Japan, and benchmark social development cases of the area and draw their implications.
    oSurvey Research: Prior to the comprehension of sustainable rural community living environments, conduct surveys to college students to understand general awareness regarding the rural communities.
    The plans for applying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oTraining Regional Experts and Leaders: To develop a region, it requires understandings of various fields. A region is a integrated space consisted of several elements and systems such as the nature, history, living environments, economy, education and the welfare system; these elements and systems can be used to train regional experts and leaders who can understand and apply them properly.
    oApply the new paradigm of the twenty-first century, a concept of unification and consilience. With this concept, we will provide examples, which were planned through an integrating process of Software(Social Context), Humanware(Human Context), and Hardware(Physical Environment); these examples will suggest easily understood information that the integration of the three categories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be applied to our living environments, not only to design major students but also to students of humanities.
    oConstruct a socially supportive system for sustainable rural communities: By preparing the socially supportive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residents, outside-supporters(NPO, socially ethical corporation, regional experts etc.), administrators and policy-makers, we expect to preserve, reform and increase the value of rural commun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정주인구의 감소와 함께 남아있는 인구의 초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일부 자연마을이 소멸될 위기에 있는 등 농어촌지역의 인구공동화 현상과 활력상실이 심각한 상황에 이다. 그러나 농어촌은 농어업, 역사, 전통문화, 생활, 자연, 경관 등으로 형성되어있고 이러한 유형 혹은 무형의 자원이 존재하는 농어촌의 생활환경은 지속적인 발전을 제공하는 기초이다. 그러므로 고령화, 저출산, 저생산성 등으로 활기를 잃어가고 있는 농어촌사회가 지역의 유, 무형 자원을 활용하고 아름다운 지역문화를 계승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생활환경을 농어촌지역문화를 반영하도록 잘 디자인해야 한다. 즉, 역사, 예술, 생활, 경관 등의 지역문화를 토대로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분명히 하고 이를 통해 지역특성이 살아있는 개성있는 농어촌지역을 만들어야 한다.
    최근, 농어촌지역의 활성화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젊은 세대의 귀농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그리고 베이비 붐 세대를 중심으로 한 인구의 농어촌이주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생활주기 단계상 가족확대기에 속하는 20~30대 청년층의 귀농 움직임이 서서히 확산되고 있다. 농어촌으로 이주하는 귀농세대가 성공적으로 농어촌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본생활단위인 생활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은 미래의 거주자(귀농세대) 인구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서 계획해야 한다. 특히, 새롭게 유입하고자하는 젊은 세대의 다양한 생활양식(life style)과 생활주기(life cycle), 그리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활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농어촌지역 생활환경의 개발은 앞으로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하고 절실한 과제이다. 농어촌지역에서 자녀양육의 부담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좋은 양육환경을 형성함으로써 젊은 세대들을 농어촌지역으로 유입하는 유인가를 마련해야 한다. 아동의 신체 및 정서발달 특성에 적합하고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바람직한 양육환경은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 사회적 교류, 학습 등 다양한 측면이 생활환경 안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망을 형성할 때만 가능하다. 농어촌지역사회의 생활환경은 바람직한 자녀양육환경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농어촌지역사회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문화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모형 개발을 위한 디자인매뉴얼 개발하고, 이의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는 농어촌지역의 문화특성을 반영한 양질의 생활환경 공급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 농어촌 거주자들의 지속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지역문화 특성의 반영을 통하여 개성과 매력있는 지역사회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하며 도시민들에게는 아름답고 활기찬 농어촌지역으로의 이주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귀농세대의 성공적인 농어촌생활 정착을 위하여 자녀양육 및 가사부담 등 농어촌생활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생활환경을 계획 방향 제시하여 젊은 세대의 농어촌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기초연구에서는 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한 생활환경 디자인매뉴얼 개발을 위한 지역문화 특성에 맞는 생활환경을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툴(Tool)로서 휴먼웨어(사람)․소프트웨어(문화)․하드웨어(공간/생활환경)가 융합된 하나의 모형시스템을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주거생활환경계획, 건축/도시계획, 커뮤니티디자인, 시각문화, 아동/프로그램 분야의 전문가들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융합된 모형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융합 또는 통섭의 개념을 적용하여 생활환경을 소프트웨어(사회적 환경), 휴먼웨어(인문환경), 하드웨어(물리적 환경)의 통합과정을 통해 계획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소프트웨어(사회적 환경), 휴먼웨어(인문환경), 하드웨어(물리적 환경)의 통합이 생활환경에 적용해야 하는 필요성 및 중요성을 건축, 주거학, 실내디자인, 제품디자인, 산업디자인 등 디자인 관련 전공 학생들뿐 아니라 사회학, 아동학, 가족학, 문화인류학 등 인문사회 분야 전공학생들에게도 충분히,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생활환경 디자인매뉴얼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휴먼웨어-하드웨어의 통합모형시스템 개발과정을 통하여 건축학, 주거학, 실내디자인, 문화인류학, 가족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등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현실적이며 체계적인 접근 방법론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각과 분야의 융합된 사고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교육과정에 접목하여 점점 전문화, 세분화되어가는 실무영역에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융합된 지식과 사고로 미래지향적 사회요구에 대응하도록 한다.
    2) 사회적 기여도
     농어촌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
    농어촌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지역주민, 외부지원자(NPO, 사회적 기업, 지역전문가 등), 행정/정책가 등으로 구성된 사회적 지원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농어촌지역의 가치를 보존, 재생, 상승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농어촌지역사회로의 귀농 및 귀촌 촉진
    농어촌에서의 새로운 생활에 대한 불안으로 귀농, 귀촌을 망설이게 된다. 단순히 주택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농어촌에서의 생활, 문화를 전제로 한 디자인매뉴얼을 통해 양질의 생활환경의 제공과 함께 공감대 형성을 유도하여 귀농 및 귀촌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즉, 좋은 생활환경은 농어촌으로의 인구유입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농어촌지역의 재생과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잘 정리되고 조화된 경관가치 conjoint analysis 경관의 경제적 가치를 파악한 것임. 즉, 모델도시가 아닌 가상의 주택지에 있어 조건 설정을 하고, 컨조인트분석을 에 의한 분석으로 경관에 관한 규제유도조치에 의한 경관형성의 가치분석을 한 것임.
    출처 www.mlit.go.jp/crd/city/plan/townscape/pdf/070615kachi.pdf


    작성한 사진에 따라 건축물의 높이, 색채, 식물의 양이 변화한 경우를 상정하여 경관형성의 가치를 분석한 결과, 평균 지불 의사액의 합계는 약 958만엔으로 주택구입가 3000만엔의 약 30%에 상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양질의 주택과 그들의 조화로 이루어진 경관은 주택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이 기대된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지역전문가 및 지역리더의 양성 : 지역을 개발하는 일은 다양한 분야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지역은 자연, 역사, 생활, 경제, 경관, 교육, 복지 등 다양한 요소와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복합공간으로 이러한 다양한 요소와 시스템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지역전문가 및 지역리더 양성에 활용할 수 있다.
    ○ 지역주민 및 지역 유입 주민 교육과정 : 지역문화 특성이 반영된 농어촌지역 생활환경에서 소프트웨어(사회적 환경), 휴먼웨어(인문환경), 하드웨어(물리적 환경)의 통합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역사회의 생활환경 계획에 거주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4) 농어촌지역 활성화 정책과의 연계 활용 방안
    ○ 농어촌 뉴타운 조성사업 : 농어촌의 지속적인 성장을 주도할 핵심인력양성사업의 하나로 고령 농어업인의 도시 거주 30∼40대 자녀를 농어촌으로 유치하여 지역 농산업의 핵심인력으로 성장토록 지원하고 이를 위해 농어촌 뉴타운을 조성하여 도시보다 쾌적한 생활환경을 마련하고자하는 농어촌 뉴타운 조성사업의 주거, 마을 및 단지, 지역을 포함한 생활환경 모델로 활용
    ○ 전원마을조성사업 : 농어촌지역에 쾌적하고 다양한 형태의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도시민의 농촌유입 촉진 등에 의한 농촌인구 유지 및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자하는 전원마을 조성사업의 생활환경 모델로 활용
    ○ 농촌마을 종합계획사업 : 농어촌마을의 경관개선, 생활환경정비 및 주민 소득기반확충 등을 통해 살고 싶고, 찾고 싶은 농어촌 정주공간을 조성하여 농어촌에 희망과 활력을 고취함으로써 농어촌지역사회를 유지 도모하고자하는 농촌마을 종합계획사업의 생활경 모델 및 교육모델로 활용
    ○ 미래 농어촌지역의 활력을 유지하고 거주자의 삶의 질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환경기반마련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 색인어
  • 생활환경, 주거환경, 마을, 단지, 지역, 문화, 사용자, 귀농세대, 생활주기, 생활스타일, 아동, 농어촌지역, 활성화, 지속가능, 삶의 질, 커뮤니티, 소프트웨어, 휴먼웨어, 하드웨어, 디자인매뉴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