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정원문화로 본 한․중 전통생활미학 탐구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71-A00016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9월 01일 ~ 201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동욱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심우영(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최종인(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김태한(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이행렬(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김준연(나사렛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중장기적인 연구목적을 기반으로 하여 2010년도에 시작할 연구목적을 각각의 영역별로 수립한 것은 다음과 같다.

    구분
    연구총괄
    (국문학분야)
    중문학 분야
    영상미학 분야
    조경학 분야
    건축학 분야
    2010년도
    한국의 정원과 관련한 시문․고문헌 등의 조사수집과 전통실용미학의 해석
    소주의 4대 정원과 관련된 고문헌의 수집과 번역, 시문 해석을 통한 전통생활미학 탐구

    한중 양국의 정원과 관련한 시점과 공간에 의한 영상미학의 창작활동
    한중 양국의 정원과 관련한 경관특성, 구성요소 등 전통실용미학의 비교 분석
    한국과 중국의 정원건축유형과 채색의 특성에 의한 전통실용미학의 비교 분석.

    연구총괄(국문학분야): 한국의 정원과 관련한 시문․고문헌 등의 조사수집과 전통실용미학의 해석
    중문학 분야 : 소주의 4대 정원과 관련된 고문헌의 수집과 번역, 시문 해석을 통한 전통생활미학 탐구
    영상미학 분야 : 한중 양국의 정원과 관련한 시점과 공간에 의한 영상미학의 창작활동
    조경학 분야 : 한중 양국의 정원과 관련한 경관특성, 구성요소 등 전통실용미학의 비교 분석
    건축학 분야 : 한국과 중국의 정원건축유형과 채색의 특성에 의한 전통실용미학의 비교 분석.
  • 연구요약
  • ‣ 한국과 중국의 정원을 통해서 본 인문학과 전통생활미학 연구
    이런 점들이 모두 인문학적 요소인데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나라와 지역과 시대에 따라서 그 특징을 달리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문헌과 경관을 비교 고찰하여 큰 범주 내에서 한국과 중국 정원의 인문학적 특징을 찾고, 이어서 이들 정원문화를 통하여 양국의 전통실용미학의 지식체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한국과 중국의 정원을 통해서 본 영상학과 전통생활미학 연구
    사진영상의 창작기법을 전통적인 정원경관의 경영방법 또는 산수화의 표현방법에서 그 모티프를 발견하고자 하며, 정원의 作庭者와 이것을 바라보는 감상자의 사이를 연결하는 매체로서의 영상미학을 창작원리로 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작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상미학이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어떻게 전달될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본다는 점에서 정원이 갖는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의 누정과 중국의 정원을 통해서 본 경관학과 전통생활미학 연구
    한국과 중국은 풍토와 자연관과 산물이 다르기 때문에 의경의 개념도 각기 다르게 적용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의 정원과 중국의 정원, 특히 같은 시대라는 사상적, 문화적 배경을 함께 하는 공시적 관점에서 비교할 것이다.
    ‣ 한국과 중국의 정원을 통해서 본 건축디자인의 전통생활미학 연구
    본 연구는 동양의 자연관을 담고 있는 전통문화의 정수라고 할 정자건축을 중심으로 중국과 한국의 건축형태와 색채를 비교하여 전통생활의 미학 특성을 추출하고자 한다. 채색의 경우 단청법의 종류 및 부위별 시채법, 주요 문양으로 구분하여 특성을 도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정체성 및 생활 미학을 발견하게 된다.
    ‣ 한국과 중국의 정원을 통해서 본 생태조경디자인과 전통생활미학 연구
    현대에 와서는 자연과 괴리된 초고층 빌딩, 아파트 등 우리의 거주환경은 과거보다 훨씬 밀도가 높고 기능적이나 콘크리트와 철근을 이용한 건축으로 인해 자연과는 거리가 먼 기계적인 형태로 구축되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전통정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태적 조경요소들이 각각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생태환경건축 차원에서 비교분석하여 현대 조경디자인에서 활용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여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한국정원,미학,정원문화,디자인,전통건축색채,영상미학,조경학,원림,중국정원,전통실용미학,전통지식
  • 영문키워드
  • traditional architectural color,landscaped garden culture,chinese garden,traditional practical aesthetics,aesthetic,traditional knowledge,landscape,garden,photography,korean garden,desig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정원문화 속에 포함된 전통생활미학을 주제로 하여 그에 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한국과 중국을 비교 연구한다는 점에서 비교문화적인 관점을 갖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 정원의 경우 소쇄원, 추원재, 독락당과 초간정을 답사하였으며, 정원의 구성요소와 수공간, 관련 시문과 주련 등을 조사 수집하여 인문적 상상력 속에서 어떻게 정원 공간이 구성되어지고, 환경과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하여 상호 토론하였다. 그 결과는 ‘일체다원적 지역문화와 전통생활미학’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통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는데, 인문학 분야에서는 조선조 누정에 나타난 시문으로 통해 본 반가의 생활미학과 인문학적 상상력이라는 내용으로 발표되어졌으며, 이공학 분야에서는 전통생활공간 속 지식체계의 과학적 접근, 친환경디자인으로의 적용, 친환경적 기후디자인으로의 모색 등과 같은 내용으로 발표되어져 상호간 토론이 이루어졌다. 또한 중국의 정원문화에 대하여는 강남지역의 소주지방에 있는 졸정원, 창랑정, 유원, 사자림을 답사하고 여기에 나타난 중국의 생활미학을 졸정원 내의 건축물 명칭과 전통생활미학이라는 내용으로 발표가 이어졌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정원을 통하여 파악된 생활미학은 모두 그 나라와 지역의 생태환경 특성에 따라서 강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중국 강남의 경우 기후 요인에 의해 수공간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정원 구성요소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물에 대한 다양한 활용방식은 인문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여러 문인들과 문인화가, 직업화가들에 의해 그려지고, 읊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에는 사림문화의 독특한 형태로 출처관에 따른 은둔생활과 학문을 위한 수양공간으로서 정원이 조성되어졌으며, 자연 그 자체 속에 융화되어지는 형태로 정원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두 나라간의 정원을 통하여 그들이 영유하였던 생활 속에는 독특한 생활미학이 담겨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논문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또한 씨앗형 과제의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새싹형으로 발전시켜 인문학적 상상력과 생활공간의 관계를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밝히고, 그 실용적인 적용을 기하고자 한다.
  • 영문
  • We have made progress a basic research on the subject of the traditional aesthetics of everyday lives embodied in garden culture. Our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that our study has compared Korea with China from the comparative culture point of view. We made a field investigation on Korean gardens such as Soswewon, Chuwonjae, Doklakdang, and Choganjeong, surveyed the structure elements of garden and ‘waterspace', collected related writings, poems, and verse couplets carved or written on pillar tablet, and discussed on how humanistic imaginative power effected on the construction of garden space and related to the environment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was discussed more specifically through a seminar 'China's Local Cultures in terms of the Pluralism in Unity and Its traditional Aesthetics of Everyday Lives'. In humanities section, read an essay entitled 'The Everyday Life Aesthetics of Noble Families and Humanistic Imaginative Power Viewed from Proses and Poems Inscribed on Many-storied Building and Pavilion in the Choson Dynasty'. In science and engineering section, many subjects of essays were read such as 'The Scientific Approach of Architectonic Embodied in Traditional Life Space', 'Applying as Echo-sounding Designs', 'Searching as Echo-sounding Climatic Design'. Finally, as to China's garden culture, read a essay reporting a field survey on Suzhou gardens in Jiangnan region such as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The Surging Waves Pavilion, The Lingering Garden, and The Lion Grove Garden. The essay focused on the traditional aesthetics of everyday lives embodied on the names of buildings of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The aesthetics of everyday lives grasped through the gardens of Korean and China shows that each aesthetics strongly received the influence of its surrounding ecosystem. For example, waterspace functioned as an important structural element in the Jiangnan region of China because of its climatic elements and various methods of practical use of water stimulated the humanistic imaginative power of many literati and painters to produce their works of art. In the case of Korea, gardens were constructed as the space for the hermit life and academic training, peculiar to Korean's confucian culture. Korean gardens are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in that Korean garden presents in the form of perfect harmony with nature. Consequently, we could know that each culture embodies their unique aesthetics of everyday lives on their garde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정원문화 속에 포함된 전통생활미학을 주제로 하여 그에 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한국과 중국을 비교 연구한다는 점에서 비교문화적인 관점을 갖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 정원의 경우 소쇄원, 추원재, 독락당과 초간정을 답사하였으며, 정원의 구성요소와 수공간, 관련 시문과 주련 등을 조사 수집하여 인문적 상상력 속에서 어떻게 정원 공간이 구성되어지고, 환경과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하여 상호 토론하였다. 그 결과는 ‘일체다원적 지역문화와 전통생활미학’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통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는데, 인문학 분야에서는 조선조 누정에 나타난 시문으로 통해 본 반가의 생활미학과 인문학적 상상력이라는 내용으로 발표되어졌으며, 이공학 분야에서는 전통생활공간 속 지식체계의 과학적 접근, 친환경디자인으로의 적용, 친환경적 기후디자인으로의 모색 등과 같은 내용으로 발표되어져 상호간 토론이 이루어졌다. 또한 중국의 정원문화에 대하여는 강남지역의 소주지방에 있는 졸정원, 창랑정, 유원, 사자림을 답사하고 여기에 나타난 중국의 생활미학을 졸정원 내의 건축물 명칭과 전통생활미학이라는 내용으로 발표가 이어졌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정원을 통하여 파악된 생활미학은 모두 그 나라와 지역의 생태환경 특성에 따라서 강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중국 강남의 경우 기후 요인에 의해 수공간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정원 구성요소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물에 대한 다양한 활용방식은 인문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여러 문인들과 문인화가, 직업화가들에 의해 그려지고, 읊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에는 사림문화의 독특한 형태로 출처관에 따른 은둔생활과 학문을 위한 수양공간으로서 정원이 조성되어졌으며, 자연 그 자체 속에 융화되어지는 형태로 정원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두 나라간의 정원을 통하여 그들이 영유하였던 생활 속에는 독특한 생활미학이 담겨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논문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또한 씨앗형 과제의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새싹형으로 발전시켜 인문학적 상상력과 생활공간의 관계를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밝히고, 그 실용적인 적용을 기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 콜로키움 개최
    2. 국내답사
    3. 국외답사
    4. 2011년 춘계학술세미나 개최
    ■ 주제: 일체다원적 지역문화와 전통생활미학
    ■ 일시: 2011년 4월30일(토) 오후 13:00-18:00
    ■ 장소: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한누리관 10층 세미나실
    ■ 주최: 상명대학교 한중문화정보연구소

    연구결과 활용계획
    1. 연구결과 활용계획
    1.1 산업적 측면 - 문화콘텐츠기반의 구축
    ■ 전통문화확산 및 전통문화콘텐츠 개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먼저 기초 자료의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국내답사와 국외답사(중국)을 준비하면서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도 함께 준비하여 진행하였으며, 답사를 통하여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였다. 앞으로 새싹형 과제가 선정될 경우 이 부분을 더욱 심화 발전시켜 관련 분야의 총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 저서 출판 계획
    본 과제와 관련하여 김동욱교수, 심우영교수와 이행렬교수 3인이 공동으로 저술하여 ‘동북아 문화경관론’이라는 미발간간행물 형태로 2011년 3월1일 출판하였다. 이 저서는 앞에서 소개한 대학원 융복합 강좌명인 ‘동북아문화경관론’의 교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과제의 성격에 부합되는 일련의 연구활동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책의 구성은 크게 문화경관에 관한 이론 부분과 한국문학, 중국문학 그리고 조경학의 세 영역에서 ‘동북아 문화경관’이라는 동일한 주제에 대한 접근 사례로 짜여졌다. 세부적으로 보면 1장 ‘문화경관이란 무엇인가’ 2장 ‘문화경관의 해석’ 3장 ‘문화경관의 보존계획’ 4장 ‘문화경관의 연구방법’ 5장 ‘한국문학 속의 문화경관 특징’, 6장 ‘중국문학 속의 문화경관 특징’, 7장 ‘조경으로 본 동북아 문화경관의 특징’ 등으로 정하였다.

    1.2. 학문 발전 공헌도
    ‣ 학문의 파급효과 - 후속연구의 단초 제공
    ■ 새싹형 과제 연계 계획 추진
    씨앗형 과제를 통하여 정원문화 속에 내재된 전통생활미학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심화된 연구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전통공간 속 인문적 상상력을 통한 현대생활공간의 경관공학적 적용: 환경조경, 기후디자인, 감성반응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전시켜 새싹형 과제로 제안하였다.

    3.3. 교육과의 연계를 통한 인력양성
    ■ 대학원 관련 강좌 ‘동북아문화경관론’ 개설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에서는 2011학년도 1학기에 융복합 강좌로 ‘동북아문화경관론’을 개설하여 운영하였다.
  • 색인어
  • 생활미학, 소쇄원, 독락당, 추원재, 초간정, 졸정원, 창랑정, 유원, 사자림, 누정, 의경, 시문, 전통조경식재, 전통기후디자인 living aesthetics, Soswewon, Doklakdang, Chuwonjae, Choganjeong,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The Surging Waves Pavilion, The Lingering Garden, The Lion Grove Garden, pavilion, meaning landscape, literary writing, traditional landscape planting, traditional climate desig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