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중일 고대 한자 자전(字典) 통합 DB 구축과 비교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2-A00040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11월 01일 ~ 2014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화범
연구수행기관 경성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진천(경성대학교)
김영경(동의대학교)
나도원(부산대학교)
하영삼(경성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자는 동아시아 문화를 이해하는 핵심 문화코드의 하나이며, 이 때문에 이 지역 문화를 ‘한자문화권’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자문화권의 한자 사용 역사와 변천 및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한자 사용에 관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주요 한자 자전 자료를 DB로 구축하고 전문가용(연구용) 검색시스템을 마련하여 각종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하고, 이에 근거한 국가별, 시기별에 따른 통시적, 공시적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한국 조선 시대의 중요 자전자료를 중심으로 고대 중국과 일본의 대표자전에 출현하는 한자의 字種․字頻․異體字․字音․字釋․傳承 등을 공시적․통시적으로 정리하여,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유니코드 기반하의 범세계적 전문가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字典이란 한자 낱글자에 대해 字音과 字釋을 달아놓은 것으로, 그 체제가 韻書와는 달리 ‘韻’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部首’나 ‘部類’에 의해 구분된 도구서를 말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자전과 더불어 중국과 일본의 중요 자전을 함께 검색할 수 있는 통합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비교하여 여태껏 이루지 못했던 한자자료의 종적, 횡적, 통합적 비교연구가 가능한 토대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세부연구 목표를 가진다.

    • 한중일 자전류 통합 DB 구축
    • 대상 자료의 판본 대조와 정리, 텍스트의 확정, 표점, 이체자 정리
    • 대상자료에 다양한 속성부여(표제자, 이체자, 자의, 자음, 자석 등)로 한자 전문가용 플랫폼 제공
    • 모든 한자(이체자, 고자 포함)에 유니코드를 부여하여 국제적으로 통용 가능한 검색시스템 제공
    • 한중일 통합 검색시스템으로 공시적․통시적 비교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어사적, 문화사적 비교연구 토대 제공
    • DB의 효율적 ‘공유’와 ‘소통’으로 학자들의 연구 기초 토대자료 제공
    • 고유 한자의 추출과 한국 주도의 국제 한자 코드 확보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의 중요 자전인 崔世珍의 《訓蒙字會》, 《全韻玉篇》(1796), 池松旭의 《校訂全韻玉篇》(1913년), 鄭允容의 《字類註釋》(1856), 池錫永의 《字典釋要》(1909), 朝鮮光文會의 《新字典》(1915)을 중심으로 하고, 중국의 대표자전인 許愼의 《說文解字》(100), 顧野王의 《玉篇》(543), 陣廷敬·張玉書 등의 《康熙字典》(1716)과 일본의 대표자전인 釋空海의 《篆隸萬象名義》(835), 釋昌住의 《新撰字鏡》(898~901)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속성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용 다기능 통합 검색시스템으로 DB화하고 이를 통하여 한중일 한자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Access 자료와 컴퓨터 통계학에 따라 처리되는 과학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한자자료의 字種, 字頻, 常用漢字 등의 연구가 과학적인 통계에 의해 추출되고 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특히 모든 자료에 대한 단순한 컴퓨터 전산입력이 아니라, 자료․편명․저자․시기․간행처․편운 방식․글자 수․자순․운부․성조 표기․반절․한국독음표기․자의 주석․필획․표음 자소․표의 자소․俗字․訛字․別字․異體字 등의 다양한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전체 자전을 통합적으로 검색, 비교 연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또한 한국 내의 자료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중요 자전을 함께 DB화함으로써 지엽적인 연구를 벗어나 탈 경계적인 거시적 연구를 이룰 수 있다. 한자문화권 내의 국가들과의 비교연구는 한자의 사용 현황과 변화 발전의 과정을 더 분명히 밝혀줄 뿐 아니라 한자를 통한 문화의 전파, 상호교류 등 역사적 문화사적 자료를 거시적 안목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후 베트남 등 더 많은 한자권 국가로 확대해 연구해 나가고자 한다.
    모든 데이터베이스가 완성되면 이를 통한 통시적, 공시적 비교연구가 가능하다. 검색시스템을 활용하여 ① 사용 한자의 공시적․통시적 비교 연구, ② 사용 한자의 한․중․일 비교 연구, ③ 표준 한자 제정 등을 위한 현대 한자와의 비교 연구, ④ 고유 한자의 추출과 한국 주도의 국제 한자 코드 확보, ⑤ 언어학적, 문화사적 연구의 전문 연구, ⑥ 한중일 자의 비교연구, ⑦ 한국 자전 자석의 의미변천연구, ⑧ 한글 한자음의 변천 연구, ⑨ 한중일 이체자 비교연구 등 여러 방면에서 매우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한자 자전자료의 DB 구축을 주된 목표로 삼기 때문에 우선, 연구대상 자료의 판본확정, 속성부여가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字形을 분류하고 이체자를 구별할 것이다. 셋째, 도출된 이체자에 대해 ISO 요구 조건에 맞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넷째, 구축된 DB를 “자전 통합 DB의 전문 홈페이지” 개설 등 지속적인 자료 제공과 연구교류의 장으로 활용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Access,공시적 연구,문화사,새김,유니코드,字音,字頻,字類註釋,玉篇,新撰字鏡,新字典,說文解字,校訂全韻玉篇,康熙字典,訓蒙字會,篆隸萬象名義,全韻玉篇,字形,字種,字典釋要,字意,한국 한자음,통합검색시스템,통시적 연구,토대자료,컨텐츠,자전,인코딩,이체자,언어사,비교연구,디지털 아카이브,고유한자,ISO,거시적 연구
  • 영문키워드
  • Chinese character dictionary,Hunmongjahoe,Integrated search system,Jaryujuseok,Kangxizidian,Macroscopic study,synchronic study,encoding,digital archiving,diachronic study,cultural history,comparative study,base foundation,Yupian,Variant Chinese Characters,Unicode,The Tenrei banshō meigi,Sinjajeon,Shuowenjiezi,Shinsen Jikyō,Korean inherent Chinese characters,Jeonun-okpyeon,Jajeonseokyo,ISO,Gyojeongjeonun-okpyeon,History of linguistic scienc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의 중요 자전(Chinese character dictionary)인 崔世珍의 󰡔訓蒙字會󰡕(Hunmongjahoe), 󰡔全韻玉篇󰡕(Jeonunokpyeon)(1796), 池松旭의 󰡔校訂全韻玉篇󰡕Gyojeongjeonunokpyeon(1913년), 鄭允容의 󰡔字類註釋󰡕Jaryujuseok(1856), 池錫永의 󰡔字典釋要󰡕Jajeonseokyo(1909), 朝鮮光文會의 󰡔新字典󰡕Sinjajeon(1915)을 중심으로 하고, 중국의 대표자전인 許愼의 󰡔說文解字󰡕Shuowenjiezi(100), 顧野王의 󰡔玉篇󰡕Yupian(543), 陣廷敬·張玉書 등의 󰡔康熙字典󰡕Kangxizidian(1716)과 일본의 대표자전인 釋空海의 󰡔篆隸萬象名義󰡕The Tenrei banshō meigi(835), 釋昌住의 󰡔新撰字鏡󰡕Shinsen Jikyō(898~901)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속성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용 다기능 통합 검색시스템으로 DB화하고 이를 통하여 한중일 한자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판본자료를 교감하고 분류하였으며, 難字, 이체자 등의 자료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정확한 과학적 통계학에 따라 대략 177,240여 한자에 대한 자전해석과 독음(reading pronunciation), 부수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위에 󰡔字典釋要󰡕Jajeonseokyo, 󰡔新撰字鏡󰡕Shinsen Jikyō, 󰡔新字典󰡕Sinjajeon 등에 대한 同字(homography?), 俗字(popular character, vulgarism), 異體字(allograph, variant, alternate way of writing) 등에 대한 연구논문이 발표되었고, 더군다나 󰡔全韻玉篇󰡕(Jeonunokpyeon)을 비롯한 󰡔字類註釋󰡕Jaryujuseok 등 전문 연구서적도 중국에 출간하였으며, 한국의 자전학과 한자학의 깊은 수준을 국외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자전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가 구축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특히 방대한 양의 글자가 수록된 󰡔康熙字典󰡕Kangxizidian의 데이터베이스 입력은 무척 힘든 작업이었지만 그 성과는 컸다. 󰡔康熙字典󰡕Kangxizidian의 한국자전에 끼친 영향력이 무척 컸으며, 한국과 일본에 함께 전해졌지만 각국의 환경과 문화에 따라 수입된 글자는 차이가 있었고, 받아들인 한자의미 역시 각각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 역시 데이터베이스 작업에 의한 공시적, 통시적 비교연구를 통해 가능한 연구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내의 자료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중요 자전을 함께 DB화함으로써 지엽적인 연구를 벗어나 탈 경계적인 거시적 연구를 이룰 수 있었다. 한자문화권 내의 국가들과의 비교연구는 한자의 사용 현황과 변화 발전의 과정을 더 분명히 밝혀줄 뿐 아니라 한자를 통한 문화의 전파, 상호교류 등 역사적 문화사적 자료를 거시적 안목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언어학, 국문학, 역사문화학 등과의 학제간 연구, 융합연구 등을 통한 더 깊은 연구의 확산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nduct and compare Chinese characters of Japan, China and Korea through making database with multi-functional integrated search system for professional users, and which is based on a certain platforms with diverse features, the leading targets of the subject are representativ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like The Tenrei banshō meigi(篆隸萬象名義, 835) by monk Kūkai, Shinsen Jikyō(新撰字鏡, 898~901) by monk Shōjū in Japan and important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like Hunmongjahoe(訓蒙字會, 1796), Jeonunokpyeon(全韻玉篇, 1796) by Choe, Sejin(崔世珍), Gyojeongjeonunokpyeon(校訂全韻玉篇, 1913) by Ji, Songuk(池松旭), Jaryujuseok(字類註釋, 1856) by Jeong, Yunyong(鄭允容), Jajeonseokyo(字典釋要, 1909) by Ji, Seokyeong(池錫永) and Sinjajeon(新字典, 1915) by ChoSeonGwangMunHoe(朝鮮光文會) published in Korea, and some significant works like Shuowenjiezi(說文解字, 100) by XuShen(許愼), Yupian(玉篇, 543) by Gu, YeWang(顧野王), Kangxizidian(康熙字典, 1716) by ChenTingJing(陳廷敬)·ZhangYuShu(張玉書) published in China.
    This study was classifying and communing with various editions of materials, summarizing data of Chinese characters and variant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se process, which is depending on the exact scientific statistics, research team constructed database including translation, reading pronunciation, radical of each 177,240 letters.
    With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over this subject, quite a lot of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dealing with homography(同字), popular character(俗字), allograph, variant, alternate way of writing(異體字) in the Jajeonseokyo, Shinsen Jikyō, Sinjajeon, furthermore, professional research books had also been published in China like Jeonunokpyeon(全韻玉篇), Jaryujuseok(字類註釋) and so on, to become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study of Chinese and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Korea, which has far more deeper level in themselves. It was possible due to the building of database about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inputting the vast amount of text data that contains information of Kangxizidian(康熙字典) was tough process nevertheless outcome was successful.
    Kangxizidian(康熙字典) has had a very great influence on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Korea, soon after then they had been widely disseminated toward both Japan and Korea, however,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culture of the count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mported letters and the meanings between both of the countries. These results and research success are also published by the database operation, besides this study was possible in the basis of the synchronic, diachronic study method comparing various materials.
    Thus, constructing and utilizing database of various materials like dictionaries of importance not just in Korea but in China and Japan altogether made it possible to proceed peripheral perspectives into de-boundary recognition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untries in the so called Chinese-character-based cultures, will certainly disclose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changes as well as current state of usage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provide with macroscopic view of historical, cultural archives as propagation of cultures and interactions using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it will be available to make profound and growing study like an interdisciplinary study and amalgamative research with linguistics,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cultural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의 중요 자전인 崔世珍의 󰡔訓蒙字會󰡕, 󰡔全韻玉篇󰡕(1796), 池松旭의 󰡔校訂全韻玉篇󰡕(1913년), 鄭允容의 󰡔字類註釋󰡕(1856), 池錫永의 󰡔字典釋要󰡕(1909), 朝鮮光文會의 󰡔新字典󰡕(1915)을 중심으로 하고, 중국의 대표자전인 許愼의 󰡔說文解字󰡕(100), 顧野王의 󰡔玉篇󰡕(543), 陣廷敬·張玉書 등의 󰡔康熙字典󰡕(1716)과 일본의 대표자전인 釋空海의 󰡔篆隸萬象名義󰡕(835), 釋昌住의 󰡔新撰字鏡󰡕(898~901)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속성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용 다기능 통합 검색시스템으로 DB화하고 이를 통하여 한중일 한자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판본자료를 교감하고 분류하였으며, 難字, 이체자 등의 자료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정확한 과학적 통계학에 따라 대략 177,240여 한자에 대한 자전해석과 독음(reading pronunciation), 부수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지물로만 있던 연구 자료를 과학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원하는 자료를 쉽게 검색하고 각 자료를 쉽게 비교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학문연구에 있어 연구 속도 향상과 정확성을 더욱 배가시키는 중요한 기초 작업임에 틀림없다. 본 연구결과를 직접 심화연구에 활용한 결과 동자나 속자 등의 검색이 순식간에 이루어졌고, 다른 대상 자료와의 비교 역시 손쉽게 이루어져서 그 활용가치는 사실 무궁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물은 중국학뿐 아니라 한자학, 국문학, 역사 문화학 등의 연구에서도 국학 기초자료에 대한 확보와 제공으로 매우 중요한 토대자료 및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중국학, 한자학, 국문학, 역사 문화학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①한자의 독음이나 자형 변화, 한․중․일간의 한자전파와 전승 등 한자연구의 기초 비교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②한자 독음의 변화 양상과 한국 한자음의 표기 변화 등 성운학 및 국어학 연구의 기초 비교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③시대별로 자주 출현한 한자나 해당 시기에만 존재하는 한자자석 등은 한어사 및 국어사 연구에 기초 비교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④역사나 문화사에 필요한 단어의 선택 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국의 역사문화뿐 아니라 한․중․일 삼국 간의 역사문화 비교 및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에 기초·비교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우리 문화의 독창성 및 우수성을 알릴 수 있다.
    셋째, 일반인을 위해서도 한자의 시대별 사용현황, 한자의 자형 변천, 유래, 자석의 전승 등 한자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①일선 교육계에서 한자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②상용한자 제정과 한자 급수시험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③다양한 한자관련 콘텐츠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자전, 통합검색시스템, 디지털 아카이브, 컨텐츠, 訓蒙字會, 全韻玉篇, 校訂全韻玉篇, 字類註釋, 字典釋要, 新字典, 說文解字, 玉篇, 康熙字典, 篆隸萬象名義, 新撰字鏡, 字形, 字音, 字意, 字種, 字頻, 새김, 한국 한자음, 통시적 연구, 거시적 연구, 공시적 연구, 비교연구,이체자, 고유한자, 언어사, 문화사, 유니코드, 인코딩, ISO, 토대자료, Acces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