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실어증 환자와 정상인의 동사 산출에 동적 애니메이션 효과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ynamic animation on action verb naming: Neuropsychological evide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6034327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하지완
연구수행기관 대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양승남(고려대학교)
최양규(대구대학교)
편성범(고려대학교)
황유미(동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동사의 산출은 저장된 이미지를 재활성화시키는 개념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즉, 처리하여야 하는 표상 정보의 양이 더 많기 때문에, 동사 산출과정은 명사 산출과정보다 부담되고 보다 많은 집행적 자원(executive resource)을 요구하는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 그렇기 때문에 자극 제시가 동적일수록 실생활의 동작어와 더욱 가깝기 때문에, 동사 산출을 유도하기 위한 더욱 강한 신경학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고 여러 연구들이 제안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적 자극을 이용하여 동사 산출을 유도하고자 한다. 동적 자극의 최적(optimal) 제시 방식으로, 핵심 동작만을 동적으로 움직이도록 자체 제작한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을 구축할 예정이다.
    • 동적 애니메이션 효과가 동사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상인에서 정적 그림 과제와 동적 애니메이션 과제 간 동사 산출의 수행력 비교 (반응시간, 오류율, 오류유형 분석)
    (2) 실어증 환자에서 정적 그림 과제와 동적 애니메이션 과제 간 동사 산출의 수행력 비교 (반응시간, 오류율, 오류유형 분석)
    (3) 정상인과 실어증 환자에서 정적 그림 과제와 동적 애니메이션 과제를 통한 동사 산출 시 뇌활성화 비교

    • 앞에서 기술하였듯이 동적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의 수행력 향상과 뇌활성화 연구는 동사는 명사와 처리과정이 다르다는 점을 전제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동사를 유도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동적 애니메이션 과제를 제작하여 그것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 수행력과 뇌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따라서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언어학, 언어심리학, 언어병리학, 재활공학, 재활의학의 학제 간 융합연구가 요구된다.
    • 동사 산출 능력이 정적 자극보다 동적 자극에서 보다 향상될 수 있는지, 그리고 비도구성 동사와 도구성 동사 중 어떠한 동사가 동적 자극에 의해 산출의 수행력이 더욱 향상되는지를 밝히는 것은 동사 산출 처리과정의 기저 메카니즘을 밝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동적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동사 이름대기 검사도구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기대효과>

    • 어휘인출 능력에 대한 이제까지의 많은 연구들이 주로 명사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본 연구 과제의 결과는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인출 능력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현재 사용하는 동사들은 주로 이차원적인 정적인 상징들로 표현되기 때문에 움직임의 의미 전달에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움직임을 가미한 애니메이션은 동사에 대한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방법이며, 이러한 제시 방법은 그림을 보다 가시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미지화함으로써 도상성을 높이게 된다.
    •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동적 애니메이션은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을 유도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동적 자극이 동사 산출 과정에 요구되는 이미지 재활성화와 동작 재인에 요구되는 추론과정을 도울 수 있다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 수행력은 향상될 것이다.
    • 또한 동적 자극을 통한 동사 산출 유도 방법은 동사 산출 능력의 저하가 그림 과제의 부자연스러움과 재인의 복잡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대상자의 병리적 언어 능력에 기인하는 것을 보다 타당성 있게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 도구성 동사와 비도구성 동사의 뇌활성화 차이와 자극의 동적 여부에 따른 영향을 밝히는 것은 동사의 산출 과정에 대한 인지신경학적 이해를 돕고, 나아가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 결함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을 이용한 동사 이름대기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표준화 작업을 기획, 진행하여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팀의 최종적인 목표이다.
    • 평가도구 개발에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본 연구 과제 기획의 궁극적인 목표이나, 동사 치료용 도구 개발에도 결과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또한 현재 많이 사용하는 아이패드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구동한다면 보완대체의사소통이나 언어치료 분야에서의 동사 지도를 위한 접근성도 더욱 커질 것이다.
    • 더 나아가 일반 정상아동의 동사 발달 향상을 위해서도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 본 연구의 차별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이름대기 연구를 명사가 아닌 동사에 초점을 둠.
    (2)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을 구축하여, 동사 산출 유도에 정적 그림뿐 아니라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을 이용하여 두 자 극 상황에서의 동사 산출 수행력을 비교 연구함.
    (3) 그림 자극 상황과 동적 애니메이션 상황에서의 비교 연구를 정상인뿐 아니라 실어증 환자에게 실시함.
    (4) 동산 산출 시 나타나는 뇌의 활성화 연구를 동시에 진행함.
    (5) 과제를 진행하기 위하여 언어병리학, 언어학, 언어심리학, 재활공학, 재활의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함.

    • 본 제안 연구는 다 학제 간 연구가 전제되는 연구이므로 연구 개발 추진에 있어 학제가 다양한 참여연구원들의 유기적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추진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예정이다.
    (1) 공동연구원 1(언어학)을 중심으로 동사의 특성에 따라 연구 진행에 필요한 동사들을 유형별로 선정함. 동사의 빈도(frequency), 친숙도(familiarity), 도구성 여부(transitive vs. intransitive)를 고려하여 동사를 선정함.
    (2) 전임연구원(재활공학)은 선정된 동사들을 먼저 정적 그림 자극으로 도식화함. 정적 그림 자극은 핵심 동작을 표현하고 있음. 그러고 나서 정적 그림 자극의 핵심 동작을 동적으로 구현한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을 구축함.
    (3) 연구책임자(언어병리학)를 중심으로 선정된 동사들에 대해여 정적 그림과 동적 애니메이션 두 세트의 연구 자극 과제를 완성함. 공동연구원 1(언어학)과 공동연구원 2(언어심리학)와 함께 자극 제시 순서, 자극 제시 방법 등 자극의 체계적인 구성을 고려함.
    (4) 연구책임자(언어병리학)를 중심으로 정상인에 대해 실험을 진행함.
    (5) 연구책임자(언어병리학)와 공동연구자 3, 4(재활의학)를 중심으로 뇌손상 언어장애환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실어증 환자의 실험을 진행함.
    (6) 공동연구원 3, 4(재활의학)를 중심으로 정적 및 동적 자극 상황에서 동사 산출에 대한 정상인과 실어증 환자의 뇌활성화 연구를 기획, 진행함.
    (7) 모든 참여연구원들이 결과를 분석하고 공동연구원 2(언어심리학)를 중심으로 결과에 대한 신경-언어인지학적 해석을 실시함.
    (8) 각 단계별 연구 특성에 따라 핵심 역할을 하게 되는 참여연구원이 있지만, 모든 참여연구원들이 전체 연구의 진행 과정을 공유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함.

    •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을 통한 동사 이름대기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표준화 작업과 신뢰도, 타당도를 구축하는 연구를 기획, 진행할 계획이다.
  • 한글키워드
  • 동사 이름대기,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 실어증, 동사산출 결함, 뇌활성화
  • 영문키워드
  • action verb naming, dynamic animation, aphasia, verb retrieval deficit, neural activ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실어증을 포함한 뇌손상환자들의 동사 산출에 있어서 동적 애니메이션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실험에는 정상 청년층, 정상 노년층 및 실어증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제시된 각각 40개의 그림 어휘와 동적 애니메이션 어휘 산출에 따른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동사를 4종류(비대격 동사 10개, 비능격 동사 10개, 비도구 동사 10개, 도구 동사 10개)로 세분화하여 동사의 종류에 따른 수행력 차이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그림 자극에 비해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의 정반응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사별로는 비대격 동사를 제외한 세 개의 동사에서 그림 자극에 비해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의 정반응점수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사를 표현하는데 있어 동적 애니메이션이 정적인 그림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ynamic animations on verb production by patients with brain damage including aphasia. Normal youths, normal elderly persons, and patients with aphasia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where the participants’ positive reaction scores in producing 40 vocabularies each from pictures and dynamic animations presented through programs were compared. In addition, verbs were subdivided into four types (10 unaccusative verbs, 10 unergative verb, 10 non-instrumental verbs, and 10 instrumental verbs) to also examine positive reaction scores according to verb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positive reaction scores of dynamic animation stimuli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those of picture stimuli. Among verbs, three types of verbs except for unaccusative verbs showed higher positive reaction scores for dynamic animation stimuli compared to picture stimuli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Thes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dynamic animations are more effective in expressing verbs than static pictur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표는 동사를 유도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동적 애니메이션 과제를 제작하여, 그것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언어학, 언어심리학, 언어병리학, 재활공학, 재활의학의 학제간 융합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진은 각 학제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 진행을 위하여 정상 청년층, 정상 노년층 및 실어증 환자 집단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세 집단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시되는 각각 40개의 그림 어휘와 동적 애니메이션 어휘 산출에 따른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을 비교하였다. 동사를 4종류(비대격 동사 10개, 비능격 동사 10개, 비도구 동사 10개, 도구 동사 10개)로 세분화하여 동사의 종류에 따른 수행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그림 자극에 비해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의 정반응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동사 별로는 비대격 동사를 제외한 세 개의 동사에서 그림 자극에 비해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의 정반응 점수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사를 표현하는데 있어 동적 애니메이션이 정적인 그림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 산출 능력이 정적 자극보다 동적 자극에서 보다 향상될 수 있는지, 그리고 비대격, 비능격, 비도구, 도구 동사 중 어떠한 동사가 동적 자극에 의해 산출 수행력이 더욱 향상되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사 산출 처리과정의 기저 메카니즘을 밝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동적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동사 이름대기 검사도구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결과 동사를 표현하는데 있어 동적 애니메이션이 정적인 그림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 어휘인출 능력에 대한 이제까지의 많은 연구들이 주로 명사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본 연구 과제의 결과는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인출 능력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현재 사용하는 동사들은 주로 이차원적인 정적인 상징들로 표현되기 때문에 움직임의 의미 전달에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움직임을 가미한 애니메이션은 동사에 대한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방법이며, 이러한 제시 방법은 그림을 보다 가시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미지화함으로써 도상성을 높이게 된다.
    •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동적 애니메이션은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을 유도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동적 자극이 동사 산출 과정에 요구되는 이미지 재활성화와 동작 재인에 요구되는 추론과정을 도울 수 있다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 수행력은 향상될 것이다.
    • 또한 동적 자극을 통한 동사 산출 유도 방법은 동사 산출 능력의 저하가 그림 과제의 부자연스러움과 재인의 복잡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대상자의 병리적 언어 능력에 기인하는 것을 보다 타당성 있게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 비대격, 비능격, 비도구, 도구 동사의 뇌활성화 차이와 자극의 동적 여부에 따른 영향을 밝히는 것은 동사의 산출 과정에 대한 인지신경학적 이해를 돕고, 나아가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 결함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동적 애니메이션 자극을 이용한 동사 이름대기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표준화 작업을 기획, 진행하여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팀의 최종적인 목표이다.
    • 평가도구 개발에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본 연구 과제 기획의 궁극적인 목표이나, 동사 치료용 도구 개발에도 결과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또한 현재 많이 사용하는 아이패드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구동한다면 보완대체의사소통이나 언어치료 분야에서의 동사 지도를 위한 접근성도 더욱 커질 것이다.
    • 더 나아가 일반 정상아동의 동사 발달 향상을 위해서도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실어증, 동사 산출 결함, 동사 이름대기, 동적 애니메이션, 뇌활성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