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문화용어사전
다문화용어사전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4A01035512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2 년 (2012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주영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동현(중앙대학교)
우연희
윤석민(건국대학교)
양명심(건국대학교)
신인섭(건국대학교)
서기재(건국대학교)
이진용(건국대학교)
김용현(건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다문화 용어의 전문성 수립과 일반적 확산] 현재 한국사회는 다양한 학문영역의 연구와 사회적 실천을 통해 다문화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고자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다문화 담론과 정책 형성은 문제의 본질적 이해보다 피상적이고 일회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 현상의 근원적 해결이라는 목표 달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문화 현상의 근원적 해결을 모색하기위한 일환으로 다문화 현상을 기본적·일반적·공통적으로 설명할만한 기초 자료의 정립이 요청된다. 다문화용어의 정립은 다문화현상을 학문적·사회적으로 해결하기위한 기초이자 토대 작업이다. 현재 한국사회에 통용되는 다문화용어는 통일성과 전문성 및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그러므로 현재 한국 다문화사회는 공공성이 확보된 표준화 용어, 학문적 접근에 필요한 전문성이 담보된 용어, 다문화관련 정책 입안에 필요한 공식 다문화용어의 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사전편찬은 정책입안자,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의 현장 전문가, 학계의 전문 사용자에게 객관적이고 보편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1차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전문적 지식체계에 기초하여 정립된 다문화용어사전은 최종적으로 현재 다문화현상을 직접적으로 풀어야할 일반시민과 미래 다문화사회를 책임질 차세대 다문화사회 구성원에게 확산하는 것을 2차 목적으로 한다.
    [다문화 용어의 현장성 확보와 다층적 체계 구축] 이 연구는 한국의 특수한 다문화 상황을 이해하고 전문적·보편적인 다문화용어의 정립을 위해 현장성·시의성을 바탕으로 다층적 체계에 따른 다문화용어사전을 편찬하고자 한다. 다문화용어의 정립은 무엇보다 다문화현장의 실제적 삶과의 유기적 연관에 따라 용어를 추출·수집하고 정의해야 한다. 따라서 표제어 선정 방법은 현장 수집, 문헌 수집, 매체 수집을 통해 1주 단위로 추출하고, 자체 개발한 【표제어 선정분류지표】에 따라 표제어를 분류·확정하는 작업을 분기(3개월) 단위로 진행한다. 다문화용어는 학문 체계 분류(5가지), 다문화 현장 적용도(4가지)의 구분을 통해 이론적 고찰 및 현실 적용이라는 흐름을 반영한다.
    [다문화용어사전 DB 구축과 사회적 확산] 이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다문화용어사전 DB는 다문화관련 정책입안자, 교육전문가, 사회·교육현장 및 일반시민에게 다문화 지식체계 전달과 확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용어사전은 인권 존중, 공생·소통의 사회를 지향하며, 세계적 다문화현상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이고 보편적 다문화용어 정립의 초석이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학문‧사회적 기여]
    다문화용어사전의 토대확립을 통한 사회․학문․공공기관 적용과 확산
    󰋻다문화용어의 표준성·통일성 확보를 통해 정책 입안, 교육․행정 현장, 국가고시․대학입시, 각종 교과서 편찬에서의 다문화 용어 기준 마련.
    󰋻제반학문 영역에서 다문화 현상의 토대가 되는 전문·특수 용어의 확립.
    다문화용어사전 방법론의 적용과 확산
    󰋻다문화 현장 적용도의 분류 방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 수용 및 발신.
    󰋻정책용어의 정립과 그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다문화사회 소수자집단의 권익을 보호하는 정책 입안의 초석 마련.
    [인력양성방안]
    다문화 분석·현상 연구 전문가 육성
    󰋻수집발굴팀의 다문화 현장 사례수집 검토 작업에 연구보조원을 참가시킴으로써 미래 다문화 분석 전문가로 육성.
    󰋻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현상 연구회를 운영하여 차세대 전문가 육성.
    미래 소통지향적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양성
    󰋻표제어 수집에 대학생과 사회인의 현장 모니터링단을 활용함으로써,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다문화 의식 고취 도모.
    󰋻다문화용어사전을 각급 교육기관 및 일반인에 확산시킴으로써, 미래 다문화사회를 책임질 ‘다문화사회 구성원’ 육성.
    [교육적 기여]
    다문화용어사전 편찬관련 교육적 기여
    󰋻다문화용어사전 정립 후, 대학원 석·박사 공통과정에 유관 강의를 개발하여 2학기 동안 개설함으로써 차세대 연구자들의 다문화 현상 연구능력 확대.
    󰋻다문화용어사전 편찬에 참여한 연구보조원을 연구소 전임연구인력으로 육성.
    시민교육과의 연계 및 활용
    󰋻다문화용어사전 DB 구축을 통해 다문화연구자와 이용자 사이의 소통의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인권 존중 및 상호 소통·공생을 추구하는 시민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함.
    󰋻사업 종료 시 연구재단과 협의하여 오프라인으로 사전을 출판하여 일반인의 다문화현상 관심의 제고와 연구 추동.
  • 연구요약
  • 본 연구가 정립하려는 다문화용어사전은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삶의 현장과 다문화현상과 관련된 텍스트에서 다문화용어를 수집․추출 → 수집 자원의 분석 및 용어 개발 → 다문화 소통이론에 기반을 둔 표제어 선정분류지표를 통한 검증 → 현장 적용’의 순환적인 방법론을 통해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1,800∼2,000개 정도의 다문화용어 표제어를 채택하여 정의한다. 그런데 다문화용어 사전 구축작업이 기존의 일방적이고 단순한 나열방식을 따른다면, 용어정의라는 기본적 기능이 충족될 수는 있어도 실제적 다문화현상과의 연관성에 따른 표제어의 선정과 분류 및 표제어 정의에 어려움이 뒤따른다. 따라서 이 연구는 표제어 수집․선정 및 최종 표제어 확정 작업 과정에서 다음 사항에 주목하여 다문화용어를 분류하여 구성·정의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용어의 수집에서 표제어 예비선정까지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진행하여 표제어 선정의 현장성과 객관성을 확보한다. 이 연구는 새로운 사회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용어를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담론의 확산을 통해 실제적 문제해결을 도모하고자 한다.
    둘째, 다문화 현상은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개인과 집단 차원의 현실적 삶을 반영하는 동시에 그 현상과 관련된 구체적 인물과 문화 전통을 포괄한다. 다문화 현상과 관련된 기본적 내용을 바탕으로 상이한 이익집단의 공생과 상호 소통을 모색하는 이론이 창출되고, 최종적으로 정치․경제․외교 방면의 구체적 법률과 정책의 정립을 모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용어사전의 학문체계분류는 ① 생활․문화용어 ② 미디어․예술용어 ③ 지역․인물용어 ④ 철학․사상용어 ⑤ 법률․정책용어로 구분된다. 이러한 영역별 분류는 다문화현장에서의 개인과 집단의 목소리에서 이론적 접근으로, 다시 구체적 국가정책으로의 흐름과 확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각 영역별 용어 정의는 【표제어 선정분류지표】결과에 따라 중요도를 구분하여 대(800자 이상)·중(600자 내외)·소(400자 내외)로 분류·기술한다.
    셋째, 5가지 대분류를 통해 정립된 용어는 다의성을 표현하고 사용자의 이해와 편의의 제고를 통해 보완한다. 구체적으로 본 사전편찬 작업의 독창적 방법은 현장성과 이론의 결합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다문화상황을 수용하여 용어정의를 재생산하는 시의성과 확장성에 있다. 따라서 ① 다문화현장의 목소리를 수용하는 생활용어 ② 다문화현상을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이론용어 ③ 국가행정과 정책수립에 적용된 정책용어 ④ 다문화 현장의 교육과 관련된 교육용어의 구분이 요청된다.
    다문화용어사전은 현장에서 표제어를 수집․발굴하고, 학문적 체계 분류 및 중요도에 따른 표제어 예비선정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단초로 삼는다.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 소수자와 다수자의 현실적 상호이해, 실질적 소통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재 한국사회는 다양한 학문영역의 연구와 사회적 실천을 통해 다문화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고자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다문화 담론과 정책 형성은 문제의 본질적 이해보다 피상적이고 일회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 현상의 근원적 해결이라는 목표 달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문화 현상의 근원적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문화 현상을 기본적·일반적·공통적으로 설명할만한 기초 자료의 정립이 요청된다. 다문화용어의 정립은 다문화현상을 학문적·사회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초이자 토대 작업이다. 현재 한국사회에 통용되는 다문화용어는 통일성과 전문성 및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그러므로 현재 한국 다문화사회는 공공성이 확보된 표준화 용어, 학문적 접근에 필요한 전문성이 담보된 용어, 다문화관련 정책 입안에 필요한 공식 다문화용어의 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사전편찬은 정책입안자,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의 현장 전문가, 학계의 전문 사용자에게 객관적이고 보편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1차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전문적 지식체계에 기초하여 정립된 다문화용어사전은 최종적으로 현재 다문화현상을 직접적으로 풀어야할 일반시민과 미래 다문화사회를 책임질 차세대 다문화사회 구성원에게 확산하는 것을 2차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가 정립하려는 다문화용어사전은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삶의 현장과 다문화현상과 관련된 텍스트에서 다문화용어를 수집․추출 → 수집 자원의 분석 및 용어 개발 → 다문화 소통이론에 기반을 둔 표제어 검증 → 현장 적용’의 순환적인 방법론을 통해 구성된다. 다문화용어사전은 현장에서 표제어를 수집․발굴하고, 학문적 체계 분류 및 중요도에 따른 표제어 예비선정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단초로 삼는다.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 소수자와 다수자의 현실적 상호이해, 실질적 소통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특수한 다문화 상황을 이해하고 전문적·보편적인 다문화용어의 정립을 위해 현장성·시의성을 바탕으로 다층적 체계에 따라 다문화용어사전을 편찬하고자 하며 최종 결과물인 다문화용어사전 DB는 인권 존중, 공생·소통의 사회를 지향하며, 세계적 다문화현상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이고 보편적 다문화용어 정립의 초석이 될 것이다.
  • 영문
  • Research Summary

    South Korea has been proceeded the prop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henomena through the study of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social practices. However, the multicultural discourse and policy formation of today are going on in the superficial and sporadic level, so that it does not fulfil the fundamental solution of multicultural phenomena.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preliminary data is called for in an effort to explain the basic and general conceptions of multicultural phenomena and to find an underlying solution of it. The compilation of multicultural terms is an essential and foundational task to seek out the solutions of multicultural phenomena in academic and social aspects. Contemporary multicultural terms lack unity, professionalism, and objectiveness that are now being used in Korea. In this context, it is crucial that the official multicultural terms linked to the publicly standardized, professionally warranted, and policy-making plan are to be set up. Hence, the primary purpose of compilation of this dictionary is to afford the objective and universalistic principles for the policy-makers, the field experts, and academic users. Another objective of the dictionary of multicultural terms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could possibly provide the ultimate solution to the next gener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general citizens in understanding multicultural phenomena.
    The dictionary of multicultural terms constitute a cyclical methodology of “collection and extract of multicultural terms derived from the texts in relation to the members of the real life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phenomena  analysis of the collected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the headword  verification of the headword based on the theories of multicultural communication  application to the real world.” As has mentioned, the dictionary of multicultural terms, thus, offers the cornerstone of understanding multicultural phenomena by following the cyclical method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dictionary might enhance the realistic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 and substantial communic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ority group and majority one in the multicultural societies.
    This research has compiled the dictionary of multicultural terms in order to understand specific multicultural circumstances as well as to set up professional and universalistic headwords according to the multi-level system that are reflected in the real world and timely situation in Korea. The definitive outcome of the DB of the dictionary of multicultural terms not only to aim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the coexistent and communicative society, but also to create rudimentary and universal multicultural terms that can be applied to the global multicultural phenomen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재 한국사회는 다양한 학문영역의 연구와 사회적 실천을 통해 다문화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다문화 담론과 정책 형성은 문제의 본질적 이해보다 피상적이고 일회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 현상의 근원적 해결이라는 목표 달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문화 현상의 근원적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문화 현상을 기본적·일반적·공통적으로 설명할만한 기초 자료의 정립이 요청된다. 다문화용어의 정립은 다문화현상을 학문적·사회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초이자 토대 작업이다. 현재 한국사회에 통용되는 다문화용어는 통일성과 전문성 및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그러므로 현재 한국 다문화사회는 공공성이 확보된 표준화 용어, 학문적 접근에 필요한 전문성이 담보된 용어, 다문화관련 정책 입안에 필요한 공식 다문화용어의 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사전편찬은 정책입안자,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의 현장 전문가, 학계의 전문 사용자에게 객관적이고 보편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1차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전문적 지식체계에 기초하여 정립된 다문화용어사전은 최종적으로 현재 다문화현상을 직접적으로 풀어야할 일반시민과 미래 다문화사회를 책임질 차세대 다문화사회 구성원에게 확산하는 것을 2차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가 정립하려는 다문화용어사전은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삶의 현장과 다문화현상과 관련된 텍스트에서 다문화용어를 수집․추출 → 수집 자원의 분석 및 용어 개발 → 다문화 소통이론에 기반을 둔 표제어 검증 → 현장 적용’의 순환적인 방법론을 통해 구성된다. 다문화용어사전은 현장에서 표제어를 수집․발굴하고, 학문적 체계 분류 및 중요도에 따른 표제어 예비선정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단초로 삼는다.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 소수자와 다수자의 현실적 상호이해, 실질적 소통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특수한 다문화 상황을 이해하고 전문적·보편적인 다문화용어의 정립을 위해 현장성·시의성을 바탕으로 다층적 체계에 따라 다문화용어사전을 편찬하고자 하며 최종 결과물인 다문화용어사전 DB는 인권 존중, 공생·소통의 사회를 지향하며, 세계적 다문화현상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이고 보편적 다문화용어 정립의 초석이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사회적 기여]
    다문화용어사전의 토대확립을 통한 사회․학문․공공기관 적용과 확산
    󰋻다문화용어의 표준성·통일성 확보를 통해 정책 입안, 교육․행정 현장, 국가고시․대학입시, 각종 교과서 편찬에서의 다문화 용어 기준 마련.
    󰋻제반학문 영역에서 다문화 현상의 토대가 되는 전문·특수 용어의 확립.
    다문화용어사전 방법론의 적용과 확산
    󰋻다문화 현장 적용도의 분류 방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 수용 및 발신.
    󰋻정책용어의 정립과 그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다문화사회 소수자집단의 권익을 보호하는 정책 입안의 초석 마련.
    [인력양성방안]
    다문화 분석·현상 연구 전문가 육성
    󰋻수집발굴팀의 다문화 현장 사례수집 검토 작업에 연구보조원을 참가시킴으로써 미래 다문화 분석 전문가로 육성.
    󰋻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현상 연구회를 운영하여 차세대 전문가 육성.
    미래 소통지향적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양성
    󰋻표제어 수집에 대학생과 사회인의 현장 모니터링단을 활용함으로써,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다문화 의식 고취 도모.
    󰋻다문화용어사전을 각급 교육기관 및 일반인에 확산시킴으로써, 미래 다문화사회를 책임질 ‘다문화사회 구성원’ 육성.
    [교육적 기여]
    다문화용어사전 편찬관련 교육적 기여
    󰋻다문화용어사전 정립 후, 대학원 석·박사 공통과정에 유관 강의를 개발하여 2학기 동안 개설함으로써 차세대 연구자들의 다문화 현상 연구능력 확대.
    󰋻다문화용어사전 편찬에 참여한 연구보조원을 연구소 전임연구인력으로 육성.
    시민교육과의 연계 및 활용
    󰋻다문화용어사전 DB 구축을 통해 다문화연구자와 이용자 사이의 소통의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인권 존중 및 상호 소통·공생을 추구하는 시민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함.
    󰋻사업 종료 시 연구재단과 협의하여 오프라인으로 사전 출판을 고려하여 일반인의 다문화현상 관심의 제고와 연구 추동.
  • 색인어
  • 다문화, 용어, 사전, 인권, 공생, 소통, 생활, 이론, 정책, 교육, 문화, 미디어, 예술, 지역, 인물, 철학, 사상, 법률, 표제어, 수집, 발굴, 조사, 분석, 검증, 분류, 집필, 감수, 현장성, 시의성, 정립
  • 이 연구과제의 신청시 심사신청분야(최대 3순위까지 신청 가능)
  • 1순위 : 인문학 > 사전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