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노인에게 적합한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cales on Visual-Motor Integration of Korean elderl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6034110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홍
연구수행기관 대구한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영익(대구한의대학교)
서순림(경북대학교)
김미한(경일대학교)
정성화(대구한의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고령사회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노인 치매의 증가는 의료비 증가를 포함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노인의 인지기능 관련 연구가 활발해주면서 시각-운동통합 능력이 노인의 인지기능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시각-운동통합능력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고, 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노인에게 적합한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문항 개발하고 이를 2) 선행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 비교실험을 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여 한국 노인형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및 활용방안

    ◯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 평가도구로서 시각-운동통합 능력 변인을 임상에서 활용가능
    -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임상에서 정상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서 VMI를 활용할 수 있음. 기존 도구와 비교하여 일상생활능력에 밀접한 부분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낙상예방 등 운동기능저하에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노인의 인지기능 변화와 일상생활 수행능력 관련 변화추이에 대한 연구지표로 활용
    -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에 따른 운동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 능력이 감소됨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낙상비율의 증가 뿐만 아니라, 치매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간접지표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음. 이는 고령화에 따른 각종 정책적 근거를 설정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생각됨.

    ◯ 시각-운동통합능력 관련 국내 연구의 활성화
    - 연구결과의 학회발표나 학술지 투고를 통해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음. 또한 VMI 관련 다양한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학제간 통합적으로 마련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융복합 학문의 중요성과 효과를 홍보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임.

    ◯ 임상에서 치매 예방과 처치에 대한 인식전환 및 발생율 감소
    - 연구결과를 적극 홍보하고 활용하면 성인기부터 치매예방을 위해서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고 있는 궁극적으로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 발생비율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노인을 위한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개발에 활용
    - 많은 노인관련 인지기능 중재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좋은 평가도구의 한 가지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이를 활용한 낙상예방프로그램, 또는 인지운동프로그램 등, 새로운 프로그램개발도 가능함.

    2) 인력양성 방안

    ◯ 노인의 인지기능 관련 전문연구인력 양성
    - 현재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시각-운동통합 능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을 전문적으로 측정하는 전문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노인의 시지각, 시각-운동통합을 포함한 많은 인지기능 관련 변인을 측정하고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노인 인지기능 전문연구인력(석, 박사)을 양성을 할 수 있음.

    3) 교육연계 활용방안

    ◯ VMI를 포함한 노인 인지기능 관련 강의개설
    - 본 연구팀은 간호학, 보건학, 체육학 등 다양한 학문적 분야가 어우러져 있고, 또한 차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서 의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적 분야가 함께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학문분야별 교차강의(분야별 특강)나 블록강의를 개설하거나 정기적인 학제간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여 연구결과를 공유함으로써 교육과 연구가 효율적으로 연계될 수 있음.
  • 연구요약
  •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가 증가함으로 이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노인 인지기능 측정과 관련하여 최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평가가 중요한 측정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의 시각-운동통합능력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고, 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형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노인, 노인질환자로 구분하여 총 4집단 구성, 무작위 층화추출로 표집하고, 노인연령은 65-75세로 설정한다. 연구내용으로는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학적 설문조사 실시하고 연구에 적합한 연구대상자가 선정되면, 선정된 연구대상자 중 동일한 신체적 상태와 능력을 가진 노인을 선별하기 위하여 기초 체력, 생체징후 및 일상생활능력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치매 및 비정상적인 인지기능을 가진 노인을 제외하기 위하여 MMSE 검사를 실시하고,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울증 정도를 측정한다. 시각-운동통합능력은 최근까지 적용되고 있는 VMI-6R 검사와 개발된 VMI 도구 검사를 동일인에게 반복 실시한 후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노인에게 적합한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문적으로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관련 이론이 발전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적용가능한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매우 부족한 노인 인지기능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다가오는 초고령 사회에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와 치매를 예방 함으로써 사회적, 경제적으로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의료비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시각으로 사회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 차후 보다 긍정적인 학문적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시각-운동통합, 노인, 인지기능, 시지각, 척도개발
  • 영문키워드
  • Visual Motor Integration, VMI, elderly, older adults, cognitive functio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of scale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2026년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는 우리나라는 노화에 따른 치매, 파킨슨병 등, 인지기능장애가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를 예측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도구가 많지 않으며, 기존 도구도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비용, 소요시간, 정확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에게 적합한 인지기능 측정도구를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활용하여 개발해 보고자 하였고, 개발된 측정도구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시각-운동통합능력은 눈을 통해서 얻어진 정보를 대뇌에 전달하여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조절하는 대뇌의 능력으로서 인지기능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각-운동통합능력의 감소가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를 예측하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험은 크게 두 가지로 진행되었다. 먼저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와 기존 도구를 바탕으로 노인에게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측정도구, 한국 노인형 시각-운동통합능력(Visual Motor Integration Scale-Korean Elderly, VMIS-KE)을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연령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적 과정을 거쳐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 과정에서 VMIS-KE는 크게 형태인지력, 공간능력, 기억능력 세 가지 범주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적절한 평가기준이 함께 개발되었다. 다음으로는 개발된 VMIS-KE를 활용하여 인지기능 감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노인 당뇨환자와 정상노인의 시각-운동통합능력을 비교해 보았다. 비록 본 연구결과는 대규모 자료를 통해서 얻어진 자료가 아니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각-운동통합능력이 노인의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임을 연구결과 알 수 있었다. 간략히 살펴보면, VMIS-KE는 신뢰계수가 0.6 이상으로 내적일치도가 충분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연령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각 하위영역인 형태인지능력, 공간능력, 기억능력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과성 검정 결과를 살편보면, VMIS-KE는 기존 전연령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인 VMI(-6R) 도구 및 MMSE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VMI와 달리, 당뇨군의 VMIS-KE 수치와 MMSE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VMIS_KE 도구가 당뇨에 의한 인지기능 감소를 평가하는데 가장 변별력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각-운동통합능력”이 유용한 변수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개발된 VMIS-KE는 노인에게 적합한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시각-운동통합능력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알리고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를 예방 및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지표 또는 검증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is study developed the scale of visual-motor integration for Korean elderly (VMIS-K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VMIS-KE on cognitive function between elderly with and without diabetes mellitus (DM). More than 300 participants from urban area in Daegu was recruited in the study. In the second experiment, 30 elderly were DM patients whereas 30 were non-D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MIS-KE were conducted using statistical method. The condition of cognitive functio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were measured by using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DL,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CES-D), and VMI-6R in e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VMIS-KE i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ge and DM while the score of MMSE and VMI-6R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VMIS_KE could be useful method for estimating cognitive function for elder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2026년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는 우리나라는 노화에 따른 치매, 파킨슨병 등, 인지기능장애가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를 예측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도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에게 적합한 인지기능 측정도구를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활용하여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크게 두 가지로 진행되었다. 먼저 한국 노인형 시각-운동통합능력(Visual Motor Integration Scale-Korean Elderly, VMIS-KE)을 개발하였고 그 다음 개발된 VMIS-KE의 효과성을 당뇨노인과 정상노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구개발 연구대상은 대구지역 내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과 20대부터 50대까지 연령대 별 남녀를 각각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효과검증 연구대상은 동일한 조건에서 당뇨노인과 비당뇨노인으로 구분하여 참여시켰다. 표본수는 α=.05, 중간 효과크기, power=.90을 기준으로 공분산 분석에 필요한 표본 수를 확인하여 결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에 대한 공통적인 요건은 다음과 같다: 도시 지역의 65세 이상,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노인,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신경학적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자, 현재 의사의 진단 하에 치료를 받는 인지기능에 손상이 있는 대상자는 제외, 정신과적 약물치료 대상자, 시각적 장애 및 시야결손이 있으면 제외. 자료수집은 조사원이 2인 1조로 개별면담을 통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각-운동 통합 능력 도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사용 방법에 대한 매뉴얼 및 세부지침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도구 사용에 대해 조사원간의 일치도가 Kappa 지수로 .90이상이 될 때까지 반복 훈련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인구학적특성, 일상생활활동능력(ADL), 우울(CES-D), 인지기능(K-MMSE), 시각-운동통합능력(VMI-6R) 등 각 공인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거나 또는 자체 개발된 VMIS-KE를 효과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개발된 VMIS-KE는 크게 형태인지력, 공간능력, 기억능력 세 가지 범주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시각-운동통합능력이 노인의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임을 연구결과 알 수 있었다. 간략히 살펴보면, VMIS-KE는 신뢰계수가 0.6 이상으로 내적일치도가 충분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연령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각 하위영역인 형태인지능력, 공간능력, 기억능력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과성 검정 결과를 살편보면, VMIS-KE는 기존 전연령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인 VMI(-6R) 도구 및 MMSE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VMI와 달리, 당뇨군의 VMIS-KE 수치와 MMSE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VMIS_KE 도구가 당뇨에 의한 인지기능 감소를 평가하는데 가장 변별력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각-운동통합능력”이 유용한 변수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개발된 VMIS-KE는 노인에게 적합한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시각-운동통합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범주를 크게 2개 범주 총 6항목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즉, 시각-운동통합능력의 범주는 1) 공간인지에 따른 운동기능과 2) 형태항상성 인지에 따른 운동기능으로 구분하였다. 하위영역으로 공간에는 눈-손협응, 위치 관련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고, 형태항상성에는 정확성, 속도, 기억, 완성 관련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모든 측정도구 항목은 최종적으로 시각인지와 운동기능이 통합된 형태로 결과가 측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리기 형태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VMIS-KE는 신뢰계수가 0.6 이상으로 내적일치도가 충분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연령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각 하위영역인 형태인지능력, 공간능력, 기억능력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과성 검정 결과를 살편보면, VMIS-KE는 기존 전연령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인 VMI(-6R) 도구 및 MMSE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VMI와 달리, 당뇨군의 VMIS-KE 수치와 MMSE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VMIS_KE 도구가 당뇨에 의한 인지기능 감소를 평가하는데 가장 변별력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각-운동통합능력”이 유용한 변수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개발된 VMIS-KE는 노인에게 적합한 시각-운동통합능력 측정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 평가도구로서 시각-운동통합능력의 실험적 임상적용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적으로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서 VMIS-KE를 활용할 수 있음.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실험적 성격의 예비연구로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함.

    ◯ 시각-운동통합능력 관련 국내 연구의 활성화
    : 연구결과의 학회발표나 학술지 투고를 통해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특히, 많은 노인관련 인지기능 중재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좋은 평가도구의 한 가지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이를 활용한 낙상예방프로그램, 또는 인지운동프로그램 등, 새로운 프로그램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 노인의 인지기능 관련 전문연구인력 양성
    : 현재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시각-운동통합 능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을 전문적으로 측정하는 전문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 따라서 이 연구를 시작으로 노인의 시지각, 시각-운동통합을 포함한 많은 인지기능 관련 변인을 측정하고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노인 인지기능 전문연구인력(석, 박사)을 양성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특히, 노인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포함한 인지기능 관련 강의 또는 정기적인 학제간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후속 연구결과를 공유함으로써 교육과 연구가 효율적으로 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사회적 노인의 시각-운동통합능력의 중요성 홍보
    :사회적으로 치매를 포함한 인지기능감소 현상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의 시각-운동통합능력의 중요성을 홍보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노인의 인지기능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홍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 색인어
  • 시각-운동통합능력, 노인, 인지기능, 일상생활능력, 우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