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경찰 신뢰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 비교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Korea and Japa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0656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장현석
연구수행기관 경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들어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외국학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으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영국과 미국 등 서구 경찰학계에서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시민으로부터 부여받은 정당성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삼으면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Jackson & Bradford, 2009; Jackson & Sunshine, 2007; Reisig & Parks, 2000; Skogan, 2009). 경찰활동은 시민의 권리를 제한하고 의무를 부과하는 행정처분이 많음으로 정당성이 결여된 즉 신뢰를 받지 못하는 경찰활동은 시민으로부터 자발적 협조나 순응하는 행위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여러 나라 국민들의 자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는 비교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에서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와 민주주의 발달 정도가 서로 비례한다는 결과를 보여 주기도 했다 (Cao, Lai, & Zhao, 2012; Jang, Joo, & Zhao, 2010). 민주주의 발달에 있어서 경찰과 시민의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신뢰도의 중요성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여러 차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특정 지역에서 편의 표집한 자료를 사용했거나 경찰과 접촉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국한 되어 있어 일반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더 나아가 다른 나라에서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하다.이에 본 연구는 우리와 지리적으로 이웃하고 있으면서 역사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일본과 비교연구를 하고자 한다.
    국내 경찰학 연구에서 경험적 비교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자료의 부족 때문에 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학에서 비교연구를 위한 자료를 구하는 법과 비교연구에 적합한 통계 기법을 자세히 소개하면서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 및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한국과 일본 두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로 어떠한 설명변수들이 유의미하게 설명하는지 알아보자 한다. 또한 설명 변수들 간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지 알아본다. 일본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국경찰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제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1)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그동안 미약했던 이론적 배경에 대한 논의를 넓힐 수 있다.
    2) 한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가 있었지만 전 국민을 상대로 확률적 표본을 모아서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 국민을 상대로 모은 대표성 있는 자료를 분석하여 기존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3) 경찰신뢰도 연구에서 없었던 다른 나라와 비교연구를 시도함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면서 경찰신뢰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4) 향후 중국이나 미국과의 비교연구에 있어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다른 나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경찰학에서 비교연구 확대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5) 조사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신뢰도 향상을 위한 경찰교육 자료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의 기술적, 경제적 기여도
    1) 경찰과 시민간의 갈등해결을 위한 자료제공.
    2) 경찰이 시민사회를 좀 더 잘 이해하여 국민으로부터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제시.
    3) 경찰 신뢰도 향상방안 제시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 자발적 준법정신 향상을 꾀할 수 있다.
    4) 범죄로 인한 사회비용의 절감에 도움.
    5) 비공식적 사회통제 활성화로 공식적 범죄통제 비용 감소.

    ●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대효과
    1) 경찰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한 정부와 공권력에 대한 신뢰성 향상.
    2) 경찰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통해 시민들의 준법의식 개선과 그로인한 범죄율 감소.
    3) 경찰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통한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
    4) 경찰에 대한 신뢰도 향상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
    5) 신뢰의 회복으로 지역사회 활성화와 범죄 예방활동이 용이해짐.
  • 연구요약
  • 본 연구를 위해서 복합적 연구방법 (Mixed Methods)을 적용할 것이다. 복합적 연구방법의 장점은 질적 연구를 통해서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가능하고 또한 다수를 상대로 자료를 모으는 양적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첫째, 선행연구 문헌조사와 양국의 경찰학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자료를 모은다. 둘째, 양적 자료 분석을 위해 Asian Barometer Surveys 자료를 얻어서 분석 한다.

    ● 질적 연구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서 국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부족했던 경찰에 대한 신뢰도의 이론적 논의 부분도 보충해서 연구의 토대를 다지도록 할 것이다. 비교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 비교대상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고찰이다. 두 나라간의 정치적, 역사적 변천과정을 문헌조사를 통해 알아보아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지 파악한다. 또한, 각국의 경찰학자들과의 면담과 인터뷰를 통해서 경찰신뢰도에 영향을 주었을 만한 정치적, 역사적 사건들을 심도 있게 조사하여 뒤따를 양적연구의 해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양적 연구

    1) 자료의 출처
    국가 간의 양적 비교연구에 있어서 가장 힘든 부분이 자료의 수집이다. 특히 동일한 변수들을 해당국가 모두에게서 측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따라서 미리 자료가 모아져 있다면 2차 자료를 이용해서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실제로 많은 경찰 신뢰도에 대한 국가 간의 비교연구들이 World Values Surveys와 같은 2차 자료를 이용해 이루어 졌다 (Cao et al., 2012; Jang, Joo, Zhao, 2010).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 국민들의 자기 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Asian Barometer Survey 의 자료를 요청해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Asian Barometer는 현재 국립대만대학교 동아시아민주주의 연구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자료를 요청하려면 신청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한다. 웹사이트에 의하면 연구의 목적이 학술 목적이고, 연구윤리를 준수하고 출처를 밝히는 조건으로 자료를 제공한다고 되어있다. Asian Barometer는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안 국가의 국민들로부터 자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가치 등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하여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한 국제 공조 연구이다.

    2) 표본 표집방법 (Sampling Methods)
    자료의 수집은 각 해당 국가에서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삼아 확률적 표집방법을 적용해 표본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람들은 면접 방법을 통해 자료를 모았다. 즉, 전 국민을 상대로 무작위 표본을 선정해 자료를 모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변수의 측정
    Asian Barometer자료를 본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이 한국과 일본에 공동으로 측정되어져야한다. 웹사이트에 의하면, 본 연구에 필요한 주요 변수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 측정되었다고 나와 있다. 따라서 두 나라간의 경찰의 신뢰도에 대한 비교 연구에 Asian Barometer자료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핵심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 (Confidence in the police)는 “경찰기관이나 경찰관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신뢰가 있는지 말씀해 주세요. (How much confidence you have in the police institutions or person.)” 의 문항을 이용해서 측정되었다. 이 문항에 대한 응답은 1)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None at all), 2) 그리 신뢰하지 않는다 (Not very much trust), 3) 많이 신뢰한다 (Quite a lot of trust), 4) 아주 많이 신뢰한다 (A great deal of trust) 로 구성되었다.
    여타 연구에 사용된 주요 독립변수 및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이웃에 대한 신뢰, 민주주의 만족도, 지역안전도, 부패수준 등이 연구에 포함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금까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국가 간 비교 연구는 드물었다. 지정학적으
    로 이웃하면서 역사적으로 서로 관련이 있고 또한 학문, 문화, 등 다양한 사회분야에서
    교류가 있어 온 일본에서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
    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의 경찰 신뢰도와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지를 알아보
    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
    한다. 이를 위해 Global Barometer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 국민들의 자
    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첫째 경찰에 대한 신뢰도
    가 두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로 어떠한 요인들이 신뢰도를 유의미
    하게 설명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국가에 대한 회귀모형 비교에서 각 변수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지 알아보았다. 또한 의미 있는 결과 해석을 위하여 일
    본 경찰학자 2명에게 면접 조사한 내용을 결과 부분에 기술하여 일본에서의 경찰에 대
  • 영문
  •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by comparing betwee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Since Japan is located right next to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closely related to South Korea in terms of history, culture, and
    various other social aspects, an examination on the Japanese confidence in the police
    would be meaningful. In addition, the examinati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two countries will lead us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confidence in the police. For this, Global Barometer Survey data was utiliz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two countries and second, to investigate which
    independent variables are significant with relation to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Finally,
    this study compares coefficients of independent variables between two countries and test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addition, for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two
    Japanese policing scholars were interviewed for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analysis, Japanese people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the police than South Korean people.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test. In the two countries’ combined model, perception on the governmental official’s
    corruption, satisfaction on the democracy, feeling of safety, trust on the neighbors were
    significant in explaining confidence in the police. In the comparison of coefficients between
    two countries, gender, satisfaction on the democracy, perception of inequa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perception on the governmental official’s corrup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reducing confidence in the police. This result was confirmed
    from the interview with Japanese scholars. Polic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질적 연구를 추가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의 경우 일본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
    도가 한국 국민들 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일
    양국 전체 모형에서는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 민주주의 만족도, 지역 안전도, 이웃에 대
    한 신뢰가 경찰에 대한 신뢰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두 나라 모형간의 계수 비교에
    서는 성별, 민주주의 만족도, 그리고 불평등대우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
    는 것으로 나왔다. 두 나라 모두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이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
    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두 일본 경찰학자와의 심층면접에서
    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금까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국가 간 비교 연구는 드물었다. 지정학적으로 이웃하면서 역사적으로 서로 관련이 있고 또한 학문, 문화, 등 다양한 사회분야에서 교류가 있어 온 일본에서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의 경찰 신뢰도와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이를 위해 Global barometer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 국민들의 자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첫째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두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로 어떠한 요인들이 신뢰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국가에 대한 회귀모형 비교에서 각 변수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지 알아보았다. 또한 의미 있는 결과 해석을 위하여 일본 경찰학자 2명에게 면접 조사한 내용을 결과 부분에 기술하여 일본에서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질적 연구를 추가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의 경우 일본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가 한국 국민들 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일 양국 전체 모형에서는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 민주주의 만족도, 지역 안전도, 이웃에 대한 신뢰가 경찰에 대한 신뢰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두 나라 모형간의 계수 비교에
    서는 성별, 민주주의 만족도, 그리고 불평등대우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왔다. 두 나라 모두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이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두 일본 경찰학자와의 심층면접에서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경찰 신뢰도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부분인 국가 간의 비교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인접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교류가 활발한 일본과 비교해 보았다. 한국 경찰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후 역대 정권을 거치면서 정권의 유지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때로는 국민들을 탄압하는데 이용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군사정권이 끝나고 우리사회가 민주화되면서, 경찰도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서비스를 지향하는 경찰을 강조하면서 국민들과 가까워지려는 부단한 노력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었다는 연구결과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웃나라인 일본과 비교를 해 봄으로써 어떠한 요소가 경찰신뢰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는 것은 한국 경찰의 신뢰도 향상방안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일본의 경우 국민들로부터 신뢰받는 경찰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Bayley, 1991). 또한 낮은 범죄율을 보인 일본은 다른 나라 경찰학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두 일본인 경찰학자와의 심층면접과 최근 보고되고 있는 일본 연구에 의하면 일본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예전 같지 않다고 하였다. 1990년대 이후 극심한 경기침체기를 지나면서 지역 간의 유대에 금이 가고 또한 범죄율이 상승하였다고 한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 불거진 경찰의 부패관련 스캔들이 경찰의 신뢰도를 감소시켰다고 한다. 이러한 양국의 사회 상황을 염두에 두고 두 나라에서 동일한 설문문항으로 측정된 자료를 가지고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경찰에 대한 신뢰도의 경우 일본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한국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비록 최근에 부패 스캔들이 있었고 또한 지역주민들 간의 유대가 약화되면서 범죄율이 증가하긴 하였지만, 여전히 한국보다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한·일 양국 전체 모형에서는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 민주주의 만족도, 지역 안전도, 이웃에 대한 신뢰가 경찰에 대한 신뢰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이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려면 경찰이 스스로 부정부패에 연루 되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다른 관료나 정부기관의 부패를 통제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보여 준다. 또한 경찰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 다른 정책적 제안으로는 경찰이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면서 지역주민들 간의 유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데 지역
    정부, 민간단체, 그리고 지역주민들과 공동으로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 나라 모형 간의 계수 비교에서는 성별, 민주주의 만족도, 그리고 불평등대우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왔다. 불평등대우에 대한 인식의 경우 한국모델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일본의 경우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이는 우리국민들의 경우 정부의 차별적 대우를 경찰에 투사하지 않지만, 일본 국민들의 경우 정부의 불평등 대우가 경찰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두 나라 모두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이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두 일본 경찰학자와의 심층면접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찰의 신뢰도향상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 경찰을 포함한 관료 사회의 부패 척결에 있다고 할 것이다. 경찰은 스스로 부패를 하지 않아야 함과 동시에 사회의 부정부패를 단속하고 방지할 의무가 있는 기관이다. 따라서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 청렴한 국가 만들기에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한 정책적 제안으로는 한때 정치권에서 논의 되었던 공직자 비리수사처를 신설하거나 시민들이 참여하는 감시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경찰이 엄정하고 공평하게 법집행을 하고 불편부당한 재판을 거쳐 국민의 법감정에 맞는 양형이 이루어진다면 부정부패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색인어
  • 경찰,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연구, 일본, 관료부패, 민주주의 만족도, 이웃에 대한 신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