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2241&local_id=10077067
가족휴가정책의 정치와 성평등: 한국과 미국의 정책프레임 변화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가족휴가정책의 정치와 성평등: 한국과 미국의 정책프레임 변화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 2013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마경희(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3S1A2A1A01033846
선정년도 201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5년 06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일-가족 양립 휴가 정책 프레임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여성주의 정책 의제가 주류 제도 정치 내에서 다루어지는 방식을 보여주고, 여성주의의 국가개입 전략에 대해 가지는 함의를 논의했다. 이를 위해 2001년 한국의 모성보호3법 개정, 1993년 미국의 가족의료휴가법(Family Medical Leave Act) 제정 당시의 의회 회의록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해 헤게모니 담론이 법안 지지자의 전략적 프레이밍과 반대자의 카운터 프레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전체 논쟁의 구조 속에서 여성주의 담론은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show the way feminist policy agendas are addressed in the mainstream political arena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feminism on the strategy of the state’s interven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frame formation of policies on work and family reconcili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congressional records of Korea and the U.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hegemonic discourses on the strategic framing of proponents of the bills and the status of feminist discourses in the entire debate struc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일-가족 양립 휴가 정책 프레임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여성주의 정책 의제가 주류 제도 정치 내에서 다루어지는 방식을 보여주고, 여성주의의 국가개입 전략에 대해 가지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1년 한국의 모성보호3법 개정, 1993년 미국의 가족의료휴가법(Family Medical Leave Act) 제정 당시의 의회 회의록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해 헤게모니 담론이 법안 지지자의 전략적 프레이밍과 반대자의 카운터 프레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전체 논쟁의 구조 속에서 여성주의 담론은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의 지지자들은 여성주의 담론에 기반하면서도 저출산이 제기하는 문제를 비롯한 인구위기 담론, 장기적으로 국가경쟁력 강화와 노동력 재생산에 기여할 것이라는 경제성장 담론을 활용한 전략적 프레이밍을 추구했다. 반대자들은 경제성장 담론을 지배적으로 활용하면서 ILO나 선진국을 준거로 하는 발전주의 담론을 활용한 카운터 프레임을 형성했다. 전체 논쟁의 구조 속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 것은 경제성장과 발전주의 담론이었으며 여성주의 담론은 주변화되었다. 성중립적 의제로 출발한 미국에서 지지자들은 변화하고 있는 노동시장과 가족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근로기준을 만드는 노동권 담론과 가족가치 담론에 기반하면서도 글로벌 시장에서 노동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전개했다. 반대자들은 시장자유주의 담론을 활용하여 가족의료휴가제도가 불필요한 연방 규제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카운터 프레임을 형성했다. 한국에서와 달리 미국에서 일-가족 양립 휴가는 여성의 이슈 또는 성평등의 이슈와 거리가 먼 것이었고, 정당간 대립 구도 하에서 노동권과 기업활동의 자유가 논쟁의 기본 구조를 형성했다. 일-가족 양립 휴가 정책이 여성의 이슈이자 저출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으로 의미화된 한국에서 일과 가족의 양립 문제가 '여성만의 문제'로 주변화되었다면, 성 중립적 이슈로 출발하여 노동과 가족 가치의 문제로 의미화된 미국에서는 가족의 변화에 대응하여 표준적 근로방식, 즉 주류의 변화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 색인어
  • 일-가족 양립 정책, 가족휴가 정책, 가족의료휴가법, 모성보호, 비판 프레임 분석, 정책 프레임 분석, 프레임 분석, 의미연결망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