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창조경제 구축을 통한 산업 클러스터 생태계의 진화 - 창업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문화예술 및 글로벌 비즈니스의 활용과 디자인 사고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ecosystem in the Industrial Cluster through building the creative economic system - Focus on the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 Art and Global Business and Design thinking through the Entrepreneurial Approac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B6044039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재환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홍병선(중앙대학교)
정성모(한양사이버대학교)
조현주(홍익대학교)
권혁대(목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시장의 욕구를 충족하는 중소기업 성장의 모멘텀을 제시하며, 자원의 창조적인 능력과 역량을 발휘하여 기회를 포착하고 새로운 시장의 수요를 창출하는 창업학적 접근방법이 선순환하는 창업 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생태계적 시각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문화예술, 디자인(디자인 사고) 등의 세 영역을 융합하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일차적으로 학제간 융합 연구를 통한 개념적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차적으로 구로 디지털밸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로 디지털밸리 내 15,000여 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창업학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자원의 창조적인 능력을 강화하고 역량을 발휘하여, 문화예술 및 글로벌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시장의 욕구를 충족하는 중소기업 성장의 모멘텀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상기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 중소기업에 대한 창업학적 접근과 디자인 사고적 접근이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환경 구축에 도움이 될 타당성을 연구한 이후에, 이를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여, 발생가능한 문제와 도출된 다양한 연구 문제를 한국 경제에 실제 적용시킬 수 있는 이론적 모형으로 완성하고자 한다.
    - 구로 디지털밸리를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는 중소기업(15,000 여 기업), 공공기관(서울시, SBA, 구로구청, 금천구청 등), 지원단체(서울디지털산업단지 경영자 협의회, 녹색산업도시 추진협회 등) 간의 네트워크를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통하여 체계화 한 후, 향후에 다른 국가산업단지에 적용하고 확장하여 이론적 모형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 기대효과
  • -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실무적인 측면과 이론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 실무적인 기대효과로 중소기업은 새로운 창조적인 능력을 강화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성장의 모멘텀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가 제시하는 이론적인 모형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과 글로벌비지니스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창조적인 능력과 역량을 가지게 될 것이다.
    - 이론적인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창업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구로 디지털밸리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문화예술과 글로벌 비즈니스에 적합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여, 개별 주체 관점, 개체군 관점, 생태계 전체 관점에서 주요 문제와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연구과정에서의 산출물은 산업체 및 대학교육과정에 세미나, 특강 및 커리큘럼에 반영하여, 인력 양성 및 사회적, 정책적 지원시스템의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셋째, ‘창조경제 구축을 통한 산업 클러스터 생태계의 진화’라는 연구 아젠다 아래에서 기초 이론 수립을 위한 단계별 연구결과는 한국 경제 사회의 경제 주체들 스스로가 생태계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개별 주체의 독립적 생존 역량뿐만 아니라, 개체군 및 생태계 관점에서의 공적 책무를 다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줌으로 써 전반적 한국경제사회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 중소기업은 고용의 90%를 담당하면서 한국 경제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지만,최근 대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정체 상태에 빠져 있다. 과거 구로공단으로 불리던 구로 디지털밸리의 경우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은 약 15,000개에 달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창조적으로 새롭게 혁신하지 못하면서 성장의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 최근 한국경제의 성장과 미디어 효과에 따른 이미지 개선에 따라 한국문화에 대한 대외적인 이해와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한류에 기반한 문화예술을 국내외 비즈니스에 활용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고자 하는 창조적이며 혁신적인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 2012년 10월 월스트리트 저널의 “Forget B-School, D-school is hot!"이라는 1면 헤드라인에서 보듯이 전통적인 경영학적 접근으로는 창조경제를 구축할 수 없다. 현실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데에는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와 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창업학적 접근방법(Entrepreneurial Approach)이 요구된다.
    - 기존의 경영학적 접근방식은 위의 <표 1>과 같이 자원(resource)과 역량(Capabilities)을 결합하여 시장(Markets)의 needs를 충족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 창업학적 접근방법이란, 자원의 창조적인 능력을 강화하고 역량을 발휘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하고 새로운 시장의 욕구를 창출하는 매커니즘이 작동하도록 하는 多學制的(Inter-disciplinary)이며 融合的인(Convergency) 접근방법을 말한다.
    - 구로 디지털밸리의 기업을 포함하여 우리의 중소기업은 문화예술 및 글로벌 비즈니스의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중소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중소기업의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사고와 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창업학적 접근방법의 수립과 활용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 이를 통하여,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시장의 욕구를 충족하는 중소기업 성장의 모멘텀을 제시하며, 자원의 창조적인 능력과 역량을 발휘하여 기회를 포착하고 새로운 시장의 수요를 창출하는 창업학적 접근방법이 선순환하는 창업 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생태계적 시각으로 <그림 1>과 같이 글로벌 비즈니스, 문화예술, 디자인(디자인 사고) 등의 세 영역을 융합하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고객의 기대는 점차 복잡해지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 지는 상황에서 기업은 끊임없이 경쟁우위를 이끌어 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기업 간 경쟁보다 기업 간 협력과 업종간 융합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관련 조직이나 비즈니스 그룹간의 다이나믹한 연결관계는 다른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국면에서 융합과 혁신적 사고에 기초한 창업적 접근기반의 생태시스템이 기업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자리매김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업생태계 시각을 통한 기존 클러스터 체제 연구 및 개선점 탐색”이라는 제목으로 비교적 광범위한 주제범위를 설정하여 12,000개의 중소기업들이 집적되어 있으며 기업의 생존기간이 짧아 유입과 유출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구로디지탈밸리를 대상으로 클러스터 생태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씨앗형 단계의 본 연구의 초점은 첫째, 구로디지탈밸리 대한 현황조사와 더불어 디지탈밸리내 중소기업들이 밸리내 기업 간은 물론 주변의 관과 학과 연결망을 제대로 형성하여 잘 협력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선순환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 확장과 네트워킹 개선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둘째, 문화와 창의 및 감성이 중시되는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최근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동력의 기회와 원천이 될 수 있는 디자인의 활용과 디자인접근법의 적용 및 문화예술, 창조와 혁신적 사고의 적용에 대한 밸리내 기업들의 인식과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여 클러스터내 시스템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씨앗형 단계의 탐색적 조사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는 향 후 다년간에 걸친 추가연구를 통하여 시대와 환경 변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원천으로서 경쟁력 있는 클러스터의 형성과 운용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실증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로디지탈밸리 대한 현황조사와 더불어 업종, 규모 등에서 구로디지탈밸리를 대표할 수 있는 104개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클러스터내 기업 간 및 주변 관과 학의 연결망 분석 및 디자인 및 디자인접근법의 적용과 문화예술 그리고 창조와 혁신적 사고의 적용 등의 요인에 대한 인식과 정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로는 디자인 및 디자인접근법에 대한 적용과 확장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로디지탈밸리를 대표할 수 있는 4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와 더불어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실증연구 결과를 밸리내 기업과 공유하고 디자인접근법의 적용 및 문화예술, 창조와 혁신적 사고에 대한 이해와 인식공유를 위하여 서울산업통상진흥원, 하이서울브랜드 기업협회 및 서울디지털 산업단지 경영자협회와 본 연구진이 속한 융합연구자 협의회가 참여하는 공동주관 형식의 창업생태포럼을 2차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향 후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확장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클러스터 내 기업 간 및 관과 학의 다이나믹한 네트워킹은 중소기업 경쟁력확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나 관련 자료는 거의 축적되어 있지 않다. 조속한 시일 내 클러스터 내 산관학간 상호활동과 관련된 심층적인 자료 구축을 위한 체계형성 및 활용방안을 위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디자인과 디자인접근법 및 창조와 혁신적 사고 적용 등의 요인은 기업경쟁력 제고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나 개별 중소기업 수준에서 대응하기란 용이하지 않다. 밸리내 중소기업들의 공급중심사고를 수요자의 니즈에 기반을 둔 수요자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접근법 적용 체계구축과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클러스터 차원의 시스템적인 접근방안 모색을 통하여 밸리내 기업들에게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 접근법 적용 체계형성과 운용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하지만 문화예술의 경우 밸리내 기업들의 다양한 인식과 요구가 존재하는바 클러스터 차원에서 당장의 노력은 어려우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향 후 검토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클러스터의 산관학 오픈 네트워킹 및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접근법 적용을 위한 체계구축과 활용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시사점에 기초하여 향 후 다년간 패널 심층자료확보를 통하여 네트워킹 및 디자인접근법 등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경쟁력요인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분석을 위한 제대로 된 평가프레임이 구축과 운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에서 축척된 자료와 연구결과물들은 생태계 시각에 기반한 중소기업 클러스터에 대한 통합적 분석연구 기반을 구축할 것이며 본 연구에 기반한 클러스터 평가모형은 유기체간 연결망을 통한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기반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실무적인 파급효과로 클러스터 차원의 시스템적인 접근방안 모색을 통하여 밸리내 기업들에게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 접근법 적용 체계형성과 운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면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 후 다년간 패널 심층자료확보를 통하여 제대로 된 클러스터 평가프레임의 구축과 운용이 이루어진다면 선순환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이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하여 한국 전체 산업클러스터 정책을 수립하고 운용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While customer expectations are becoming more complicated, and competitions are getting fiercer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companies should constantly make an effort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 advantage. Cooperations and convergence between businesses and sectors should have priority over competitions, and dynamic connections and collaborations are the most significant.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atural that the entrepreneurial approach based on convergence and innovative thinking is the main driver of building ecosystem for sustainabil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Under the title of “Study of existing cluster system and exploring its improvements through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cluster ecosystem in the Guro Digital Valley(GDV) that consists of 12,000 SMEs and inflows and outflows frequently occur due to short survival period of business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centrates on network expansion and improvements of networking for virtuous circle of cluster formation while analyzing SMEs in the GDV as well as fully working of open network of government, academic and cooperations.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design approach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cluster, thus the design would be an opportunity and sources for business growth. This study considers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competitive cluster as a new growth engines for the SMEs, throughout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exploratory study of this seed stage.
    For this study, we chose 104 companies representing the GDV and analyzed the networks of the Industrial-Government-Academic collaboration including awareness of the application of design, design approach and culture, arts and creativity and innovative thinking. Also, we selected 4 compani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interested parties to analyze the application and extensibility of design and design approach.
    To sh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eld two entrepreneurship ecosystem forums co-sanctioned by the SBA(Seoul Business Agency), Hi-Seoul Brand Industry Association,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Chief Executive Association, and Convergence Researcher Association that we belong. Through the forums, we reached the following consensus. First, although dynamic networks and active networking among the different sectors are imperative, those are not well working and the relevant information has not been accumulated. Consequently, th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required to build up dynamic networks and well-operating active networks among those sectors.
    Second, although application of design and design approach, creativity and innovative thinking is significant in that it enhances competitiveness of the business, it is difficult for SMEs to apply them in their businesses. Study helping them to make full use of innovative thinking and design approach is required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 at the cluster level.
    Lastly, establishing networks of the Industrial-Government-Academic collaboration and systems for innovative thinking and design approach is important for the competitiveness of businesses. Eventually, building “the Evaluation framework” is essential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ompetitiveness of cluster.
    This study would be contributed as follows. First, using the systematic approach at the cluster level, the companies in the cluster will be able to adopt the design approach and innovative thinking, which will be the opportunity for their growth. Second, this study will be the meaningful fundamental research for expanding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supporting SMEs in academic sector. Third, the evaluation framework will be the basis of research which be the importance of coexistence through networks among organizations.
    Lastly, the evaluation framework can be used as a tool to create a virtuous circle in cluster development. Moreover, meaningful implications can be drawn in establishing a policy and running all Korean industrial clusters from this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고객의 기대는 점차 복잡해지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 지는 상황에서 기업은 끊임없이 경쟁우위를 이끌어 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기업 간 경쟁보다 기업 간 협력과 업종간 융합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관련 조직이나 비즈니스 그룹간의 다이나믹한 연결관계는 다른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국면에서 융합과 혁신적 사고에 기초한 창업적 접근기반의 생태시스템이 기업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자리매김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업생태계 시각을 통한 기존 클러스터 체제 연구 및 개선점 탐색”이라는 제목으로 비교적 광범위한 주제범위를 설정하여 12,000개의 중소기업들이 집적되어 있으며 기업의 생존기간이 짧아 유입과 유출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구로디지탈밸리를 대상으로 클러스터 생태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씨앗형 단계의 본 연구의 초점은 첫째, 구로디지탈밸리 대한 현황조사와 더불어 디지탈밸리내 중소기업들이 밸리내 기업 간은 물론 주변의 관과 학과 연결망을 제대로 형성하여 잘 협력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선순환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 확장과 네트워킹 개선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둘째, 문화와 창의 및 감성이 중시되는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최근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동력의 기회와 원천이 될 수 있는 디자인의 활용과 디자인접근법의 적용 및 문화예술, 창조와 혁신적 사고의 적용에 대한 밸리내 기업들의 인식과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여 클러스터내 시스템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씨앗형 단계의 탐색적 조사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는 향 후 다년간에 걸친 추가연구를 통하여 시대와 환경 변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원천으로서 경쟁력 있는 클러스터의 형성과 운용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실증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로디지탈밸리 대한 현황조사와 더불어 업종, 규모 등에서 구로디지탈밸리를 대표할 수 있는 104개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클러스터내 기업 간 및 주변 관과 학의 연결망 분석 및 디자인 및 디자인접근법의 적용과 문화예술 그리고 창조와 혁신적 사고의 적용 등의 요인에 대한 인식과 정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로는 디자인 및 디자인접근법에 대한 적용과 확장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로디지탈밸리를 대표할 수 있는 4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와 더불어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실증연구 결과를 밸리내 기업과 공유하고 디자인접근법의 적용 및 문화예술, 창조와 혁신적 사고에 대한 이해와 인식공유를 위하여 서울산업통상진흥원, 하이서울브랜드 기업협회 및 서울디지털 산업단지 경영자협회와 본 연구진이 속한 융합연구자 협의회가 참여하는 공동주관 형식의 창업생태포럼을 2차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향 후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확장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클러스터 내 기업 간 및 관과 학의 다이나믹한 네트워킹은 중소기업 경쟁력확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나 관련 자료는 거의 축적되어 있지 않다. 조속한 시일 내 클러스터 내 산관학간 상호활동과 관련된 심층적인 자료 구축을 위한 체계형성 및 활용방안을 위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디자인과 디자인접근법 및 창조와 혁신적 사고 적용 등의 요인은 기업경쟁력 제고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나 개별 중소기업 수준에서 대응하기란 용이하지 않다. 밸리내 중소기업들의 공급중심사고를 수요자의 니즈에 기반을 둔 수요자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접근법 적용 체계구축과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클러스터 차원의 시스템적인 접근방안 모색을 통하여 밸리내 기업들에게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 접근법 적용 체계형성과 운용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하지만 문화예술의 경우 밸리내 기업들의 다양한 인식과 요구가 존재하는바 클러스터 차원에서 당장의 노력은 어려우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향 후 검토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클러스터의 산관학 오픈 네트워킹 및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접근법 적용을 위한 체계구축과 활용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시사점에 기초하여 향 후 다년간 패널 심층자료확보를 통하여 네트워킹 및 디자인접근법 등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경쟁력요인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분석을 위한 제대로 된 평가프레임이 구축과 운용이 요구된다.
    씨앗형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 및 과제들은 선순환 클러스터 형성에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클러스터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클러스터의 시스템 구축과 활용에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첫째, 구로디지털밸리 현황조사와 함께 중소기업 사이와 주변 관변 단체 및 학교와 연결망을 제대로 형성하고 잘 협력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선순환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 개선을 모색하는 것이다. 둘째, 최근 중소기업들에게 성장 기회가 될 수 있는 디자인 활용과 디자인접근법의 적용 및 문화예술, 창조와 혁신적 사고의 적용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인식과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여 클러스터내 시스템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탐색적 조사에 기초하여 향 후 다년간에 걸친 추가연구를 통해 환경 변화에 대응한 중소기업간의 경쟁력있는 클러스터의 형성과 활용을 모색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학술적으로 중소기업 클러스터에 대한 통합적 분석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클러스터에 대한 이해는 경영학적 사고를 넘어서는 융합적이며 종합적인 접근방법이다. 창업생태계 시각이란 클러스터를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계로 이해하는 접근방법으로, 개별 기업의 노력과 경쟁적 요인을 개별기업 단위에서 클러스터 내 기업 상호간에 공유하는 유기체로서 인식하는 것이다. 클러스터내 유기체로서의 원활한 연결과 상호 공유와 함께 문화와 감성이 중시되는 기업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성장과 기회의 도구로서 문화예술, 디자인 및 디자인접근방법 그리고 창조와 혁신적 사고의 적용에 대한 밸리내 기업들의 인식과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여 클러스터내 시스템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유기체적 연결과 문화예술, 디자인 및 디자인접근방법 그리고 혁신적 사고 등이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클러스터 평가모형은 유기체간 연결망을 통한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통합 연구의 결과물은 산관학의 정기적인 포럼을 통하여 교류될 것이며 이론과 실무가 결합된 프로젝트형 대학원 교과목화 되어 차세대 연구자가 연구결과가 공유될 것이다. 향 후 다년간 패널연구를 통하여 연구 결과가 정기적으로 발표되고 국내외 연구자와의 교류 등을 통하여 글로벌화가 진행될 것이며, 본 협의회는 종합융합연구센터로 발전될 것이다.
    두 번째는 실무적 파급효과이다. 첫째, 밸리내 기업 간은 물론 주변의 관과 학과 연결망을 제대로 형성하여 잘 협력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선순환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 확장과 네트워킹 개선을 모색해볼 수 있다. 둘째, 최근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동력의 기회와 원천이 될 수 있는 디자인의 활용과 디자인접근법의 적용 및 문화예술, 창조와 혁신적 사고의 적용에 대한 밸리내 기업들의 인식과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여 클러스터내 시스템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실무적 파급효과의 실현을 위하여 서울산업통상진흥원, 하이서울브랜드 기업협회 및 서울디지털 산업단지 경영자협회와 본 연구진이 속한 융합연구자 협의회가 참여하는 창업생태포럼 구성하여 2차에 걸쳐 포럼을 진행하였다.
    포럼 등을 통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최종적인 효과는 시대와 환경 변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신 성장동력의 원천으로서 경쟁력 있는 클러스터의 형성과 활용이 필요하다는 점이며 다음과 같은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로, 클러스터 내 기업 간 및 관과 학의 동적 네트워킹은 매우 중요하며 클러스터 내 산관학간 상호활동과 심층적인 관련 자료 구축을 위한 활용방안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로, 디자인과 디자인접근법 및 창조와 혁신적 사고 적용 등의 요인은 기업경쟁력 제고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며 클러스터 차원의 시스템적인 접근방안 모색을 통하여 밸리내 기업들에게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 접근법 적용을 위한 체계 형성과 운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로, 클러스터의 산관학 오픈 네트워킹 및 혁신적 사고와 디자인접근법 적용을 위한 체계구축과 활용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며 향 후 다년간 패널 심층자료 확보를 통하여 네트워킹 및 디자인접근법 등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경쟁력요인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분석을 위한 평가프레임 구축과 운용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창업생태계 시각을 통한 클러스터 개선점 모색은 기업경쟁력 제고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향 후 다년간 구축될 패널 자료를 통하여 네트워킹 및 디자인접근법 등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경쟁력요인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분석을 위한 평가프레임을 구축하고 실증 분석된 결과가 도출된다면 한국 전체 산업클러스터 정책 수립과 운용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디자인, 디자인접근법, 문화예술, 네트워크, 혁신적 사고, 창업학적 접근방법, 클러스터, 사회연결망분석, 클러스터 평가프레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