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8077&local_id=10075109
1920년대 민족협동전선과 반기독교운동-'허시모'사건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1920년대 민족협동전선과 반기독교운동-& #39;허시모& #39;사건을 중심으로 | 2013 년 | 강명숙(숙명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6971
선정년도 201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5년 02월 1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3·1운동의 실패로 민족운동은 단순한 시위나 청원 또는 선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국주의를 극복할 만한 힘을 갖추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대중의 민족의식은 일제의 공권력에 저항할 만한 투쟁력을 갖추지 못하였다. 게다가 대중의 민족운동은 무엇보다도 투쟁에 참여할 만큼 생활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서울파는 강력한 민족운동을 추동하기 위해 허시모의 만행을 들추어 문제시함으로써 일본인들의 만행을 민족운동의 극복 대상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캐나다 이민법 제정이 구체화되면서 일제의 반미운동을 측면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미국인들의 반일 입법 활동은 미국 내 일본인들의 삶을 압박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제는 미국의 인종차별을 대대적으로 비판하였고 조선에서 일어난 ‘허시모사건’을 통해 조선에서도 반미운동을 확산시키려 하였다. 기독교 선교사가 행한 과도한 체벌과 그로 인한 어린이 평생의 고통에 자극 받은 조선인 부모들을 반미운동의 동조자로 만들려했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의 민족운동자들은 만행을 저지르는 일본인들과 허시모를 동일한 범주로 생각하였고, 이를 비판하는 운동을 민족운동으로 발전시키려 했다. 또한 일본인들의 만행과 유사한 ‘허시모사건’은 생활 속에서 일어난 사건이므로, 투쟁 대상과 목적이 분명하여 실질적 투쟁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사건이었다. 그러므로 일본인들의 만행과 유사한 ‘허시모사건’을 들추어낸 것은 대중적 인권운동을 민족운동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며 통로였다.
    뿐만 아니라 ‘허시모사건’은 기존의 소년운동 속에서 사회주의 소년운동의 동력을 향상시키면서 소년운동을 사회전체의 변혁운동으로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소년운동 단체들은 ‘허시모사건’을 사회쟁점으로 부각시켜 대중운동을 주도함으로 민족협동전선의 하부 조직과 지역 조직을 장악하는데 이용하였다. 대중적 사건을 통해 하부 조직을 장악함으로 민족협동전선의 결집과정에서 서울파가 성장하였고, 다음 세대의 주역인 소년들을 청년 조직의 하부세력으로 포섭함으로써 새로운 운동세력도 양성하게 되었다. 인권운동으로 시작된 소년운동은 민족협동전선운동의 주요한 부문운동으로 기능하였다. 나아가서 사회주의 운동세력으로 그리고 새로운 운동의 동력을 육성하는 자원으로도 기능하였다.
    ‘조선공산당’을 능가하는 사회적 역량을 가졌음에도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한 서울파는 세력 확장과 영향력 강화를 통해 조선의 사회주의운동을 주도하려 하였다. 그러나 코민테른의 방해와 ‘조선공산당’의 책동으로 조직도 분열되고 민족협동전선운동에서도 주도권을 잃어버렸다. 서울파는 민족협동전선을 주도하기 위해 자파의 세력 기반인 각종 사회단체의 운동을 도모하여 세력을 확장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특히 부문운동과 전체운동을 아우를 수 있는 소년운동을 주목하고, 대중적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때마침 사람들의 주목을 받던 ‘허시모사건’을 들추어낸 것이다. 그 결과 ‘허시모사건’에 내포된 제국주의 횡포를 대중들에게 인식시켰으며 대중 동원에도 많은 성과를 올렸다. 여러 사회단체를 주도하던 서울파는 대중적 인권운동인 ‘허시모사건’을 “자연생장적”으로 일어나는 생활주변의 사건으로 민족운동의 모티브를 만들었다. 지역적 부분적 운동을 통해 민족의식을 촉발하고 세력화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민족운동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허시모사건’을 일으킨 것이다. 이런 대중운동의 경험은 민족협동전선으로 조직된 신간회에 참여하면서 서울파의 민족협동전선(신간회)을 운영하는 원리(청산론)를 만들게 하였다. 즉 민족협동전선에서 계급운동을 포기하고 자연생장적으로 일어나는 부문운동을 통하여 광범위한 민족운동 세력을 규합하여 민족협동전선을 결성하고, 이를 통해 민족혁명을 완수하려 했다고 하겠다.
  • 영문

  • Korean National Cooperative Front Lines and Anti-Christian Movements in 1920s
    --- Focused on Haysmer's Event

    Kang, Myung Sook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Korean knew that Independence of nation is established by the power to overcome the colonialism only. But the nationalism of Korean is not sufficient to resist the colonialism of Japan. So the korean national movements are necessary for not only the highest duty but also profit in living. To establish a strong movement the Seoul Group made the issue Haysmer’s Event in 1926 which happened in 1925. Koreans considered Japanese’ brutalities as Haysmer’s brutalities. Through the criticising the Haysmer’s Event Korean blamed the Japanese’ exploitations and suppressions.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merican pressed Japanese who had lived in America by the racism and the Immigration laws. Japanese wanted to abrogate the Immigration laws in U. S. A. and in Canada. To remove the oppressions of American, Japanese amplified the anti-american movement in Korea so that they helped Korean’s anti-american movement through the Haysmer’s Event.
    The Seoul Group had power in Korean communism. But Comintern denied the Seoul Group’s importance and situation. The Seoul Group should solve the problems by increasing the influence and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Seoul Group would get the method of manipulate the mass in national movement. The criticising the Haysmer’s wicked acts is a model case for the Seoul Group to increase the Social influence, and methods of getting members and being enlarged the teams and organizations in children movement.
    The Seoul Group made use of Japanese’ anti-americanism in promoting the movement of mass and children. The help of japanese made the Seoul Group enlarge organization, gain the new members and be surpported by the social agreement. The Seoul Group developed the national movement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the mass movement. But the Japanese oppressions and the Chosun Communist Party‘s maneuvers were made the Seoul Group lose the initiative in making the Korean National Cooperative Front Lines. But the Seoul Group participated the Singanhoe and worked hard to motivate the national movement. The Seoul Group called Singanhoe as the Party of the Korean National Cooperative Front Lines.
    So the Seoul Group criticised the theory of proletarian Hegemony which insisted by the Chosun Communist Party(Ilwolhoe). They made use of their experience about the Haysmer’s Event. They insisted the importances of mass activities in revolution and discarded the proletarian hegemony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y wanted to stimulate the national movement in number continuity and activity by stirring the mass movements.

    Key words-the National Cooperative Front Lines, anti-christian movement, anti-missionary movement, anti-american movement, the Haysmer’s Event. the Seoul Group, Children’ movement, the Seventh-day Advantist Chu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3·1운동의 실패로 민족운동은 단순한 시위나 청원 또는 선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국주의를 극복할 만한 힘을 갖추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대중의 민족의식은 일제의 공권력에 저항할 만한 투쟁력을 갖추지 못하였다. 게다가 대중의 민족운동은 무엇보다도 투쟁에 참여할 만큼 생활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서울파는 강력한 민족운동을 추동하기 위해 허시모의 만행을 들추어 문제시함으로써 일본인들의 만행을 민족운동의 극복 대상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캐나다 이민법 제정이 구체화되면서 일제의 반미운동을 측면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미국인들의 반일 입법 활동은 미국 내 일본인들의 삶을 압박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제는 미국의 인종차별을 대대적으로 비판하였고 조선에서 일어난 ‘허시모사건’을 통해 조선에서도 반미운동을 확산시키려 하였다. 기독교 선교사가 행한 과도한 체벌과 그로 인한 어린이 평생의 고통에 자극 받은 조선인 부모들을 반미운동의 동조자로 만들려했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의 민족운동자들은 만행을 저지르는 일본인들과 허시모를 동일한 범주로 생각하였고, 이를 비판하는 운동을 민족운동으로 발전시키려 했다. 또한 일본인들의 만행과 유사한 ‘허시모사건’은 생활 속에서 일어난 사건이므로, 투쟁 대상과 목적이 분명하여 실질적 투쟁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사건이었다. 그러므로 일본인들의 만행과 유사한 ‘허시모사건’을 들추어낸 것은 대중적 인권운동을 민족운동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며 통로였다.
    뿐만 아니라 ‘허시모사건’은 기존의 소년운동 속에서 사회주의 소년운동의 동력을 향상시키면서 소년운동을 사회전체의 변혁운동으로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소년운동 단체들은 ‘허시모사건’을 사회쟁점으로 부각시켜 대중운동을 주도함으로 민족협동전선의 하부 조직과 지역 조직을 장악하는데 이용하였다. 대중적 사건을 통해 하부 조직을 장악함으로 민족협동전선의 결집과정에서 서울파가 성장하였고, 다음 세대의 주역인 소년들을 청년 조직의 하부세력으로 포섭함으로써 새로운 운동세력도 양성하게 되었다. 인권운동으로 시작된 소년운동은 민족협동전선운동의 주요한 부문운동으로 기능하였다. 나아가서 사회주의 운동세력으로 그리고 새로운 운동의 동력을 육성하는 자원으로도 기능하였다.
    ‘조선공산당’을 능가하는 사회적 역량을 가졌음에도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한 서울파는 세력 확장과 영향력 강화를 통해 조선의 사회주의운동을 주도하려 하였다. 그러나 코민테른의 방해와 ‘조선공산당’의 책동으로 조직도 분열되고 민족협동전선운동에서도 주도권을 잃어버렸다. 서울파는 민족협동전선을 주도하기 위해 자파의 세력 기반인 각종 사회단체의 운동을 도모하여 세력을 확장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특히 부문운동과 전체운동을 아우를 수 있는 소년운동을 주목하고, 대중적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때마침 사람들의 주목을 받던 ‘허시모사건’을 들추어낸 것이다. 그 결과 ‘허시모사건’에 내포된 제국주의 횡포를 대중들에게 인식시켰으며 대중 동원에도 많은 성과를 올렸다. 여러 사회단체를 주도하던 서울파는 대중적 인권운동인 ‘허시모사건’을 “자연생장적”으로 일어나는 생활주변의 사건으로 민족운동의 모티브를 만들었다. 지역적 부분적 운동을 통해 민족의식을 촉발하고 세력화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민족운동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허시모사건’을 일으킨 것이다. 이런 대중운동의 경험은 민족협동전선으로 조직된 신간회에 참여하면서 서울파의 민족협동전선(신간회)을 운영하는 원리(청산론)를 만들게 하였다. 즉 민족협동전선에서 계급운동을 포기하고 자연생장적으로 일어나는 부문운동을 통하여 광범위한 민족운동 세력을 규합하여 민족협동전선을 결성하고, 이를 통해 민족혁명을 완수하려 했다고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허시모사건의 실체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도모하였다고 생각한다. 허시모사건은 1926년 여름 동아 조선 매일신보 미국인 선교사의 비행을 크게 비판했으나 별다른 성과 없이 사라진 말만 무성한 사건으로 인식되었다. 그 결과 허시모사건에 관한 연구는 사건의 경위를 밝히는 정도에 그쳤다. 여기서는 사건의 여론화를 주도한 세력은 누구이며, 어떤 목적과 이유에서 이런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는가, 그 결과와 영향은 무엇이었는가를 살펴 기초적인 모양새는 이해하게 되었다.
    허시모사건은 단순한 여론몰이가 아니라 서울파 사회주의자들이 전개한 반기독교운동이며, 소년운동을 사회주의운동으로 전환하려는 운동이며, 이 운동을 통해서 서울파는 조직을 확대하여 민족협동전선을 주도하려는 지역적 부문적 운동이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세력에서 밀린 서울파가 조직의 확장과 영향력을 증대하고 민족협동전선을 주도하려는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대중의 지지를 확보하려는 운동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나아가 서울파의 신간회 활동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즉 조선공산당과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이해가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단순히 민족협동전선당과 청산론이라는 이론투쟁에 그치는 것인지 이런 이론투쟁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운동이 일어났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이 요구됨을 인식하게 되었다.
    활용방안
    반기독교운동의 연구 - 지금까지 반기독교운동은 화요파의 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기독교의 제사철폐 비판운동, 보천교비판운동, 미션학교 동맹휴학사건, 허시모사건 등이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허시모사건이 서울파 사회주의자들이 전개한 반기독교운동이었음을 구명함으로써 민족운동의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지금까지 주목 받지 못한 반기독교운동들을 새롭게 조명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음으로 앞으로의 연구를 기대한다.
    사회주의 소년운동 연구와 허시모사건 - 허시모사건은 어린이의 인권을 보호하려는 소년운동이며 인권보호운동이며 반미성격과 반기독교적 성격도 가진 사건이었다. 하지만 서울파 소년운동자들이 주도함으로써 어린이 인권을 보호하려는 소년운동의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였다. 당시 천도교 소년운동으로 어려움을 겪던 사회주의 소년운동자들은 허시모사건을 통해 대중적 지지를 확보하고 세력을 확대함으로 사회주의적 소년운동 세력을 가시화하였고 소년운동의 일면을 담당하게 하였다. 기존의 소년운동세력과 사회주의 소년운동세력의 경쟁에서 허시모사건은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에 사회주의 소년운동의 성장과 조직 그리고 활동에 관한 구체적 연구가 이루어지는 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서울파 연구와 허시모사건 - 한국 사회주의운동은 조선공산당을 결성한 화요파 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서울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사회주의운동에 대한 기존의 인식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사회주의 이론에 근거한 운동에 중점이 두어지면서 서울파의 성격과 운동 그리고 민족운동에 미친 영향력은 온전히 구명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허시모사건이라는 대중운동을 통해 서울파가 주도한 사회주의 운동방법이 소개됨으로써 서울파 운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이 추가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1926년 여름 민족협동전선이 구체화되어가는 과정에서 일어난 각 세력의 활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할 것이다.
    신간회 연구와 허시모사건 - 민족협동전선에서 주도권을 상실한 서울파는 화요파가 주도한 신간회에 참여하였다. 이과정에서 서울파 내부에는 조직적인 변화나 세력적인 변화도 있었을 것이나 별다른 연구가 진전되지 않고 있다.
    서울파와 화요파는 신간회 창립 이전에도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창립대회를 통해 이론적 경쟁을 벌였다. 하지만 화요파의 활동과 신간회의 창립을 극복하지 못하고 부결되고, 일제의 대회금지로 창립대회가 무산되어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는 실패하였다. 결국 서울파는 당조직 결성에 실패하였으나 신간회 참여 이후에는 신간회를 민족단일전선당으로 규정하였다. 서울파의 허시모사건과 같은 대중운동에 관한 전략과 경험이 이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가 궁금하다. 즉 신간회에 참여한 서울파의 민족협동전선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는데 준 영향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서울파가 계급운동을 포기하고 민족전체가 참여하는 청산론을 형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 색인어
  • 키워드 - 민족협동전선, 반기독교운동, 선교사배척운동, 허시모사건, 서울파 사회주의자, 반미운동, 사회주의 소년운동, 안식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