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스마트글라스 서비스 실현의 저해요인 분석과 핵심 보호기술정책 프레임워크 설계
An Analysis of obstacle factors on the Implementation of Privacy Oriented Smart Glass Services and the Design of Core Protection Technical Polic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B6044042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심미나
연구수행기관 성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변진욱(평택대학교)
최용수(성결대학교)
노승민(성결대학교)
김경남(성결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로서 ‘입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일종인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서 광범위한 개인정보 수집과 활용범위 등 정보주체에 대한 침해 가능성이 현저히 높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개발 프레임워크 개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 상용화이전인 대상 서비스의 범위를 파악하고 침해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가장 빠르게 시제품화되어 배포된 ‘구글글라스’를 대상으로 기본 서비스 범위와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 침해요인과 핵심 현안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서비스 구현에 전제가 되는 기술개발 요구사항을 현안별로 도출하고자 함
    ●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스마트글라스 서비스 실현을 위한 종합적인 기술정책 프레임워크는 보호기술뿐만 아니라 법제 및 관리적 요구사항을 반영함으로써 실질적 융합연구로서의 총체적 보호프레임워크가 되도록 할 것임
    ● 연구결과가 공학적 관점의 스마트서비스 기술발전에 큰 효과를 거두더라도 서비스 시장이나 개인정보 제공댓가로 비용편익을 요구하는 이용자에게는 상대적 손해를 가져올 수 있음. 따라서 SWOT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처리자와 정보주체간 비용편익을 분석하여 연구결과가 기술정책 프레임워크 제시에 그치지 않도록 효과적인 기술개발 추진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 기대효과
  •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 스마트글라스의 선도적 기술에 대한 제도적 문제점을 미리 진단함으로서 향후 해당 기술개발을 진행하는 기업 및 기관의 기술개발 가이드라인을 제공. 고급 기술개발의 결과를 사장시키는 사회적 비용의 소모를 줄일 수 있음
    ● 포털 및 하이테크 기술에서의 공학적인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기술개발에 대한 참여가 저조하였으나 이러한 최신 기술의 융합적 분석에 의해 IT기술개발에 인문사회학적 관점의 개념도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음
    o 인력양성, 교육과의 연계 등 연구결과의 활용 방안
    ● 본 기획연구는 공학전공의 관점에서는 코딩에 의한 기술개발을 넘어서 서비스 시나리오에 기반한 제도적 요구사항 분석이라는 융합적 사고를 가지게 하므로 공학도 및 인문학도의 사고의 폭을 넓히고 상대 학문분야에의 관심을 고조하게 될 것임
    ● 다양한 학제간의 융합연구를 수행하므로 융합교과목 개발 및 학제간 융합을 다루는 학술대회 등을 통해 해당 기획연구의 도출과정 및 결과물을 학습하고 공유하는 것이 가능함
  • 연구요약
  • ● 새로운 플랫폼으로 야기되는 고유한 특징과 영향을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 시장에서의 적절한 프라이버시 규범을 조성해야 함
    ● 그러나 더 이상 공학관점의 기술개발만으로는 어렵고 사회과학적인 융합적 사고가 요구됨. 즉, 핵심 보호기술개발의 요구사항을 분석함은 물론 서비스 및 시장 환경의 기술개발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전략적 기술개발과 최근 유행하는 감성 접근방법 등 서비스 이용자의 거부감을 없애면서 프라이버시 보호와 편의성 확보 두 가지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융합적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함
    ● 따라서 학제간 융합연구를 토대로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스마트글라스 서비스 시장 형성의 전략을 연구해야 함

    당해년도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연구내용을 필요로 함

    가. 1단계 : 서비스 현황 및 주요 프라이버시 침해요인 분석
    1) 서비스 환경에서의 상세 서비스 범위 및 시나리오 분석
    - 구글글라스는 기존 스마트서비스와 더불어 헬스케어, 위치기반서비스, 미디어 등 다양한 상업적 용도로 활용 가능함. 따라서 증강현실, 위치기반서비스 등 침해우려가 높은 개인맞춤형서비스 중심의 기본 시나리오를 개발해야 함
    2) 서비스의 개인정보처리흐름에 따른 주요 프라이버시 침해요인 분석
    - 본 연구는 기술개발 요소 전반을 파악함과 동시에 핵심 현안의 보호기술요소 도출에 있으므로 침해가능성이 큰 핵심 현안을 분석하여 상응하는 보호기술 요구사항을 상세 분석 가능하도록 할 것임

    나. 2단계 : 프라이버시 기술개발 요구사항 분석 및 프레임워크 설계
    1) 프라이버시 관점의 핵심 현안별 기술개발 범위 및 요구사항 분석
    - 핵심 현안을 해결할 기술개발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세부 요구사항을 분석함. 기술개발 요구사항은 원천기술이나 응용기술의 요구사항 혹은 기존 개발기술의 융합확대 등을 고려한 요구사항을 기술적, 관리적 관점을 고려하여 도출함
    o 개인영상정보의 노출 현안에 대한 객체 검출과 얼굴 및 음향 인식 기술 분야
    o 개인정보유출 최소화를 위한 개인정보 콘텐츠 내재 기술 분야
    - 파일의 메타데이터가 포함하는 개인정보 누출의 최소화를 위해 보안강화용 파일 포맷의 표준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파일의 코덱을 개발
    - 멀티미디어해쉬 생성을 통한 개인 식별 서비스에서의 검색 보안성 강화기술
    - 이미지 파일 카빙 기법을 적용한 민감정보(이미지)의 분산 저장 기술
    o 프라이버시 현안에 대한 유저 감성연구 및 감성융합 시각화 분야
    - 감성융합 시각화 방안 연구를 통해 유저의 영상 가독습관 분석(시지각적 입장의 분석 연구)와 왜곡영상과 기존영상의 화면어울림 연구, 인간감성 표현 기반 예술작품 시각화 방법을 분석함
    2) 핵심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정책 프레임워크 설계
    - 프라이버시 보호기술정책 프레임워크는 육하원칙에 입각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기술개발의 모든 구성요소가 적용되어야 함
    - 이를 위해 정보보호 또는 프라이버시 관련 프레임워크 개발사례를 분석하고 다양한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결과를 제시하도록 추진할 것임

    다. 3단계 :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서비스 실현의 저해요인 분석 및 전략 수립
    - SWOT분석 결과는 지금까지의 프라이버시 보호기술정책 현황을 바탕으로 미래 기술구현의 올바른 과제와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 즉, 세부 기술개발 과제를 도출하고 기술개발정책의 과제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함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스마트글라스 서비스 실현을 위한 보호기술정책 프레임워크의 마련을 지향목표로 두고, 연구 첫 단계로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서비스 시나리오 기반의 개인정보처리 흐름상 주요 프라이버시 침해요인을 분석하고, 국내외 프라이버시 규범에 기초한 일반적 기술개발 요구사항과 ‘스마트기기 취득영상 보호분야’와 ‘감성융합시각화 분야’에 접목한 분야별 요구사항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종합한 프라이버시 일반 요구사항과 분야별 요구사항을 종합한 보호기술정책 프레임워크의 기초를 마련하였음. 특히, 관련 논문을 발표하는 등 토대 및 응용연구의 성과를 거두었음. 향후 계속연구를 통해 융합연구 주제를 확장 발전시킴으로 사물인터넷 시대 도래에 대비한 프라이버시보호 연구를 지속하고자 함

    3단계로 추진된 단계별 연구내용과 성과는 다음과 같음
    가. 1단계(서비스 현황 및 주요 프라이버시 침해요인 분석) 연구를 통해
    - ‘서비스 환경에서의 상세 서비스 범위와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글라스 서비스의 개인정보처리흐름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요인’을 분석하였음. 특히, 특성별, 관점별 침해요인을 세부 분류함으로써 다양한 기술정책 연구에서 연관성을 쉽게 끌어내도록 돕고 인문사회/공학/예술 전반의 융합연구 환경과 플랫폼으로서 활용가치를 높임

    나. 2단계(프라이버시 기술개발 요구사항 분석 및 프레임워크 설계) 연구를 통해
    - ‘핵심 현안별 프라이버시 보호기술 개발범위와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보호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 개발의 기초를 마련함. 1단계의 침해요인 분류체계에 맞춰 ‘프라이버시 보호일반’, ‘취득영상보호’, ‘감성융합시각화’라는 연구자별 핵심분야를 연계함으로써 보다 일관된 목표아래 분야별 기술개발 요구사항과 개발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논문을 발표함
    - 이는 사회공학적 연구결과가 즉시 다양한 공학/예술 분야에 접목됨을 나타내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융합연구 사례를 이끌어내며, 분야별 장기적 기술개발 연구로 확대가 기대됨
    - 또한, 이를 종합한 기술정책프레임워크는 향후 ICT환경을 지배할 다양한 스마트기기 서비스가 종합된 사물인터넷시대의 기초연구로서 지속적 활용과 확대, 재생산 효과가 있음

    다. 3단계(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서비스 실현의 저해요인 분석 및 전략 수립) 연구를 통해
    - 스마트글라스 서비스가 프라이버시를 지향하고 고객친화적인 특성을 담보하기 위해 목표실현 저해요인과 성공요인을 효과적으로 SWOT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SO, WO, ST, WT 4대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정부정책과 시장변화의 의사결정을 돕는 효과를 기대함
  • 영문
  • This project aimed to analyze the obstacle factors on the implementation of privacy oriented smart glass services and provide a framework for technology policies of privacy protection.

    Our project divided into 3 stages and each contribution and result are as follows:
    - Stage 1 (Analysis of core privacy invasion factors):
    ● Providing the range of detailed services and its scenarios in service environment
    ● Analyzing the core privacy invasion factors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on smart glass services based on the service scenarios
    - Stage 2 (Requirements analysis for privacy technology development):
    ● Analyzing the range of development of critical issues in privacy-protecting technologies
    ● Providing more specific development direction and requirements based on the core fields of each collaborators such as ‘common issue in privacy protection’, ‘image acquisition protection’ and ‘visualization of emotional convergence’
    - Stage 3 (Analysis of obstacle factors on the Implementation of Privacy Oriented Smart Glass Services and the Design of Core Protection Technical Policy):
    ● Making a SWOT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analysis of successful and obstacle factors on the implementation of privacy oriented smart glass services
    ● Suggesting 4 strategies including SO, WO, ST and WT based on the SWOT results
    ● Supporting the decision making in responding to the government policies and the market changes

    As a result, in this project, we have presented two papers in domestic conferences and published two papers in international SCI/E indexed journals (JAM & IJDSN), respectively. Their contributions ar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1. Title: Time-and-ID-based Proxy Re-encryption Scheme (JAM: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This paper proposes a scheme that incorporates concept of time and gives the delegator the flexibility to categorize his/her message into subsets based on some defined time period. This work can also be extended to various other fields including big data and privacy protection.
    2. Title: Image Obfuscation in the User-Friendly Sensitive Area with the Use of a Sensor for Smart Devices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JDSN: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This study was presented to resolve the sensitive area related to privacy through the convergence of artistic sensibility based on the user friendly sensibility features of the smart devi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친화적인 스마트글라스 서비스 실현을 위한 보호기술정책 프레임워크의 마련을 지향목표로 두고, 연구 첫 단계로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서비스 시나리오 기반의 개인정보처리 흐름상 주요 프라이버시 침해요인을 분석하고, 국내외 프라이버시 규범에 기초한 일반적 기술개발 요구사항과 ‘스마트기기 취득영상보호 분야’와 ‘감성융합시각화 분야’에 접목한 분야별 요구사항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종합한 프라이버시 일반 요구사항과 분야별 요구사항을 종합한 보호기술정책 프레임워크의 기초를 마련하였음. 특히, 관련 논문을 발표하는 등 토대 및 응용연구의 성과를 거두었음. 향후 계속연구를 통해 융합연구 주제를 확장 발전시킴으로 사물인터넷 시대 증진에 대비한 프라이버시보호 연구를 지속하고자 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o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 본 연구를 통해 프라이버시 침해요인에 대해 기술적/관리적/물리적 관점으로 세분하여 구분하고 프레임워크를 제시함과 동시에 침해요인에 대한 기술적/예술적 회피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환경을 새롭게 제시하였음
    - 스마트기기의 프라이버시 보호 프레임워크의 개발로 향후 스마트기기 또는 응용서비스의 개발 시 정보보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된 가치가 있음. 특히, 정책적 측면에서 침해요인을 분석하고 감성과 융합한 공학적 기술로 침해요인 회피기술을 제안함으로써 융합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음

    o 연구성과의 확산정도
    - 네트워크에의 세분화된 접근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SNS 적용 가능한 보호기술정책 개발의 구체적 근거를 확보하며, 호환Third-party 보안프레임워크 정책에 확산 가능함
    - 취득영상의 악의적 이용에 대한 위⦁변조 검출기술은 영상 포렌식에서 활용도가 높으므로 기술개발 응용이 광범위 하며 M2M/IoT 같은 네트워크기반 기술에서 확장이 예상됨
    - 최근 구글글라스의 프로젝트 중단은 단순히 시장성만이 아닌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회적 반감, 기술한계가 영향을 크게 미친 것으로, 인문학적 관점에서 제시되는 침해요인을 기술적으로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음. 본 연구처럼 신기술에 대한 융합적 분석, 기술개발로 향후 유사기술 개발 시 요구사항과 지침 제시에 좋은 예가 될 것임. 또한, 헬스케어, 국방 등 대표적인 스마트디바이스 기반 B2B 서비스의 성공 핵심요소로 의료, 국방 등에 적극 활용될 것임
    - 스마트 디바이스의 프라이버시 침해와 기술적 한계 분석이 학술발표 등을 통해 전파됨으로써 유사 기술개발의 당위성과 프라이버시 강화 요구를 높임

    o 인력양성, 교육과의 연계 등 연구결과의 활용 방안
    - 코딩에 의한 기술개발을 넘어 서비스 시나리오에 기반한 사회과학적 권리침해 관점의 요구사항 분석이라는 융합적 사고를 가지게 하므로 공학도 및 인문학도의 사고의 폭을 넓히고 상대 학문분야에의 관심을 고조하게 될 것임
    - 학생들의 스터디 그룹을 조직하여 본 과제의 세부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융합적 사고와 함께 공학적 기술을 겸비하는 인력을 양성 중이며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연구성과가 생성되고 있으며 공학적 기술이지만 SSCI와 같은 인문학적 연구저널에 투고가 되는 등 융합연구의 모범사례로 전이시키고 있음
  • 색인어
  •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스마트글라스, 기술정책, 감성표현, 프라이버시보호기술, 프라이버시 프레임워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