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인의 사회적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료인문학 기반 완성적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welldy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Medical Humanities for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Social of Korea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6035107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광환
연구수행기관 건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문기(건양대학교)
박아르마(건양대학교)
김명숙(충남대학교)
이종형(건양대학교)
황혜정(건양사이버대학교)
이무식(건양대학교)
송현동(건양대학교)
김문준(건양대학교)
김용하(건양대학교)
심문숙(건양대학교)
안상윤(건양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씨앗형 연구에 기수행한 <의료·인문학에 기반을 둔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병원 공간과 의료진 중심의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조사 및 교육 대상이 제한되어 있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자살과 같은 사회 구조적인 문제, 기후관련 재난 및 대형사고 등 국가적 재난 이후에 나타나는 집단 트라우마 치료를 위해서는 본 연구의 범위와 대상의 확대가 요구된다. 죽음과 관련된 집단 트라우마는 특정 대상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교육의 내용과 범위도 당연히 달라져야 한다. 집단 트라우마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가족치료와 집단치료, 사회적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면 치료의 기간 역시 장기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의료원, 지자체, 지역 정신건강센터 등과 연계된 지역단위 죽음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교육과 치유 센터 설립으로 확대될 것이다. 다음으로 죽음교육과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의료인, 전문 상담사, 심리치유 전문가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활동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이들이 특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인력양성 사업을 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가 단위로 확대된 죽음교육과 그에 따른 인력양성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전문교재, 자격증 개발도 새싹형 연구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새싹형 연구의 기본 토대가 될 인문학적 토대 연구는 우선 한국 전통의 죽음관, 유교, 불교, 도교의 죽음관 이해 등 한국형 죽음교육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으로는 현대인의 죽음관을 이해하기 위해 기독교사상, 실존철학, 유물론, 쾌락주의 등의 사상을 연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주체적 대응’이라는 주제로 사고사, 타살, 안락사, 장기이식, 자살, 낙태 등 개별적인 죽음을 연구하고 윤리적인 문제도 다루게 될 것이다.
    죽음의 사회적 토대 연구에서는 개인의 건강과 죽음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범위를 조사할 것이다. 다음으로 죽음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사회경제적 불평등, 교육, 질병, 식량부족, 실업 등의 관점에서 보고 이와 같은 개별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질병과 치료, 죽음의 문제에 대한 의료사회학적 개념을 재정립하고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적용이 가능한 기초자료 및 모델을 구축할 것이다.
    의학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죽음에 관한 연구는 우선적으로 생명 존중 의식 확대를 위해 의료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행동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 다음으로 의료 현장에서의 죽음관리 기술 증진을 위해 의료진 및 관련 인력의 임종 이해와 관리 교육 체계를 개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죽음(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료진 및 환자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교재개발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간호학 분야의 죽음 교육은 우선적으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 심리적 두려움 해소, 삶의 가치에 대한 방향 정립을 목표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위해 간호영역에서 표준화된 죽음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러닝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민간 자격증 개발 등으로 연구를 확대할 것이다.
    보건산업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는 우선적으로 죽음교육 관련 전문 인력의 현황과 요구 수요를 파악하는 작업이 출발점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보건산업진흥원, 지역보건센터, 지역정신건강 센터 등과 협력하여 죽음교육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이들의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 관리를 해나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문, 의료, 간호, 사회영역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죽음교육프로그램과 시스템 및 전문인력 양성사업이 효과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국가적, 사회적 토대 구축을 위해 모든 역량을 모을 것이다.
  • 기대효과
  • 인문과 의료가 융합된 죽음교육을 실시하여 죽음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통해 생명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 죽음교육의 범위는 개인의 죽음과 관련된 준비 및 정신적 치유부터 국가적 재난 이후에 나타나는 집단 트라우마에 치유를 포함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죽음교육 및 트리우마 치유에 필요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체계를 개발한다. 다음으로 교육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문, 사회 의료 영역이 통합된 온라인 교육체계 및 교재를 개발한다.
    이러한 융합결과물들은 학문적으로 의료, 보건의료, 사회학 및 사회복지, 종교학 등의 죽음학 연구 및 교육에 새롭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이러한 프로그램을 보건의료 및 요양, 사회복지, 종교, 장사(장례) 등 임종 및 사망관련 종사자 교육 및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 및 자살 예방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행복한 죽음교육 및 트라우마 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각 지역의 지역의료센터, 트라우마 치유센터, 지자체의 정신건강센터 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칭) 죽음교육센터를 설립하고, 다양한 대상들을 내실 있게 교육하여 우리 국민들이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건강하고 행복한 삶,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는데 일조하여 추후에는 우리 사회가 보다 행복하고 따뜻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크게 기대하고 있다.
    (1) 행복한 죽음에 대한 정의, 분석 및 죽음교육 설계
    - 행복한 죽음의 대한 정의, 의학적 죽음의 외연확대, 존엄사 실현 등
    - 일반인, 보건의료인(사회복지영역 포함)들의 생명존중 및 죽음에 대한 인식, 행동분석
    (임종문화 및 사별관리 등)
    - 호스피스 완화 의료학의 내용 개발

    (2) 다양한 대상을 위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 일반인(학생 및 성인), 보건의료인(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호스피스 등) 및 사회복지 인력 등 으로 교육대상 세분화
    - 모든 교육대상에 의료인문학을 바탕으로 하며, 교육대상에 따라 교육의 깊이의 정도차이를 두어 각 대상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 의료 및 정신의학적 치료, 심리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를 포함
    - 종교적 치유 및 사회적 조력에 관한 교육을 바탕으로 교재를 개발

    (3) 죽음교육센터 설립을 통한 죽음교육인력 양성, 인간자격 개발 및 교육실시
    -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는 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죽음교육센터(가칭)’를 설립하며, 이로부터 인력을 양성하고 오프라인 교육 및 온라인 교육을 통하여 많은 국민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접하고 수혜 받고자 함
    - 일반인과 보건의료계열에 따른 등급별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기본교육 후 보수교육은 직장에서 직무교육 형태로 실시하여 내용 및 전문성을 향상.
    - 죽음교육전문인력(웰다잉 전문강사 양성 프로그램) 양성을 통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분기별 실시.
    - 4년제 학사학위기관(고등교육법 근거)과 평생교육시설이 있는 전문학사학위기관(평생교육법 근거)과 교육프로그램 운영 연계
    - 의과 및 보건대학(교양필수), 보건대학원, 교육기관(협회, 학회, 평생교육원 등), 종교기관, 사회복지기관(종합복지관, 노인복지관 등), 주민자치센터, 의료기관(병원, 보건소 등), 현장직장학교 등에서 오프라인 교육 실시
    - 온라인 교육시스템(이러닝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총 14주 교육(학점부여 시 3학점)을 진행하여 죽음교육관련 전문가 양성의 기본소양을 교육.
    - 죽음교육(전문교육) 프로그램과 연계된 ‘민간자격’을 개설하고 이를 교육인력들이 취득토록 하여 전문성을 확보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사회와 보건·의료 영역의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죽음 관련 교육, 인력양성, 교육체계 및 사회 시스템 구축 등 국가적 단위의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죽음교육의 필요성은,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삶의 질뿐이 아닌 죽음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기본인식에서 출발한다. 죽음학은 철학, 종교학,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정신의학, 간호학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져야 하는 융복합적 학문이기 때문에 협력적 연구가 필요하다.
    죽음학 분야에서 웰엔딩을 위한 죽음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로 구분 된다. 하나는 죽어가는 자를 위해서 죽음교육이 필요하고 다른 하나는 남아 있는 자를 위해서 필요하다. 무엇보다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죽음의 문제를 고민해야만 하는 상활에 직면하게 되었다. 건강할 때 죽음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의료진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이 운영이 필요한 사회가 되었다.
    본 연구의 토대가 된 씨앗형 연구, <의료·인문학에 기반을 둔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죽음을 의료적, 인문학적 시각으로 동시에 이해하고 병원이라는 공간과 의료진에 적용 가능한 죽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의료진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수용 양상과 스트레스를 의료적 측면뿐이 아닌 인문학적, 심리적, 정신적 측면도 고려하여 조사했다. 조사 결과 의료진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교육 필요성 제고는 의료진 자신은 물론 환자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의료진의 경우 죽음 교육을 받은 경우 죽음을 단순히 생물학적 현상으로 보는 대신 한 생명의 삶이 끝나는 개별적인 현상으로 이해하고 인간 생명의 존귀함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졌고, 이는 환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로 나타났다.
    씨앗형 연구가 확산, 정착되기 위해서는 모든 죽음의 양상이 연구대상에 포함되고 교육의 적용범위도 사회 전 영역으로 확대돼야 했다. 특히 국가적 재난 이후에 나타나는 집단 트라우마 같은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대학 단위의 연구와 지자체의 노력, 지역 의료기관의 역할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씨앗형 연구는 한계와 발전방향을 동시에 드러냈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죽음의 인문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죽음관을 파악하고 의료영역의 죽음에 대한 정의를 수용한다. 이를 토대로 일반인 및 의료인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교육내용은 죽음이해, 스트레스 완화와 치유, 웰엔딩 등이며 대상별로 특성화하여 적용된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죽음교육 관련 인력양성과 지속적 교육을 위해 교재를 개발하고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구축한다. 교재개발을 위해 의학, 간호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철학, 종교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주제중심의 학제적 접근을 시도한다. 온라인 교육은 웹기반 교육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도입하여 사이버 가상강좌로 운영한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1, 2차년도 연구 성과를 토대로 죽음교육센터를 세우고 운영모델을 개발한다. 죽음교육센터에서는 교육은 물론 트라우마 관련 치유, 인력양성, 지역사회 연계 상담과 치유 등의 프로그램 등이 통합적으로 운영된다. 또한 관련 인력이 전문성과 책임감을 갖고 죽음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격제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사회와 보건·의료 영역의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죽음과 웰다잉 관련 교육, 인력양성, 교육체계 및 사회 시스템 구축 등 국가적 단위의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1단계 사업은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목표를 가지고 3년간 수행되었다. 첫 번째 목표는 죽음과 웰다잉을 중심으로 한 융합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관련된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죽음과 웰다잉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자료를 개발하는 것과 이를 위해 죽음에 대한 현황 조사와 융합형 인력양성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죽음 및 웰다잉 연구 및 교육 관련 거점 센터를 세우고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1단계 사업의 연구 내용과 성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별 맞춤 죽음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고찰, 기존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과 설문조사, 교육 대상별 죽음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의 타당성들이 조사, 연구되었으며, 죽음교육 교재들이 개발되었다. 본 죽음교육 프로그램과 교육교재들은 인문학, 사회과학, 보건의료가 융합된 다학제간 접근을 시도하여 죽음의 인문학적 의미와 사회적 관계로서의 죽음, 경제적 분석, 의료·보건학적 의미의 죽음을 융합적으로 연구·분석한 교육프로그램이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 개발된 죽음교육프로그램에 토대를 둔 교재는 총 4권으로 ‘일반인’, ‘학생’, ‘의료인’, ‘사회복지사’ 등 대상별로 특성화되어 교육에 적용되었다.
    1단계 사업의 두 번째 성과는 죽음에 대한 융합연구와 교육 거점인 ‘죽음교육 센터’를 설립하고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한 것이다. 인문학, 사회학, 의료·보건 각 영역에 대한 자문단이 꾸려지고 센터를 중심으로 홍보(언론 48회)와 국내 및 국제 연구 네트워크 구축(프랑스 죽음준비국가연맹 JALMALV, 한국산학기술학회, 논산 하나병원, 필리핀 불라칸 주립 대학 등)하고 각종 학술대회 및 연구 성과를 발표(해외 학술지 SCI급 논문 10편 게재, 학술대회 발표 19회, 죽음교육관련 심포지엄 11회, 우수논문 7회 수상)하였다.
    본 연구팀은 1단계 사업을 통해 융합연구의 토대와 거점을 만들었으며, 각종 교육자료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다음 단계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한국은 청소년 자살률의 빠른 증가와 노인 자살률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2015년 OECD 자료). 그 외 노인 범죄율 등 많은 지표에서 노인의 삶의 질이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2단계 사업은 죽음과 웰다잉 문제를 지역과 대학 단위 연구에서 벗어나 국가 수준에서 조사하고 취약한 부분들에 대한 해결책 마련과 사회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최종 목표가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ath education programs on a national level such as education on death and well-dying, manpower nurturing, educational systems, and construction of social systems propelled by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ety, health and medical.
    Phase I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for three years with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The first goal is to lay the foundations for convergent research centered on death and well-dying and to establish a related research network. The second goal was to develop death and well-dying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and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death and foster convergent human resources at the same time. The final objective is to establish a hub center for research and education on death and well-dying and to run a death education program while establishing a research network.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results and outcomes of the Phase I project i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death education program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existing death education programs, surveys,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for each subject, and the validity of such education and developed textbooks for death educatio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and textbooks suggested in this study have their significance in that they study and analyze death from a humanities, social, economic, medical, and public health perspective by investigating its meanings based on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combining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health and medical. Four textbooks on death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for the general public, students, health care providers, and social workers.
    The second result of the Phase I project is that it runs the Death Education Center, a hub for convergent research and education. An advisory panel on humanities, sociology, and health care has been established, which has been the center of public relations (48 times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n the media), establish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tworks (JALMALV,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Nonsan Hana Geriatric Hospital, Bulacan Stat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etc.), and presenting research results at various conferences (10 SCI-grade papers were published, 19 conference presentations, 11 death-related symposia, and seven excellent papers).
    Through the Phase I project, the research team has established the foundation and the basis of convergent research,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and endeavor to promote the next proj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n Korea. Korea has dishonorably been nominated as the country that records the fastest rate of increase in terms of youth suicide and the world's number one suicide rate of elderly people (Source: 2015 OECD data). In addition to thi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ontinues to decline in many other indicators with the elderly crime rate be an example. The ultimate goal of Phase Ⅱ project is to examine death and well-dying on a national level instead of a regional and university level and to propose solutions and social alternatives to vulnerable area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팀은 죽음의 주체는 인간이고 죽음은 육체적, 정신적 문제와 동시에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생물학적, 의료적 관점뿐 아니라 한 생명체의 소멸과 사회적 관계의 단절이라는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도 이해돼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기존의 죽음 관련 연구는 종교적, 철학적, 심리적 영역이나 의료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으로 이분화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그 결과 보건의료, 호스피스, 종교, 철학, 사회학 등의 개별 영역에서 죽음교육이 이루어져왔고, 죽음교육 강좌 및 체험 프로그램 형태로 일정한 성과가 나타났다. 다만 기존 연구의 문제점은 의료적 시각과 인문학적 시각이 분리되어 있고,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 역시 죽음교육 대상자의 인식과 요구를 수용하고 있지 못한 데 있다. 따라서 우리는 죽음에 대한 연구와 죽음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의료적 시각과 인문학적 시각을 동시에 수용할 뿐 아니라 교육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반영한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본 연구과제인 <한국인의 사회적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료인문학 기반 완성적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핵심 목표는 인문·사회와 보건·의료 영역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죽음 교육, 인력양성, 교육체계 및 사회 시스템 구축 등 국가적 단위의 죽음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다. 1차년도는 죽음의 인문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죽음관을 파악하고 의료영역의 죽음에 대한 정의를 수용, 융합한다. 이를 토대로 일반인 및 의료인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차년도는 죽음교육 관련 인력양성과 자격증 제도 시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교재를 개발하고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구축한다. 3차년도는 개발된 죽음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적 성과를 확산한다. 이를 위해 웰다잉 전문가가 전문성과 책임감을 갖고 죽음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격제도를 개발하고 교육용 저역서를 발간하며 민·관·학 연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1차년도 연구의 내용은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센터설립을 목표이다. 이를 위해 인문, 사회, 의학, 종교, 교육학, 사회복지분야 등 전문가 집단의 다학제간 협력체계 구축하였다. 죽음교육 관련 대상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죽음센터설립을 추진하였다. 세부 연구 내용으로는 기관별·대상별 죽음교육프로그램 및 선호도를 조사했다.
    2차년도는 연구 활용기로 대상별 맞춤형 죽음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죽음교육 인력 양성 및 자격증 제도 구축 기반조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기관별, 대상별 죽음교육 교재를 비교 분석하고 일반인, 의료인, 사회복지사 대상 죽음교육 교재를 총 4권 개발할 것을 목표로 했다. 개발된 죽음교육 교재 개발에 대한 1차 적용 후 효과 및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고 효과 분석 후 교안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작업 실시한다.
    3차년도는 죽음교육의 글로벌 실현기로 전국 죽음교육 센터망을 구축하고 한국형 죽음교육의 선진화·세계화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사회적 삶의 질 향상’이라는 2단계 사업으로의 확대를 기대한다. 죽음교육센터의 국내외 교육기관과의 제휴를 위해 자문단을 구성하였다. 의료기관 및 민·관·학 연계된 전국 죽음교육 센터망을 설계하였다.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죽음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자격증 제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대학에 온·오프라인 강의를 개설하고 웰다잉 관련 저역서를 개발하는 것이 기초 작업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도는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센터설립을 목표로 3개년도 사업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는 기반구축기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임무’, ‘과업’, ‘과업요소’로 세분화된 <죽음교육 프로그램 공통과정>에 따른 ‘죽음교육프로그램’이 만들어졌고, 프로그램을 반영한 융합연구를 통해 교재 및 연구서의 목차가 완성되었다. 교육성과로는 <삶과 죽음의 인문학>이라는 강좌가 대학에 개설되었다.
    2차년도는 죽음교육 관련 인력양성과 자격증 제도 시행, 지속적 교육을 위해 교재를 개발하고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구축했다. 교재개발을 위해 의학, 간호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철학, 종교학 등 학문분야에서 주제중심의 학제적 접근을 시도했다. 교육 대상은 ‘의료인’, ‘사회복지사’, ‘일반인’ 등으로 나누고 대상별 교육을 위한 교재를 개발했다. 교재의 내용은 죽음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간의 삶과 죽음’ 및 ‘죽음교육의 필요성’ 등을 기반으로 대상별 특성에 따른 세부 교육프로그램이다. 그 결과 의료인, 사회복지사, 일반인을 위한 교육교재가 발간되었다.
    3차년도는 죽음연구와 개발된 죽음교육프로그램의 성과 확산을 위해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저역서 발간사업을 진행했다. 국내외 죽음교육 관련 기관과 학술, 교육 관련 교류·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국제학술대회(ICCT 2017)에서 웰다잉 워크숍 개최했다. 3권의 웰다잉 관련 저역서를 출간하여 연구 성과의 대중적 확산에 기여했다. 죽음교육센터를 운영하여 인력 양성을 위한 자격제도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
    이상의 연구 성과는 웰다잉 관련 한국인의 삶의 질 개선의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죽음 인식과 웰다잉에 대한 대응수준,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웰다잉 측정도구를 개발할 것이다. 웰다잉 측정도구로 조사된 결과들은 상당 부분 각 지역의 웰다잉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이 개발되고 수정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죽음과 웰다잉 관련 온·오프라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교육의 접근성 및 수월성, 전문성이 향상되었다. 1단계 사업부터 지속적으로 개발된 교육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온라인 프로그램을 재작하여 배포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격증 개발 및 죽음교육프로그램과 교육과정 운영으로 웰다잉 교육의 전문성이 확보되었다. 본 연구팀은 1단계 연구결과를 토대로 죽음교육 전문가 자격증 과정의 프로그램을 더욱 정교화, 전문화하여 2단계 사업에서 그 과정을 완성하고자 한다. 이는 노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한국사회에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죽음관련 전문 교육자 양성과 관련된 국가공인자격증을 개발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죽음학 관련 국제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형 웰다잉 모델의 도출을 기대한다. 죽음의 문제에 관한 서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형 웰다잉 정책과, 전통적인 문화에 기반 한 죽음인식과 의식, 문화를 가진 국가들의 웰다잉 시스템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가 행복한 사회로 가기 위한 두 가지의 문제 즉, ‘웰다잉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 시스템 개선 목적의 정책과 대안을 제시한다.
  • 색인어
  • 삶의 질, 죽음교육프로그램, 의료인문학, 융합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