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광고디자인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반응-fMRI 실증을 중심으로
The response of visual and linguistic information in advertising design-fMRI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6037992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류철호
연구수행기관 건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승환(단국대학교)
홍영기(건양대학교)
배석환(건양대학교)
최철재(단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목표

    가. 연구목적 :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반응을 연구하여 광고표현의 과학화

    나. 연구목표 : 그림정보 중심과 언어정보중심의 표현에 따른 소비자반응 검증을 통한 광고표현의 과학화로
    광고계에 아젠다 도출

    다. 세부목표 :
    1)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서로 대립되는 경우 뇌 반응 확인
    2)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노출 시간에 따른 차이 확인
    3)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동시노출에서 위치에 따른 반응 확인

    라. 연구방법 :
    1) 사전 연구의 검토
    문헌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 문자정보 및 언어정보에 관한 사전 연구 검토
    ▸ fMRI 연구를 통한 뇌 반응 영상 사전 연구 검토
    ▸ 인쇄광고에 대한 소비자 노출 시간 사전 검토
    ▸ 광고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표현방법 검토
    2) 실험용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수집
    광고디자인에 나타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실험에 사용될 수 있는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명확한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분류
    3) 실험용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예비조사 사전 적합성 검증
    실험에 사용될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수 분석을 통한 예비조사를 실시함
    4) 실험 자극물 제작(광고디자인 제작)
    예비조사를 통하여 선정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실험 자극물을 인쇄광고 형태로 제작
    5) fMRI 실험 설계 조건 조성
    사전 연구 검토를 통하여 수집된 fMRI의 실험 설계 등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적합성 및 합리적인
    연구결과 도출을 위한 실험 자극물의 자극 제시순서 및 실험조건 등을 설계
    6) 실험 참가자
    생리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보다 객관적인 fMRI 뇌 반응 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 실험 참가자 모집 및 선정
    7) 뇌기능 영상분석 및 해석
    사전 조정 및 뇌기능 영상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해석
    8) 연구결과 도출 및 논의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목표와 세부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연구하고자함
    ◯ 급변하는 시대 상황 속에 다양한 광고매체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의 중요성이 대두됨
    ◯ 효과적 메시지 전달을 위하여 광고표현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마케팅이나 심리적 요인을 통계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왔으나 소비자들의 개인별 상황별 특징들에 따라 설문에 의한
    통계적 처리방법으로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
    ◯ fMRI연구로는 의학분야에서는 치료의 목적으로 한정되어 연구를 하였으며,
    인지심리학에서는 지엽적 연구로 일반화에 어려움이 많음
    ◯ 이에 따라 광고디자인 제작에서의 그림과 언어의 효과 측면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매우 필요한 상황임
    ◯ 광고디자인 제작에서 소비자를 중심으로 조사에 의한 다양한 연구에 대한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영상의학과 예술과의 융합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
    ◯ 본 연구의 목표는 광고디자인전공자와 조사방법의 마케팅 전공자 그리고 영상의학 전공자의 융합 연구를 통하여
    뇌 영상 이미지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를 이용한 데이터
    추출 방법을 활용하여 다음 연구문제를 직접 확인함으로써 광고디자인계에 새로운 아젠다를 도출하여
    일반화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추후 광고디자인의 표현에 대한 일반적 연구방법을 확산하여
    광고계에 반향을 불러일으키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음
  • 기대효과
  • 기대효과

    가. 연구 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
    ◯ 광고디자인계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되고 광고 제작에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으로 기대 이에 광고디자인 제작 방법을 창출할 것이라 사료됨
    ◯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인지적 차이점과 기억에 대한 효과 등이 fMRI를 통하여 검증되게 된다면
    소비자들에게 소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의 시행착오를 줄여나갈 수 있다고 판단됨
    ◯ 본 연구의 결과를 학회 발표 및 논문으로 게재하여 그동안 광고디자인 학계와 업계에서 조사 방법에 의한
    통계적 연구에 의존하던 연구방식을 과학적으로 확인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여
    광고계에 혁신적인 방법론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광고의 과학적 접근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나. 인력양성 기대효과
    ◯ 광고디자인 교육에 크리에티브 전략을 찾아가는데 우선효과를 확인하여 진행하는 교육을 하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 광고인력 양성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며 특히 본 연구를 통한 디자이너의
    인력배출이 되면 큰 반향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언어정보와 그림정보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크리에이티브 능력은 해당 대학의
    인력양성 뿐만 아니라 국제적 사회에 기여가 더욱 크게 될 것으로 사료됨
    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 기대효과
    ◯ 연구를 통하여 검증된 사례들을 기초로 광고표현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 지면 광고디자인 교육에
    크게 기여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광고의 과학적 접근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디자인관련 학회에 본 연구를 발표하여 광고 및 디자인관련 학과 교육자 및 연구자에게 확산으로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찾을 것으로 기대됨
    ◯ 예술과 의학의 접목을 통한 시도로 다양한 인문학과 의학 등의 융합된 연구로 창조적 연구의 진행에
    기여하게 될 것임. 특히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학문적 융합을 제시하여 교육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연구요약
  • 연구요약
    ◯ 광고 표현에 있어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중요한 요소임
    ◯ 그림정보 중심 광고나 언어정보 중심 광고 또는 그림정보와 언어정보를 혼용한 광고가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표현전략에 따라 광고의 메시지를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소비자들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이러한 연구는 박승환, 류철호,and 최철재.“정보전달 상황에 따른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영향력”(2007)에서
    인쇄광고를 대상으로 광고에서 표현된 그림정보, 언어정보 및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혼합 형태의 긍정과 부정의
    광고전달상황으로 브랜드 태도 및 구매도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는데
    다양한 목적에 따른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하여 결론 도출
    ◯ 이두희, 권오영의“광고의 그림 메시지와 문자 메시지가 심상정보처리 효과와 기억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999)에서는 광고에서의 그림 메시지가 문자 메시지 보다 더 많은 심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상정보처리에 의한 기억효과가 높다고 하였음. 이러한 것으로 볼 때 소비자들이 광고의 메시지를 기억하는데
    있어서 문자보다는 그림을 통한 메시지 기억효과가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림과 문자가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기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에는 통계적 조사방법으로 한계가 있음. 김철민.
    “인쇄광고에서 그림의 표현방식에 따른 기억효과”(2005)에서는 인쇄 광고에서는 그림의 언어가에 따른
    기억 효과를 연구 하였는데 그림 처리에 있어서 심상부호와 언어부호를 동시에 활용한 언어가가 높은 경우
    기억 우위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광고의 주목도는 언어가가 낮을 때 더 높았지만 기억효과로는 이어지지
    않았으며, 상표명 회상에서 그림과 언어 카피로 구성된 광고물 보다 그림만으로 구성된 광고물이
    회상도가 높다고 하였음.
    ◯ 위의 연구 모두 기억효과의 문제를 단순히 통계적인 그림의 회상도 노출 조사만으로 평가하였음. 상황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발생할 수 있어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음. 이에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광고표현의
    과학화가 절실히 요구됨
    ◯ 연구내용
    1)이론적 배경
    ▸ 광고디자인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이해
    ▸광고디자인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 선행연구의 검토
    ▸ fMRI의 선행연구 검토
    2) 광고디자인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 실험설계
    ▸ 분석을 위한 광고물 선정
    ▸ fMRI 실험설계
    ▸ 실험
    ▸ 결과 분석
    3) 분석에 따른 결과 도출

    ◯ 연구문제
    1) 서로 반대(대립)되는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노출에 따른 뇌 인지반응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2)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피험자 노출시간에 따라 지속 시간의 차이점이 나타날 것이다.
    3) 주어진 공간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가 동시 노출되었을 때 위치에 따른 뇌
    인지반응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연구 진행방법
    1) 광고효과 관련 연구 조사
    광고 마케팅 전문가를 통한 광고 자료 수집 및 분석으로 체계화된
    광고 표현전략 분석
    2) fMRI 뇌 영상 연구조사
    영상의학 전문가를 통한 fMRI 자료 조사 및 분석으로 본 연구의 fMRI
    분석방향 설정
    3) 실험 설계
    실험을 위한 조작 및 실험모형 설계
    4) 실험을 위한 광고 제작 및 테스트
    광고 표현전략 분석을 바탕으로 광고디자인에 나타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명확한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자료 수집 및 테스트를 거쳐 광고물을 제작
    5) fMRI 뇌 영상 실험
    fMRI 촬영을 위한 실험 설계 및 뇌 영상 촬영
    6) 촬영 영상물 분석
    7) 결론 도출 및 논의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광고디자인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차이에 따른 소비자 반응을 확인하여, 광고메세지 이해과정에서 뇌 특정부분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전제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설문을 이용한 조사가 아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을 이용하여 뇌의 활성화를 시각적인 신호로 나타내는 실험을 하였다. 연구를 위한 실험집단의 선정은 신경정신적 정상 대학생 15명(남자: 8명, 여자: 7명)을 지원받아 실시하였다. 실험 자극물은 카테고리별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1차 자극물(사진, 이모티콘, 문자)과 2차 자극물(광고 포스터 형태의 문자 유무)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1차검사와 2차검사를 1주일간격으로 시행하여 각 자극물에 대한 반응과 기억을 함께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그림정보의 기억반응이 언어정보의 반응신호보다 크게 나타났고, 그림정보 중 이모티콘보다 실제사진정보의 반응신호가 크다는 것, 그리고 그림, 문자 혼합정보에서 기억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그림과 언어정보에 대한 기억에 따른 뇌 영역인 parahippocampal area 에서 활성화 양상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의 회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측두엽에서 활성화된 신호크기에 따라 문자보다 그림에서, 그림보다 사진에서, 그리고 단독정보 보다 혼합정보에서 기억의 회상효과가 크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ing the efficient utilization method to picture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on how brain specific part react in the advertising message understanding process by identifies customer responses that appear due to difference between visual and verbal messages in advertising design. This study was experimented to brain imaging by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not survey. The selec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15 undergraduate students(8 male, 7 female)who have neurological and mental normal conditions. Experimental stimuli were used as the primary stimulus to production through the preference by category (pictures, emoticons, text) with secondary stimulus (the character of the advertising poster form or not). The primary inspection and secondary inspection performed by a one week interval was verified with the response to each stimulus and memory. It showed that remember the rea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memory was larger than the reaction of verbal Information, picture information response signal of the actual picture information was greater than of the emoticons picture, a mixed picure and text information alone was greater than picture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in the memory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activation in the brain regions parahippocampal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of the picture and lanuage information by the analysis above. In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greater the effect of recalling information stored in visual informations was more than verbal informations, in picture informations are more than visual information, and in a mixed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ion signal in the temporal lob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memory reca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광고매체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효과적인 광고 메시지 전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광고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통계적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인간의 심리 및 생리학적 특성을 통계적 조사방법을 통해 파악하기에는 불합리한 상황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개인별, 상황별 특징들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심리적 요인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선행 연구 방법들이 있었으나 이 또한 상이한 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심리적, 생리학적 반응을 뇌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광고의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에 대한 뇌 반응 관찰 및 뇌 영상 분석을 기초로 광고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뇌 인지 반응과 반응 후 지속성, 그리고 광고메시지 이해과정에서 뇌 특정부분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전제로 광고의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설문을 이용한 조사가 아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을 이용하여 뇌의 활성화를 시각적인 신호로 나타내는 실험을 하였다. 연구를 위한 실험집단의 선정은 신경정신적으로 정상인 대학생 15명(남자: 8명, 여자: 7명)을 지원받아 실시하였다. 실험 자극물은 카테고리별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1차 자극물(사진, 이모티콘, 문자)과 2차 자극물(광고 포스터 형태의 문자 유무)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1차검사와 2차검사를 1주일간격으로 시행하여 각 자극물에 대한 반응과 기억을 함께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그림정보의 기억반응이 언어정보의 반응신호보다 크게 나타났고, 그림정보 중 이모티콘보다 실제사진정보의 반응신호가 크다는 것, 그리고 그림, 문자 혼합정보에서 기억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그림과 언어정보에 대한 기억에 따른 뇌 영역인 parahippocampal area 에서 활성화 양상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억의 회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내측두엽에서 신호크기와 활성화 영역을 비교해보면 문자(TEXT)보다는 그림(EMOTICON)인 경우, 이모티콘(EMOTICON)보다는 사진(PICTURE)인 경우, 그림이나 문자의 단독 정보(POSTER1) 보다는 그림과 문자 정보의 혼합(POSTER2)인 경우에 기억의 회상과정을 보다 높게 나타낼 수 있다는 결과를 본 실험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연령이 20대로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을 광고에 노출되는 전 연령층으로 확대하여 확인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나아가, 뇌과학과 디자인의 융합연구로서 ‘뉴로디자인(Neuro-Design)’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발전으로 도모할 수 있을 것 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연구 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 본 연구의 결과를 한국기초조형학회 논문으로 게재하여 최우수논문상 수상을 통하여 기존의 광고디자인 학계와 업계에서 조사 방법에 의한 통계적 연구에 의존하던 연구방식을 과학적으로 확인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여 광고계에 혁신적인 방법론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광고의 과학적 접근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광고디자인계에서 그림정보와 언어정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되고 광고 제작에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으로 기대 이에 광고디자인 제작 방법을 창출할 것이라 사료됨. 나. 인력양성 방안 ◯ 기존의 광고디자인 교육을 탈피하여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광고디자인 교육을 통한 크리에티브 전략을 찾아가는 교육을 실시하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 광고인력 양성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며 특히 본 연구를 통한 디자이너의 인력배출이 되면 큰 반향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언어정보와 그림정보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크리에이티브 능력은 해당 대학의 인력양성 뿐만 아니라 국제적 사회에 기여가 더욱 크게 될 것으로 사료됨. 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근처를 기초로 한 광고표현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광고의 과학적 접근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예술과 의학의 접목을 통한 시도로 다양한 인문학과 의학 등의 융합된 연구로 창조적 연구의 진행에 기여하게 될 것임. 특히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학문적 융합을 제시하여 교육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색인어
  • 그림정보 언어정보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 뉴로디자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