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전환기 창의형 기술·사회시스템 모델연구: 탈추격 (Post Catch-up)학의 모색
A transition model based on creative socio-technical system: In search of post catch-up theor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40;새싹형& #41;
연구과제번호 2014S1A5B6A02048960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재용
연구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추격기와 탈추격의 기술·사회 시스템을 분석하여 한국형 기술혁신의 고유성을 도출하고 새로운 성장모델을 모색 - 추격기에 축적된 혁신역량 및 조직/제도적 자산 - 새롭게 발흥하고 있는 탈추격형 혁신활동 및 시스템 요소별 (기업문화, 기업간 관계, 교육, 숙련형성방식, 정책, 금융, 문화 등) 조직/제도적 배열의 변화 - 글로벌 수준의 기술-경제 환경의 변화와 새롭게 요청되는 혁신역량 - 탈추격형 기술-사회 시스템 설계 ○ 후발국 입장에서 전환기 환경, 동학의 이해와 전환을 위한 전략의 도출 - 시스템 동학에 대한 이해와 전환을 위한 전략의 모색 - 후발국 관점의 (한국형) 고유모델 도출을 위한 이론화 작업
  • 기대효과
  • □ 사회적 효과 ○ 본 연구는 과학․공학은 물론 사회과학․기술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새로운 탈추격형 혁신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포괄적인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기존의 ‘모방을 통한 성장’이라는 패러다임에 ‘창조를 통한 발전’이라는 새로운 담론을 제공함 ○ 기존의 지식과 기술의 외부 의존형 체제를 뛰어넘어 글로벌 개방성을 견지하면서도 기술과 지식 성장의 동인을 내부에서 찾을 수 있는 사회체제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을 탐색 ○ ‘과학기술결정론’ 신화를 완화하고,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경제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공진화함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기술-사회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인식과 소통 기반을 마련 ○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식자원과 글로벌 네트워크는 향후 학제 간 융합 전문가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피드백 제공하고 한국형 추격/탈추격 모델에 대한 국제적 확산 및 개발도상국 전수 등에 기여 □ 이론적․교육적 효과 ○ 후발국 연구는 선진국 연구자의 접근 한계가 있는 분야로서, 후발국 내부 연구자가 주체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는 분야임. 후발국 입장에서 추격의 패턴 및 추격 이후 혁신활동과 시스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후발국 성장 및 혁신 분야에서 세계 학계에 주체적 발신을 통해, 독립된 학문분과로서의 ‘후발국 발전론’에 대한 기여가 가능 ○ 기존의 후발국 성장모델에 대한 연구는 학제별로 산발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학문분과의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연구가 본격화되지 못함. 본 연구는 기존의 벽을 허물고 다학제적인 접근방식을 택하여 탈추격형 시스템 설계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제시.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세밀한 연구추진 전략과 체계를 설계하였으며, 본 연구진의 경험은 다학제적 연구 추진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임 ○ 본 연구는 다학제 공동연구를 위한 센터 형식으로 추진됨에 따라, 해당 학교 내에서의 co-teaching이 가능함. 따라서 연구 참여자는 물론 해당 학교 연구보조원 및 학생들이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융합의 방법론 분야에 조기 진입함으로써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됨 ○ 글로벌 수준에서의 학술활동, 외부 세미나 및 심포지엄 개최 및 참여, 해외 연구자 네트워크 내에서의 공동연구를 통해 융합 교육 및 연구의 외연 확대 ○ 2단계에서는 연구진의 연구 결과물 및 해외 학자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영문으로 저서를 출간할 계획이므로, 연구결과물 출간을 통한 이론적 확장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 학문 커뮤니티에 속한 다양한 연구자들이 추후 관련 연구 및 학습을 진행할 경우 이론적·교육적으로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 □ 정책적 효과 ○ 모방형 체제에서 지식과 성장의 기반을 내부에서 찾을 수 있는 창조형 체제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모방형 체제에서와 같이 자원의 투입만으로 달성이 어려우며, 제도와 조직방식을 고려한 시스템의 전환이 필요. 본 연구는 이를 전략과 정책으로 구현하는 시스템 전환의 방법론을 모색 ○ 새로운 혁신체제 구성의 기반이 되는 통합형 혁신정책 및 조정원리로서의 네트워크 접근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전환을 위한 정책과정의 설계와 제시
  • 연구요약
  • ○ 추격기와 탈추격의 기술·사회 시스템을 분석하여 한국형 기술혁신의 고유성을 도출하고 새로운 성장모델을 모색함 • 탈추격 국가별, 산업별 다양성 탐색 및 시스템 전환이론 확장을 시도함 • 조직 및 제도적 경직성, 시스템 전환 이론 리뷰와 사례 적용을 통해 탈추격 이론의 차별성 및 이론적 확장 탐색 •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 혁신 주체의 특성, 기능별 루틴, 제도화 과정 및 메커니즘 등의 분석을 통하여 시스템 전환의 가능성 및 한국형 탈추격 모델 고안 및 사회-기술 시스템 설계 ○ 후발국 입장에서 전환기 환경, 동학의 이해와 전환을 위한 전략의 도출 • 후발국의 자본주의, 성장패턴 및 제도주의 이론연구 및 주제별 탈추격 사례 분석 바탕의 전략 도출 •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를 기획하여 융합 연구 촉진하고, 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 강화 및 이의 활용을 통해 탈추격학의 기반 마련 및 연구 결과 확산 ○ 1·2·3차년도 탈추격연구센터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음 • 8편의 SSCI 논문 게재·게재확정, 13편의 학진 등재지에 논문 게재확정 및 추가 2편의 논문 게재 - Impact Factor – Scientometrics(2.13) Urban Studies(1.28) World Development(2.08) Government and Policy(1.16) • 지식확산을 위하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차 저서 출간 완료 및 2차 저서 출간 계획 중 -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 및 ‘추격을 넘어 탈추격의 명암’(가제) •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22회 이상의 탈추격 연구 성과 발표 - DRUID, GERPISA, User innovation workshop, 기술경영경제학회, 기술혁신학회, 한국사회학회 • 국외적으로 저명한 학자 9명을 초청하여 총 7회의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였음 - Mowery(UC Berkeley, USA), Mathews(Macquarie Univ. AUS), Radosevic(UCL, UK), Wong (NUS, Singapore), Chen(CIER, Taiwan), Pei-Chang(CIER, Taiwan), Kim(Ackland, NZ) • 총 4회의 국내외 학술대회 Special Session와 Round Table 후원 및 개최 - 국제 혁신 클러스터 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기술경영경제학회 • 연구 내용 확산 및 대중화를 위한 공개 심포지엄 및 융합 포럼 개최 - 탈추격 연구센터 공개세미나(14.07.25) 및 ICT 인프라 및 지식 미디어 워크샵(14.06.24) • 13명의 국내 관련 전문가 및 외부강사 초청 세미나 개최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국민대, 강원대, 제주대, 목포대, 한국화학연구소, ETRI, 에스콰이어 • 3 차례의 교차 강의 제공 - KAIST(수강생 20명), 고려대학교(수강생 50명), 충남대학교(수강생 40명) • 연구기관, 대학교, 대중매체, 강연회, 포럼 등을 통한 10회 이상의 강연 수행 - Innovation Conference Taiwan, 기술혁신포럼, 고려대학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토요과학강연회, 한국과학기술 교육 및 연구개발정책 포럼, ADD, KOICA, STEPI, 대만 경제 기술처 등 • 2014.08.31까지 연구진 전원이 참여하는 정규 워크샵을 총 25회에 걸쳐 개최하였음 •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SCI 저널 Special Issues 추진 및 게재 확정 • 탈추격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8회의 외부 기고문 기고 - 월간 기술과 경영, KRX, 과학기술정책, 전자신문, 포럼 글로컬, 세종 이코노미, 프레시안 • 지식확산을 위한 탈추격 센터 홈페이지 구축: 현재 회원수 114명을 기록 - http://cafe.daum.net/postcatchup • 추가 연구를 위한 기업의 특허 및 논문 데이터 베이스 구축 - SCOPUS, USPTO를 중심으로 기업별·기술분야별·학문분야별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추격기와 탈추격의 기술·사회 시스템을 분석하여 한국형 기술혁신의 고유성을 도출하고 새로운 성장모델을 모색함
    • 국가별, 산업별 발전 모형의 다양성 탐색 및 시스템 전환이론 확장 시도
    • 조직 및 제도적 경직성, 시스템 전환 이론 리뷰와 사례 적용을 통해 탈추격 이론의 차별성 및 이론적 확장 가능성 탐색
    • 사회·경제 환경의 변화, 혁신 주체의 특성, 기능별 루틴, 제도화 과정 및 메커니즘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형 탈추격 모델 및 사회-기술 시스템 설계

    ○ 탈추격국 입장에서의 시스템 동학 분석을 통한 전략 및 정책 도출
    • 시스템 동학 및 전환 전략, 정책 설계를 중심으로 탈추격 사례 연구 진행
    • 탈추격 관점의 연구자별 개인 연구 진행, 공동 연구를 통한 논문 발표, 저서 출간 및 탈추격 강의 제공

    ○ 1단계ㆍ2단계 탈추격연구센터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음
    • 8편의 SSCI 논문 게재, 학진 등재지에 19편의 논문 게재, 추가 7편의 논문 게재 및 1개 게재 예정
    • 지식확산을 위하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차ㆍ2차 저서 출간 완료 및 3차 저서 출간 계획 중
    -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 ‘추격 혁신을 넘어: 탈추격의 명암’, 및 ‘Big CoPS(Complex Product System)’(가제)
    •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28회 이상의 탈추격 연구 성과 발표
    - EU-SPRI, Society for the History of Technology, Making cultural cities in China, 기술경영경제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한국공학교육학회
    •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자를 초청하여 총 14회의 국제 세미나를 개최
    - Charles Edquist (Lund Univ., Sweden), Simon Joss (University of Westminster, UK), David Mowery (UC Berkeley, USA), Slavo Radosevic (University College London, UK)
    • 총 8회의 대중세미나 개최 및 포럼 후원을 통해 지식 확산에 기여
    - 창조경제 ICT 융합포럼, 한국공학교육학회 국제심포지엄, 농정연구센터 월례 세미나, 사회혁신 포럼
    • 국내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외부강사 초청 세미나 21회 개최
    - 임채성(건국대), 김근배(전북대), 홍성주(STEPI), 노정휘(목포대), 이영희(카톨릭대), 김환석(국민대) 등
    • 탈추격학을 계승할 학·석·박 인력 집중 양성
    - 학·석·박 학생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세미나 진행 및 관련 전문가와의 인터뷰 주선
    - 8명의 서울대·고려대·KAIST 석·박사 학생의 월례 워크샵 참석 및 공동 연구 진행
    - 국제 학회 공동 발표 및 학위 논문 계획안 발표
    • 연구진 전원이 참여하는 교차 강의 4회 진행
    • 2016.08.31까지 연구진 전원이 참여하는 정규 워크샵을 총 52회에 걸쳐 개최하였음
    •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SSCI급 저널) Special Issue 게재
    - 2016 Volume 24, Supplement editorial and 5 articles
    • 탈추격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4회의 외부 강연 진행
    - SPRU, UCL, DRUID, 기술경영경제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등
    • 지식확산을 위한 탈추격 센터 홈페이지 구축: 현재 회원 수 145명을 기록
    - http://cafe.daum.net/postcatchup
  • 영문
  • ○ Analysis of the socio-technical system of catch-up and post catch-up periods in order to pursue technology innovation studies and seek to develop a new growth model from a Korean context
    • Explore dynamics of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models and strive to expand the system transition theory
    • Search for distinction from the traditional catch-up theory and expand the theoretical application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case studies of organizational rigidity, institutional rigidity, and system transition
    • Design socio-technical system and post catch-up model from a Korean context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change of society and econom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innovation, functional routine, and institutional process and mechanism

    ○ Systems analysis from a catch-up perspective in order to derive relevant strategies and policies
    • Post catch-up case studies focused on system and transition strategy and policy development
    • Provide individual research and collaborative research for article publication, book publication, and lectures on post catch-up studies

    ○ Major outcomes of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Post Catch-up Innovation Research Center are as follows
    • Publication of 8 SSCI academic papers, publication of 19 academic papers registered on KCI, additional 7 publication and 1 expected publication of academic papers
    • Published first stage and second stage books and expect publication of an additional book
    - ‘Diagnosis of Catch-Up Innovation System’, ‘Beyond Catch-Up Innovation: Post Catch-Up’, and ‘Big CoPS(Complex Product System)’(in progress)
    • Provided over 28 post catch-up research presentation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 EU-SPRI, Society for the History of Technology, Making Cultural Cities in China,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Korean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and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 Hosted a total of 14 international seminars by inviting globally renowned scholars
    - Charles Edquist (Lund Univ., Sweden), Simon Joss (University of Westminster, UK), David Mowery (UC Berkeley, USA), Slavo Radosevic (University College London, UK)
    • Hosted open symposium and supported forums for a total of 8 occasions
    - Creative Economy ICT Convergence Forum,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International Symposium, Center for Food, Agricultural and Rural policy Monthly Seminar, and Social Innovation
    • Hosted a total of 21 domestic seminars by inviting Korean experts
    - Lim Chaisung(KonKuk University), Kim Geun Bae(Chonbuk University), Hong Sung-Joo(STEPI), Noh Choung Hwi(Mokpo University), Lee Young Hee(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im Hwan Seok(Kookmin University), etc.
    • Undergraduate/graduate student training in post catch-up studies
    - Provided seminar and expert interviews whe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an participate freely
    - Participation of 8 graduate student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KAIST in monthly workshop and collaborative research
    - Joint presentations at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and presentation of Thesis plan
    • Opened total of 4 lecture courses with participation of entire research team
    • Until 2016.8.31, hosted a total of 52 regular workshops of entire research team
    •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SSCI-level journal) Special Issue publication
    - 2016 Volume 24, Supplement editorial and 5 articles
    • A total of 24 external presentations concerning Post Catch-Up research
    - SPRU, UCL, DRUID,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etc.
    • Establishment of Post Catch-Up Center homepage for diffusing knowledge: currently 145 members registered
    - http://cafe.daum.net/postcatchu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추격기와 탈추격의 기술·사회 시스템을 분석하여 한국형 기술혁신의 고유성을 도출하고 새로운 성장모델을 모색 - 추격기에 축적된 혁신역량 및 조직/제도적 자산 - 새롭게 발흥하고 있는 탈추격형 혁신활동 및 시스템 요소별 (기업문화, 기업간 관계, 교육, 숙련형성방식, 정책, 금융, 문화 등) 조직/제도적 배열의 변화 - 글로벌 수준의 기술-경제 환경의 변화와 새롭게 요청되는 혁신역량 - 탈추격형 기술-사회 시스템 설계 ○ 후발국 입장에서 전환기 환경, 동학의 이해와 전환을 위한 전략의 도출 - 시스템 동학에 대한 이해와 전환을 위한 전략의 모색 - 후발국 관점의 (한국형) 고유모델 도출을 위한 이론화 작업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사회적 기여도
    ○ 본 연구는 과학․공학은 물론 사회과학․기술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새로운 탈추격형 혁신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포괄적인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기존의 ‘모방을 통한 성장’이라는 패러다임에 ‘창조를 통한 발전’이라는 새로운 담론을 제공함
    ○ 기존의 지식과 기술의 외부 의존형 체제를 뛰어넘어 글로벌 개방성을 견지하면서도 기술과 지식 성장의 동인을 내부에서 찾을 수 있는 사회체제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을 탐색
    ○ ‘과학기술결정론’ 신화를 완화하고,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경제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공진화함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기술-사회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인식과 소통 기반을 마련
    ○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식자원과 글로벌 네트워크는 향후 학제 간 융합 전문가 네트워크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지속적인 피드백 제공하고 한국형 추격/탈추격 모델에 대한 국제적 확산 및 개발도상국 전수 등에 기여
    □ 이론적․교육적 기여도
    ○ 후발국 연구는 선진국 연구자의 접근 한계가 있는 분야로서, 후발국 내부 연구자가 주체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는 분야임. 후발국 입장에서 추격의 패턴 및 추격 이후 혁신활동과 시스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후발국 성장 및 혁신 분야에서 세계 학계에 주체적 발신을 통해, 독립된 학문분과로서의 ‘후발국 발전론’에 대한 기여가 가능
    ○ 기존의 후발국 성장모델에 대한 연구는 학제별로 산발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학문분과의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연구가 본격화되지 못함. 본 연구는 기존의 벽을 허물고 다학제적인 접근방식을 택하여 탈추격형 시스템 설계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제시.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세밀한 연구추진 전략과 체계를 설계하였으며, 본 연구진의 경험은 다학제적 연구 추진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임
    ○ 본 연구는 다학제 공동연구를 위한 센터 형식으로 추진됨에 따라, 해당 학교 내에서의 co-teaching이 가능함. 따라서 연구 참여자는 물론 해당 학교 연구보조원 및 학생들이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융합의 방법론 분야에 조기 진입함으로써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됨
    ○ 글로벌 수준에서의 학술활동, 외부 세미나 및 심포지엄 개최 및 참여, 해외 연구자 네트워크 내에서의 공동연구를 통해 융합 교육 및 연구의 외연 확대
    ○ 2단계에서는 연구진의 연구 결과물 및 해외 학자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영문으로 저서를 출간할 계획이므로, 연구결과물 출간을 통한 이론적 확장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 학문 커뮤니티에 속한 다양한 연구자들이 추후 관련 연구 및 학습을 진행할 경우 이론적·교육적으로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

    □ 정책적 기여도
    ○ 모방형 체제에서 지식과 성장의 기반을 내부에서 찾을 수 있는 창조형 체제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모방형 체제에서와 같이 자원의 투입만으로 달성이 어려우며, 제도와 조직방식을 고려한 시스템의 전환이 필요. 본 연구는 이를 전략과 정책으로 구현하는 시스템 전환의 방법론을 모색
    ○ 새로운 혁신체제 구성의 기반이 되는 통합형 혁신정책 및 조정원리로서의 네트워크 접근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전환을 위한 정책과정의 설계와 제시
  • 색인어
  • '탈추격', '시스템 전환', '사회경제 시스템', '기술 혁신', '한국형 시스템', '자본주의 다양성', '후발국', '성장패턴', '제도화', '다학제적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